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들어가며

1장 케이팝 문화 생산의 동력
1. 예술적 상상력과 기술의 결합
2. 케이팝 탄생 배경: 디지털 미디어와 10대의 부상
3. 디지털화된 친밀성과 케이팝 문화
4. 케이팝으로 재구성되는 한류

2장 디지털 기술의 유입과 아이돌 산업의 변화
1. 가성비와 챌린지 시대
2. K-컬처에서 재현되는 문화다양성
3. 케이팝 생산 과정의 변화
4. 변화가 필요한 아이돌 산업

3장 케이팝 음악 향유 방식의 변화
1. 케이팝 음악 산업 지형의 변화
2.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3. 유튜브(Youtube): 보고 듣는 음악
4. 취향과 체험의 문화, 케이팝
4장 새로운 기술의 각축장이 된 케이팝
1. 디지털화되는 커뮤니케이션: 메타버스와 AI
2. 디지털 기술이 구현하는 음악·음악인·가수
3. 블록체인 기술과 케이팝

5장 케이팝과 팬덤을 매개하는 기술
1. 팬덤 커뮤니티 플랫폼의 지형 변화
2. 문화실천과 소비 사이에서 갈등하는 팬덤
3. 상상의 관계를 중계하는 플랫폼, 비판하는 팬덤

6장 케이팝·아이돌 추앙(推仰)하기의 아이러니

나가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미디어 기술 부상하는 케이팝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22192 306.4 -24-1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22193 306.4 -24-1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09454 306.4 -24-1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새로운 기술의 각축장이 된 케이팝
기술이 매개하는 ‘친밀성(intimacy)’의 경제적 가치 부상
미디어와 대중문화의 역할론에 대한 의미 분석


이 책은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터널을 지나오는 동안 나타난 미디어와 대중문화의 역할론을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당시 기술은 개인이 홀로 고립되지 않고, 나와 비슷한 타인들이 존재함을 인지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디지털 공간에서 일상적 삶을 공유하는 것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과 함께 소통하는 것에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분야는 대중문화였고, 특히 케이팝의 영향력은 폭발적이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우리가 기술에 익숙해질 때쯤, 아이돌 산업은 더욱 상업화되었다. 디지털 기술과 플랫폼 이용에 익숙해진 팬덤 맞춤형 아이돌 관련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팬들이 더 많은 시간 온라인 공간에 머물도록 유도하고 있다. 아이돌과 팬덤을 연결해주던 ‘친밀성(intimacy)’은 점차 생산자와 소비자를 이어주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최근 아이돌과 팬이 만날 수 있는 모든 수단은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서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아이돌은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것부터 무대 공연과 팬미팅의 태도까지 모든 것이 공개되고 기록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음악을 향유하고 사회적 이슈에 개입하는 팬덤의 문화적 실천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비가시화되었던 경쟁과 성과 중심의 운영방식에 담긴 문제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2023년 SM엔터테인먼트 경영진의 갈등, 국내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움직임, 그리고 2024년 하이브와 어도어 간의 갈등 문제가 이에 해당된다. 현재 케이팝 산업은 기획사는 창작과 경영의 문제를, 아이돌은 아티스트와 기획된 가수의 역할론에서의 갈등을, 그리고 팬들은 능동적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갈등을 빚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매개성으로 인해 팬 공동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느슨한 연결성’과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해졌지만, 케이팝 산업에서는 팬덤의 능동적 실천보다 소비를 통해 정체성을 획득하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또한 아이돌은 무대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모든 것이 콘텐츠가 되면서 아이돌의 과노동이 일상화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대중문화와 아이돌 산업 육성에 중요한 수단이 되면서 기술이 매개하는 정서, 감정, 친밀감이 경제적 가치로 전환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이 책이 보다 건강한 케이팝 문화 형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73] 아이돌의 뛰어난 보컬이나 댄스 실력을 ‘개인’이 커버하게 되면서 ‘노력’을 인정받는 과정이 될 뿐 아니라 ‘놀이’가 된다. 케이팝은 언어와 문화, 인종, 국가라는 사회적 구분기준으로부터 자유로울 뿐 아니라 소셜미디어는 이러한 경계없음을 구체적으로 체험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P. 86] 또한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공존을 지향하는 문화다양성이 한류문화 콘텐츠의 중요한 가치로서 작용해야 한다. 이미 케이팝 팬들은 페미니즘 운동, 인종차별 운동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다양성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P. 103] 엔터테인먼트사가 팬덤 플랫폼을 직접 운영하게 되면서 팬덤의 비판적 행동주의는 변화를 맞이했다. 팬들이 기획사와 소통할 수 있는 ‘디지털 소통’의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기획사가 관리하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은 아이돌과 팬덤을 동시에 관리한다. 대중문화는 다양한 정체성과 경험, 사유, 역할 수행 등이 작용하면서 생산되는데, 아이돌 산업은 상업적 측면에서 만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을 경험하게 했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케이팝 산업의 변화를 더욱 가속화했다. 일상생활까지 디지털 콘텐츠가 되는 아이돌의 삶은 감정노동의 어려움을 비가시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