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SUMMARY 6

제1장 연구 개요 14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8

제2장 국제협력형 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국내외 동향 분석 22

1절 과학기술 정책 글로벌 동향 23

2절 과학영재 양성 정책 및 프로그램 글로벌 동향 28

3절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 국내외 동향 38

4절 청소년 주도 과학 관련 글로벌 교류ㆍ협력 사례 46

제3장 국제협력형 교육 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ㆍ적용 53

1절 국제협력형 교육 모델 도출 54

2절 국제협력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1)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57

3절 국제협력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2) 글로벌협력 R&E 68

제4장 국제협력형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및 발전방안 도출 79

1절 효과 분석을 위한 도구 설정 80

2절 국제협력형 교육 프로그램 효과 분석: (사례1)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90

3절 국제협력형 교육 프로그램 효과 분석: (사례2) 글로벌협력 R&E 109

4절 국제협력형 교육 모델 발전방안 제안 126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32

1절 요약 및 결론 133

2절 시사점 및 정책 제언 136

참고문헌 137

[부록] 139

1절 설문지 140

2절 IRB 승인문서 157

연구에 도움 주신 분들 159

표목차

〈표 2-1〉 미국의 10대 핵심 기술분야(Key Technology Focus Area) 24

〈표 2-2〉 EU의 디지털 서비스법 주요내용 25

〈표 2-3〉 미국영재협회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29

〈표 2-4〉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의 초중고 과학영재 프로그램 30

〈표 2-5〉 일본의 국제 연구 거점 형성을 통한 과학영재 양성 정책 방안 32

〈표 2-6〉 이상적인 임무지향적 혁신 정책(MOIPs) 특징(박노언, 기지훈, 김현오, 2023) 40

〈표 2-7〉 국가난제해결을 위한 임무지향적 프로그램 예시(홍성주ㆍ전찬미, 2023) 41

〈표 2-8〉 일반 R&D와 사회문제해결형 R&D 비교표(성지은, 송위진, 2023) 42

〈표 2-9〉 AI for SDGs Academy 참여기업의 가능 프로젝트 예시 45

〈표 2-10〉 YouthLead Innovation Festival 프로그램 47

〈표 4-1〉 일반학생 대상 예비조사 개요 83

〈표 4-2〉 예비조사 요인별 신뢰도 분석 결과 84

〈표 4-3〉 최종 문항 구성 86

〈표 4-4〉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자료수집 개요 90

〈표 4-5〉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연구참여자 정보 90

〈표 4-6〉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글로벌 역량 전후 비교(종합) 91

〈표 4-7〉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글로벌 역량 전후 비교(조망 수용) 92

〈표 4-8〉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글로벌 역량 전후 비교(적응력) 93

〈표 4-9〉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글로벌 역량 전후 비교(타문화 존중) 95

〈표 4-10〉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글로벌 역량 전후 비교(다문화 간 의사소통) 96

〈표 4-11〉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글로벌 역량 전후 비교(글로벌 마인드) 97

〈표 4-12〉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리더십 역량 전후 비교(자기효능감) 98

〈표 4-13〉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리더십 역량 전후 비교(리더십 특성) 99

〈표 4-14〉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리더십 역량 전후 비교(리더십 활동) 101

〈표 4-15〉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미래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전후 비교(종합) 103

〈표 4-16〉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미래 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전후 비교(공공) 103

〈표 4-17〉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미래 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전후 비교(소통) 105

〈표 4-18〉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미래 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전후 비교(위험) 106

〈표 4-19〉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미래 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전후 비교(연구) 108

〈표 4-20〉 글로벌 협력 R&E 자료수집 개요 109

〈표 4-21〉 글로벌 협력 R&E 글로벌 역량 조사 결과(종합) 110

〈표 4-22〉 글로벌 협력 R&E 글로벌 역량 조사 결과(조망 수용) 110

〈표 4-23〉 글로벌 협력 R&E 글로벌 역량 조사 결과(적응력) 112

〈표 4-24〉 글로벌 협력 R&E 글로벌 역량 조사 결과(타문화 존중) 114

〈표 4-25〉 글로벌 협력 R&E 글로벌 역량 조사 결과(다문화 간 의사소통 인식) 115

〈표 4-26〉 글로벌 협력 R&E 글로벌 역량 조사 결과(글로벌 마인드) 117

〈표 4-27〉 글로벌 협력 R&E 리더십 역량 조사 결과(현재의 리더십 평가) 118

〈표 4-28〉 글로벌 협력 R&E 리더십 역량 조사 결과(리더십 역할 수행 자신감) 118

〈표 4-29〉 글로벌 협력 R&E 리더십 역량 조사 결과(리더십 특성) 119

〈표 4-30〉 글로벌 협력 R&E 리더십 역량 조사 결과(리더십 활동) 120

〈표 4-31〉 글로벌 협력 R&E 미래 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조사 결과(종합) 121

〈표 4-32〉 글로벌 협력 R&E 미래 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조사 결과(공공) 122

〈표 4-33〉 글로벌 협력 R&E 미래 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조사 결과(소통) 123

〈표 4-34〉 글로벌 협력 R&E 미래 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조사 결과(위험) 123

〈표 4-35〉 글로벌 협력 R&E 미래 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조사 결과(연구) 125

〈표 4-36〉 국제협력형 교육 모델 발전방안 의견 수렴을 위한 협력체계 운영 개요 126

〈표 4-37〉 임무지향적 혁신 정책의 요소와 내용 129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개요 17

〈그림 1-2〉 연구의 협력체계 20

〈그림 1-3〉 연구의 추진일정 21

〈그림 2-1〉 2023 과학기술혁신(STI) 전망 전개도(OECD, 2023) 39

〈그림 2-2〉 UN의 2022 선정 Young Leader 17인 46

〈그림 3-1〉 과학영재 성장 지원을 위한 국제협력형 교육 모델 56

〈그림 4-1〉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글로벌 역량 전후 비교(종합) 91

〈그림 4-2〉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리더십 역량 전후 비교(종합) 101

〈그림 4-3〉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미래과학자로서의 사회적 책임 인식 전후 비교(종합)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