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개정판에 부쳐
머리말

1부 ╻ 사람답게 살아가기
〈인권〉 누구를 위한 권리인가 _ 김형민
〈정치〉 정치 참여 어떻게 할 것인가 _ 박도현
〈복지〉 삶의 방식을 바꾸는 삶 _ 성신형
〈문화〉 교회와 세상의 소통 _ 노영상

2부 ╻ 정의롭게 살아가기
〈생명〉 삶에 대한 기준 세우기 _ 이종원
〈환경〉 창조 신앙의 생태학적 의미 _ 조용훈
〈직업〉 소명으로서의 직업과 윤리 _ 이상훈
〈경제〉 돈과 사람: 신앙인의 물질관과 소비 _ 이재명

3부 ╻ 성숙하게 살아가기
〈교회 윤리〉 그래도, 교회가 희망이다 _ 문시영
〈기독교인〉 복을 벗고 십자가를 입는 삶 _ 이지성
〈상생相生〉 다문화 사회에서 더불어 살기 이장형
〈역사〉 한국인과 기독교윤리 사상 _ 오지석

지은이 알림

이용현황보기

가치가 이끄는 삶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23083 241 -24-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23084 241 -24-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기독교인의 삶이란 어떤 것인가? 또 기독교인으로서 현실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이 책은 이런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지금은 이 질문 앞에 “참된”이란 수식어를 붙여야 할 상황이다. 차마 기독교인이나 기독교 지도자(목사)가 과연 이렇게 행동할 수 있을까 하는 파렴치한 일들이 심심찮게 매스컴을 통해 나온다.
개신교가 이 땅에 들어온 선교 초기에는 엄격한 도덕성을 가진 종교였다. 140여 년 전 당시, 한말과 일제강점기에 한국 사회는 축첩(다중 결혼생활), 술, 담배나 마약, 도박, 사기 등 무분별한 일들이 만연했다. 그런데 당시 개신교회의 자료에 보면 기독교인으로서 이런 행동 중 하나라도 발각되는 즉시 징계(치리)에 처하였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에 그런 도덕성을 기대할 수 있는가?

대학이나 교회에서 청년들을 지도하는 저자들은 이 시대를 사는 젊은이들에게 윤리적인 지침을 제시한다. 이들은 대부분 기독교윤리를 전공하였거나 최소한 미국의 저명한 기독교윤리학자 라인홀드 니부어(Karl Paul Reinhold Niebuhr, 1892~1971년)를 따르는 사람들로, 니버연구소 회원들이었다. 저자들은 정치, 경제, 직업, 환경, 인권 등 사회적 삶 전반에서 마주하게 되는 주제들에 대해 나름대로의 문제 제기와 대안적 제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때 “목적이 이끄는 삶”이라는 기독교 서적이 종교 분야를 넘어 상당 기간 전 분야 베스트셀러로 상위에 랭크된 적이 있다. 원래 신앙 서적이었지만 처세에 관한 책으로서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그런데 그 ‘목적 지향적’인 삶이 진정 성서에서 가르친 기독교인의 삶인가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저자들은, 기독교윤리의 관점에서 보자면, 그와 같은 목적 지향성은 오히려 기독교적 가치를 이반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성공, 승리, 지배, 부의 축적 등의 ‘목적지향’이 아닌 기독교적 ‘가치지향’, 즉 나눔, 베풂, 포용, 사랑, 생명, 평화, 공의와 같은 가치를 지향하며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참된 기독교인의 삶임을 알리고자 한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저자 머리말
오늘날 한국교회가 허약해진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윤리적 실천의 부재”임을 부정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이 기독교윤리 교재가 “기독교인다움”을 회복하며, 가치의 부재 및 혼돈을 극복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책이 나오기까지 수많은 토론과 합의의 과정이 있었으며, 때로는 필자들에게 송구할 정도로 글을 다듬고 고치기도 했습니다. 물론 이 작업에 대한 평가는 독자 여러분들의 몫입니다.
인간의 윤리적 삶에 대한 논의는 인류의 출발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삶을 ‘공동체적 삶’(사회성)과 ‘이성적이며 언어적인 삶’(합리성)으로 구분하고 이 둘은 결코 분리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인간의 사회성과 합리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가치 개념은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인권의 이념일 것이다. 인권은 오직 인간이 인간이기 때문에 갖는 기본적 권리로서 존엄한 각 개인의 삶에 속한 것이지만 동시에 타인과 함께 공유해야 하는 사회적인 것이다.
<인권> 누구를 위한 권리인가 _김형민
예수께서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로 사마리아 사람에 대한 사고의 전환을 만드셨다. 오늘날 기독교인들에게도 이와 같은 전환이 필요하다. 욕망이 덧칠된 기독교인의 이미지가 선한 이웃의 이미지로 전환되는 길이 여기 있다. 거대한 초대형 교회와 수많은 기독교인으로 넘쳐나는 오늘의 현실에서 과연 기독교인은 사람들에게 어떠한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는지를 생각해 보면, 마치 강도를 만난 이웃을 지나쳐 간 레위인이나 제사장처럼 여겨지는 것은 아닌지 하는 걱정이 든다.
<복지> 삶의 방식을 바꾸는 삶 _성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