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발간사 … 5
추천사 … 8

제1장 한국인이 소나무를 좋아하게 된 기원을 찾으며 … 15

제2장 한국인의 소나무 이용과 인식의 변화 … 29
1. 한국인의 소나무 이용 변화 : 철기시대~조선 후기 … 31
2. 산림정책과 소나무 인식 변화 : 조선 후기~일제강점기 … 45
3. 대한민국의 산림정책과 소나무 인식 … 68
보론 북한이 바라는 ‘소나무의 나라’ … 92

제3장 ‘으뜸나무’가 된 소나무 … 123

제4장 ‘중요한 나무’로 역할을 한 소나무 … 139
1. 조선 후기 국가가 필요로 하는 목재를 공급한 봉산 … 141
2. 조선시대 능ㆍ원ㆍ묘와 소나무 숲 … 159
3. 천연기념물과 보호수 … 164
4. 지역주민의 삶과 소나무 … 170

제5장 ‘늘 보는 나무’가 된 소나무 … 185
1. 소나무는 어떤 나무? … 187
2. 소나무숲의 과거와 현재 … 193
3. 소나무숲의 자연적 변화와 환경 교란 … 202

제6장 소나무숲의 미래를 위한 모색 … 213

부록 … 229
1. 일본 지력의 쇠약과 적송 … 231
2. 국립산림과학원의 소나무 인식조사 주요 결과 … 240
3. 소나무ㆍ소나무숲의 천연기념물과 시도기념물 지정 현황 … 251

인용 문헌 … 254

이용현황보기

한국인과 소나무 : 소나무 선호의 역사·문화적 기원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30057 585.2 -24-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30058 585.2 -24-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10414 585.2 -24-4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1장 한국인이 소나무를 좋아하는 기원을 찾으며
이 시대 대한민국 사람들은 많은 나무 가운데 소나무를 가장 좋아한다. 조사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1991년부터 2023년까지 32년간 수행된 8번의 수종 선호도 조사에서 2위와 많은 차이를 보이며 소나무가 1순위로 선정되었다.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로 국민은 경관적 가치를 가장 높게 선정하였으나 전문가는 인문학적 가치를 들었다. 전문가 역시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로 경관적 가치를 2순위로 선택한 것을 볼 때 소나무의 경관적 가치는 국민과 전문가 모두 소나무를 좋아하는 공통된 인식이었다.
한국인이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로 ①모든 나무 가운데 소나무가 으뜸이라는 유교적 상징성, ②조선 후기 송정으로 대표되는 국가로부터 강제된 소나무의 중요성, ③조선 후기 온돌의 전국적 보급과 가정용 연료재의 과도한 채취로 우리 주변에서 늘 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소나무의 접근성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이 책은 연구의 머리말에 해당하는 1장과 본문 4장, 결론 1장으로 구성되었다.
2장은 조선 후기 현대까지 한국인의 소나무 이용과 인식의 역사적 변천을 다루었다. 특히 1945년 광복과 함께 분단된 현실을 고려하여 북한의 소나무 인식을 보론(補論)으로 함께 다루었다.
3장부터 5장까지는 소나무가 한국인에게 ‘으뜸나무’, ‘중요한 나무’, ‘늘 보는 나무’가 되었던 역사문화적 배경을 다루었다.
마지막 6장은 소나무숲이 쇠퇴하는 자연천이 과정, 산불과 소나무재선충병 등에 취약한 소나무숲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역사‧문화적 관점에서 소나무의 이용과 보전 방안을 모색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17] 오늘날, 이 시대를 살아가는 대한민국 사람들은 많은 나무 가운데 소나무를 가장 좋아한다. 조사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1991년부터 2023년까지 32년간 수행된 8번의 수종 선호도 조사에서 2위와 많은 차이를 보이며 소나무가 1순위로 선정되었다.
산림청의 여론조사 자료는 보기 없이 조사자가 직접 응답자에게 “귀하가 가장 좋아하는 나무는 무엇입니까?”라고 물어 얻은 결과이다. 소나무는 목련과 장미, 동백과 같은 꽃나무가 제외된 일반 나무에 포함되어 조사되었다.
[P. 23~24] 나는 한국인이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가 조선시대와 연결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한국인의 과반수가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인식이 어느 날 갑자기 생긴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산림은 국토의 약 63%를 차지한다. 그 산림의 약 1/4은 소나무와 곰솔(해송)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국토에서 차지하는 소나무의 비중과 분포가 단순히 자연적 요인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인간의 간섭으로 만들어진 결과였다는 것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나는 한국인이 소나무를 가장 좋아하는 이유가 ①모든 나무 가운데 소나무가 으뜸이라는 유교적 상징성, ②조선 후기 송정으로 대표되는 국가로부터 강제된 소나무의 중요성, ③조선 후기 온돌의 전국적 보급과 가정용 연료재의 과도한 채취로 우리 주변에서 늘 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소나무의 접근성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백목지장(百木之長)’, ‘세한송백(歲寒松柏)’, ‘천자(天子)의 나무’로 대표되는 소나무의 긍정적 상징성은 조선의 성리학적 질서에 따라 ‘많은 나무 중 소나무가 으뜸나무’라는 위치를 부여받았고, 교육과 문화적 계승 과정을 거쳐 쉼 없이 재생산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으뜸나무’라는 상징성은 한국인이 소나무를 좋아하는 필요조건이었다
[P. 27] 이 책은 연구의 머리말에 해당하는 1장과 본문 4장, 결론 1장으로 구성하였다. 2장은 한국인의 소나무 이용의 역사적 변천을 다루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 소나무 이용이 급격하게 늘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더불어, 조선 후기부터 현대까지 산림정책의 변화와 소나무를 바라보는 인식의 변천을 다루었다. 1945년 광복과 함께 분단된 현실을 고려하여 북한의 소나무 인식을 보론(補論)으로 함께 다루었다.
3장부터 5장까지는 소나무가 한국인에게 ‘으뜸나무’, ‘중요한 나무’, ‘늘 보는 나무’가 되었던 역사・
문화적 기원을 다루었다. 마지막 6장은 소나무숲이 쇠퇴하는 자연천이 과정, 산불과 소나무재선충병 등에 취약한 소나무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소나무의 이용과 보전 방안을 모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