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지금 중국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기 위하여: ‘새 중국사’ 시리즈의 목표·
머리말
제1장 중원의 형성: 하, 은, 주 3대
1. 농경 사회의 형성: 신석기 시대
2. 하, 은, 주 3대
3. 은, 주 시대의 정치 통합: 공헌제에서 봉건제로

제2장 중국의 형성: 춘추·전국
1. 춘추·전국의 ‘영웅 시대’
2. 소농민 사회의 형성: 백생(百生)에서 백성(百姓)으로
3. 봉건제에서 현제로
4. 상앙의 변법: 기원전 4세기 중엽의 체제 개혁

제3장 제국의 형성: 진한 제국
1. 군현제에서 군국제로
2. 무제의 시대: 제국의 형성

제4장 중국의 고전 국제: 왕망의 세기
1. 선제의 중흥
2. 왕망의 세기
3. 왕망을 낳은 사회
4. 후한의 고전 국제

제5장 분열과 재통합: 위진남북조
1. 한위 혁명
2. 화북 지방 사회의 변모
3. 서진: 중원 통일 왕조의 재건
4. 5호 16국과 천하의 분열
5. 선비 탁발부의 화북 통합

제6장
고전국제의 재건: 수당 제국
1. 수문제의 천하 재통일
2. 천가한의 대당제국
3. 『대당육전』의 당대 국제

맺음말

이용현황보기

새 중국사. 1, 중화의 성립 : 당대(唐代)까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107344 952 -24-45 v.1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상전벽해의 중국 고대사
1000년 동안 지속된 오해부터의 해방!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기록된 3대(夏, 殷, 周)에 대하여 근대에 들어와 하(夏)는 물론 은(殷)까지도 실재한 나라가 아니라 전설상의 나라라는 의견이 많았다. 그런데 20세기 초 은허(殷墟)가 발굴됨으로써 은(殷)의 실재에 대하여는 의심할 여지가 없게 되었다. 은허의 발굴 이후 고고학과 인류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여 중국 고대사는 상전벽해라고 할 정도로 그 면모를 일신했다. 일본 교토(京都)학파의 학자들이 집필한 시리즈 중국사(전 5권)의 제1권인 『중화의 성립』은 고고학과 인류학의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새로 쓴 중국사이다. 그리하여 중화(中華)가 어떻게 성립하였는지를 새로운 시각에서 심도 깊게 논의한다.
이 책에서 비중 있게 다루는 이리두 문화(二里頭文化)는 하(夏)왕조와 시기 및 장소가 겹치기 때문에 하왕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중국은 물론이고 일본에서도 하왕조가 실재하는 나라였다고 생각하는 학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인류학의 인간 게놈(human genome) 연구에 의하면 한족(漢族)의 주류는 남방에서 북방으로 이동하였으며, 여기에 서쪽으로부터 동유럽계의 유입도 있었다고 한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최근 일반 국민의 중국에 대한 정서가 악화되어 감정적인 혐중(嫌中) 담론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중국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이 책의 의미가 각별하다고 하겠다.

제9회 파주북어워드 기획상 수장작(2020년)

이 책의 원서는 한국에서 번역 출판되기 전에 이미 2020년의 제9회 파주 북어워드에서 기획상을 수상하였다. 그 수상 이유를 보면 다음과 같다.

‘시리즈 중국의 역사(シリーズ中国の歴史)’(전 5권), 이와나미신서(岩波新書) 시리즈의 집필자인 와타나베 신이치로(渡辺信一郎), 마루하시 미쓰히로(丸橋充拓), 후루마쓰 다카시(古松崇志), 단조 히로시(檀上寛) 그리고 오카모토 다카시(岡本隆司)는 모두 교토 대학 출신이다. 교토 대학의 동양 사학은 오랜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번 시리즈는 그 전통에 더해서, 새로운 시각을 바탕으로 최신의 학문성과도 충분히 포함하면서, 실로 재미있게 완성한 시리즈다.
이 작은 시리즈는 포괄적이고 설명적인 통사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변천을 좇으면서도 대담하게 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로부터 ‘중국’이라는 단위가 어떻게 성립했는지를 살펴가면서 중국의 다원적인 역동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중국사 연구의 새로운 양상을 보여주는 전례 없는 도전적인 기획이다.

중국은 어떻게 해서 중국이 되었을까?

역사의 세 가지 층차


이 책에 의하면 역사를 서술하는 데 세 가지 층차가 있다고 한다. 첫째, 정치사처럼 10년·50년을 단위로 하여 변화해 가는 층차가 있다. 둘째, 500년·1000년의 단위로 관찰하지 않으면 변화가 눈에 들어오지 않는, 의식주 및 그 생산의 층차, 환언하자면 사회의 생활권의 층차가 있다. 1000년 단위는 파악하기 어려운 장기간에 걸친 변화이다. 셋째, 정치 과정과 생활권의 중간에는 100년 단위로 변화해 가는 정치 및 사회의 조직·제도의 층차가 있다. 역사는 이 세 가지 층차의 상호 작용을 통해 변화한다. ‘새 중국사’ 시리즈 제1권은 그중에서 기초가 되는 사회 생활권과 정치·사회의 조직을 중심으로 서술을 전개한다. 다시 말해 시간적·공간적인 변화의 모습 속에서 중국을 파악한다는 것이다.

이리두 문화와 하왕조

1959년에 하남성의 이리두 유적이 발굴되었는데, 이로써 기원전 1800년경부터 1500년경까지 뒷날 중국의 중원이 되는 지역에 이리두 문화가 있었다는 것이 알려졌다. 중국에서는 이 이리두 문화로부터 청동기 문명이 시작되었다. 또 이리두 유적에서는 1만 제곱미터 규모의 궁전터도 발굴되었으며, 그 뜰에는 1000명의 사람을 수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리두 문화를 형성했던 사람들은 스스로를 하(夏) 또는 하인(夏人)으로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리두 문화 유형에 속하는 하남성 서부는 후세의 문헌에서 ‘유하지거(有夏之居)’라고 불렸다. 이것으로도 알 수 있듯이 이리두 문화는 하왕조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최근 중국은 물론이고 일본의 학자 중에서도 이리두 문화에 근거해 하왕조의 실재를 말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균전제, 조용조제, 부병제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중국의 당나라가 균전제, 조용조제, 부병제를 시행하였다는 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중국 사학계의 통설로 되어왔다. 이 책은 이러한 통설을 당대(唐代)의 사료에 입각해 재검토한다. 예컨대 당대(唐代) 사료에는 균전제라는 용어도 조용조제라는 용어도 나오지 않는다. 저자에 의하면 당나라의 균전 조용조제라는 용어는 북송 사마광의 『자치통감』에 최초로 나온다. 저자는 지금까지의 균전제와 조용조제에 대한 이해를 수정해야 할 때라고 말한다. 또 구양수(歐陽脩)가 집필한 『당서(唐書)』 ‘병지(兵志)’ 간행 이래로 약 1000년 동안 당나라의 군제는 부병제뿐이며 부병이 위사·방인·행군 등 모든 군역을 담당했던 것으로 오해되어 왔지만, 이제는 과거 약 1000년 동안 계속되었던 오해로부터 해방되어야 할 때라고 한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12] 양계초가 수치스럽게 생각했던 것처럼, 중국에는 국명이 없었다. 국명에 상당하는 한(漢), 당(唐), 명(明), 청(淸) 등은 권력을 장악한 일성(一姓)·일가(一家)의 왕조 명칭이었으며, 그것을 이용하는 것은 국민을 존중하는 양계초의 주요 취지에 반했다. 그래서 그는 왕조를 초월하는 통칭으로서 중화와 중국을 거론하며 최종적으로 중국을 선택했던 것이다.
[P. 16~17] 중국, 중국사에 대한 일본인의 이러한 ‘지적 폐쇄’ 상황을 극복해 나아가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흔들리고 있는 중국, 중국사의 상(像)을 적확(的確)하게 파악하는 것은 필자에게 상당히 어려운 과제이다. 할 수 있는 일이라면, 감정적인 논의에 빠지기 일쑤인 ‘혐중론’과는 선을 긋고, 우선 새로운 대국적·전체적인 논의와 인식을 이끌어낼 소재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는 없을 것이다. 양계초가 시작했던 ‘중국사’를 새로운 소재를 가지고 서술하여 ‘중국’ 및 ‘중국사’에 대해서 약간의 공통 인식을 이룰 수단을 제공해 보고자 한다.
[P. 25] 춘추시대는 물론이고 한(漢)나라 시대의 임치에도 현대의 한족과는 다른 인간집단이 거주했으며, 또한 한자를 사용하고 고전 한어로 문장을 썼던 것이다. 제나라 인근의 노(魯)나라에서 태어난 유가(儒家)의 비조 공자(孔子)는 마침 2500년 전에 제나라에 체재했으며, 소(韶)라고 하는 고전 음악을 듣고 감동한 나머지 3개월 동안이나 고기 맛을 잊었다고 한다. 억측을 해본다면, 특이한 풍모를 지닌 것으로 전해지는 공자도 차(茶) 색깔의 눈, 좀 더 말한다면 푸른색 눈이었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