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0

2. 연구의 목적 12

3. 연구의 범위 13

4. 연구방법 13

제2장 치매에 관한 이론적 고찰 15

1. 치매의 개념 15

2. 치매 진단 방법 17

3. 치매 치료ㆍ보호 프로그램 20

제3장 국내ㆍ외 치매관리정책에 관한 고찰 24

1. 국내 치매관리정책 24

1) 치매관리법 24

2) 치매국가책임제 현황 및 주요 내용 25

3) 치매관리 전달체계 29

4) 중앙치매센터의 역할 32

5) 광역치매센터의 역할 및 주요 사업 34

6) 치매안심센터의 역할 및 주요 사업 35

2. 국외 치매관리정책 37

1) WHO와 OECD 치매대응전략 37

2) 독일의 치매관리정책 40

3) 영국의 치매관리정책 42

4) 일본의 치매관리정책 45

제4장 경기도 치매 관리 시스템 현황 48

1. 경기도 치매관리 현황 48

1) 경기도 인구ㆍ사회학적 특성 48

2) 경기도 치매인구 현황 50

3) 경기도 치매유형 및 중증도 유병 현황 52

2. 경기도 치매관리 정책 53

1)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설치 운영 현황 53

2) 경기도 치매관리사업 현황 분석ㆍ평가 54

제5장 경기도 치매유관기관 종사자 및 치매환자 가족 FGI 결과 56

1. FGI 분석 개요 56

1) FGI 참여자 56

2) FGI 절차 및 분석 내용 58

2. 치매유관기관 종사자의 FGI 분석 결과 62

1) 치매유관기관의 서비스에 관한 분석 결과 64

2) 치료ㆍ재활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분석 결과 72

3) 종사자 근무 여건에 관한 분석 결과 80

4) 치매환자 가족 지원 서비스에 관한 분석 결과 91

5) 경기도 치매 정책 요구에 관한 분석 결과 96

3. 치매환자 가족의 FGI 분석 결과 109

1) 치매 돌봄 부담에 관한 분석 결과 110

2) 치매유관기관의 서비스에 관한 분석 결과 117

3) 치료ㆍ재활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분석 결과 122

4) 치매환자 가족 지원 서비스에 관한 분석 결과 129

5) 경기도 치매 정책 요구에 관한 분석 결과 134

제6장 경기도 노인의 치매 정책 설문조사 결과 142

1. 설문조사 개요 142

1) 설문참여자 142

2) 설문 절차 및 설문 내용 143

2. 경기도 노인의 치매 정책 의견 수렴 분석 결과 144

1) 치매 관련 기본적인 설문조사 결과 144

2) 치매 관리 정책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150

제7장 경기도 치매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적 방안 158

1. 치매 예방과 조기진단을 위한 치매 정기검진 의무화 실행 158

2. 치매환자 가족의 돌봄 부담 완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 서비스 확충 160

3. 치매전문인력의 고용 안정화와 전문성 강화를 위한 관리지침 도입 163

4. 경기도 치매관리 및 광역치매센터 설치ㆍ운영 조례 개정 방안 165

제8장 결론 168

참고문헌 175

[부록 1] FGI 사전 설문조사지(치매유관기관 종사자용) 178

[부록 2] FGI 사전 설문조사지(치매환자 가족용) 181

[부록 3] 개인정보수집ㆍ이용 및 제3자 제공 동의서 184

[부록 4] 연구동의서(치매유관기관 종사자용) 185

[부록 5] 연구동의서(치매환자 가족용) 186

[부록 6] 설문조사지(경기도 노인 65세 이상) 187

[부록 7] 경기도 치매관리 및 광역치매센터 설치ㆍ운영 조례 191

표목차

〈표 1〉 치매의 원인 질환 15

〈표 2〉 DSM-Ⅴ에 따른 치매 진단기준 및 병인 16

〈표 3〉 제8차 한국표준질병ㆍ사인분류에 의한 치매 진단적 분류 17

〈표 4〉 치매 진단 방법 19

〈표 5〉 비약물치료의 범주와 유형 21

〈표 6〉 치매관리법 구성 25

〈표 7〉 한국 치매 대응정책의 발전과정 요약 26

〈표 8〉 제1-2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의 목표와 추진내용 27

〈표 9〉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의 목표와 추진내용 28

〈표 10〉 성과분석 및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의 주요 내용 29

〈표 11〉 치매관리 추진 주체에 따른 역할 31

〈표 12〉 중앙치매센터 역할 및 세부내용 32

〈표 13〉 광역치매센터 현황 34

〈표 14〉 OECD에서 제안한 치매관리 정책수립 10대 전략 39

〈표 15〉 영국 국가치매관리전략의 주요 정책 내용(2020년) 45

〈표 16〉 일본의 연차별 치매관리종합계획 정책비교 46

〈표 17〉 일본의 뉴오렌지 플랜 세부시책의 치매환자 케어플랜 근거 47

〈표 18〉 경기도 고령사회 추이(2022년 기준) 49

〈표 19〉 경기도 지역유형별 행정구역 분류 및 특성 50

〈표 20〉 경기도 31개 시군별 65세 이상 치매추정인구(2023년 기준) 51

〈표 21〉 경기도 치매유형 현황 52

〈표 22〉 경기도 중증도별 유병 현황 52

〈표 23〉 경기도 지역유형별 치매안심센터 53

〈표 24〉 경기도 치매안심센터 설치 현황 및 분소 현황 53

〈표 25〉 치매유관기관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 56

〈표 26〉 치매환자 가족의 일반적 특성 57

〈표 27〉 치매유관기관 종사자 FGI 분석 내용(질문지) 58

〈표 28〉 치매환자 가족 FGI 분석 내용(질문지) 60

〈표 29〉 치매유관기관 종사자 FGI 분석 결과 62

〈표 30〉 치매환자 가족 FGI 분석 결과 109

〈표 31〉 설문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42

〈표 32〉 치매에 관한 관심 144

〈표 33〉 치매 관련 정보 145

〈표 34〉 치매 정보 매체 146

〈표 35〉 치매 교육 경험 147

〈표 36〉 치매 예방 조기 검진 관심 148

〈표 37〉 치매 인식개선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 참석 의향 149

〈표 38〉 치매국가책임제 인지 여부 150

〈표 39〉 경기도의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노력 151

〈표 40〉 치매 위험 감소 위해 중요한 것 152

〈표 41〉 치매 진단 및 치매 치료에서 중요한 것 153

〈표 42〉 치매 조호 및 지원 강화에서 중요한 것 154

〈표 43〉 치매 조호자 지원에서 중요한 것 155

〈표 44〉 치매친화적 환경 구축 및 프로그램 도입 찬성 여부 156

〈표 45〉 치매국가책임제 정책으로 가장 중요한 것 157

〈표 46〉 경기도 치매관리 및 광역치매센터 설치ㆍ운영 조례 개정안 166

그림목차

[그림 1] 치매의 진단과정 18

[그림 2] 치매진단을 위한 다각적 평가 과정 20

[그림 3] 치매 치료ㆍ보호 서비스 이용형태별 분류 22

[그림 4] 치매관리 전달체계 30

[그림 5] 치매안심센터 업무흐름도 36

[그림 6] 치매안심센터 주요 사업 36

[그림 7] 연령에 맞는 전환 프로그램 예시: 장벽이 감소된 집 41

[그림 8] 영국의 치매 돌봄 경로 43

[그림 9] 영국의 치매 대응 경로 틀 44

[그림 10] 2020년 대비 2050년 시도별 고령인구 증감률 48

[그림 11] 경기도 지리적 특성 49

[그림 12] 치매에 관한 관심 144

[그림 13] 치매 관련 정보 145

[그림 14] 치매 정보 매체 146

[그림 15] 치매 교육 경험 147

[그림 16] 치매 예방 조기 검진 관심 148

[그림 17] 치매 인식개선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 참석 의향 149

[그림 18] 치매국가책임제 인지 여부 150

[그림 19] 경기도의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노력 151

[그림 20] 치매 위험 감소 위해 중요한 것 152

[그림 21] 치매 진단 및 치매 치료에서 중요한 것 153

[그림 22] 치매 조호 및 지원 강화에서 중요한 것 154

[그림 23] 치매 조호자 지원에서 중요한 것 155

[그림 24] 치매친화적 환경 구축 및 프로그램 도입 찬성 여부 156

[그림 25] 국가책임제 정책으로 가장 중요한 것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