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시 ㆍ 5


제1부 길게 늘어선 기억들
이 찬란한 가을에는 바람을 피워야겠다 ㆍ 13
길게 늘어선 기억들 ㆍ 14
고목 ㆍ 15
운동화와 크레파스 ㆍ 16
이발소에 가면 ㆍ 18
시인과 낙엽 ㆍ 19
눈 ㆍ 20
국화 ㆍ 21
안개 ㆍ 22
겨울 국화 ㆍ 23
산 ㆍ 24
상추 ㆍ 25
두 어머니 ㆍ 26
머물다 간 자리 ㆍ 27
자화상 ㆍ 28
떡갈나무 연가 ㆍ 29
옛날에 이런 일이 ㆍ 30
닮았다 ㆍ 31
양귀비와 꿀벌 ㆍ 32



제2부 복지관의 점심
노근리에서 ㆍ 35
까치 ㆍ 36
가훈 ㆍ 38
그 감 하나가 ㆍ 39
어느 아침 ㆍ 40
길은 있었다 ㆍ 41
영시의 이변 ㆍ 42
반달 ㆍ 43
고엽제와 고추 ㆍ 44
복지관의 점심 ㆍ 46
목련 ㆍ 47
잊을까 봐 ㆍ 48
들꽃 ㆍ 49
마지막 잎새 ㆍ 50
봄비 ㆍ 51
엇나간 대화 ㆍ 52
여자와 소주 ㆍ 54
충청도 그 친구 ㆍ 55
촌 노인의 생각 ㆍ 56
단풍 ㆍ 57



제3부 안개 낀 산책길
아기 국화 ㆍ 61
목욕탕의 남자들 ㆍ 62
노인과 낙엽 ㆍ 63
채송화 ㆍ 64
길가의 감 ㆍ 65
억새 ㆍ 66
비워둔 빈방 ㆍ 67
겨울 파리 ㆍ 68
코스모스 ㆍ 69
철동 이야기 ㆍ 70
아기단풍 ㆍ 71
안개 낀 산책길 ㆍ 72
눈 ㆍ 73
똥 ㆍ 74
낙엽 ㆍ 75
어느 봄날 ㆍ 76
봄의 찬가 ㆍ 77
목련 ㆍ 78
봄 동산 ㆍ 79
운명 ㆍ 80
봄의 풍경 ㆍ 81


제4부 썩은 감자 하나
바람개비 ㆍ 85
게으른 농부 ㆍ 86
어느 가을 ㆍ 88
그 맛이 아니야 ㆍ 90
맞은편 그 방에 ㆍ 91
썩은 감자 하나 ㆍ 92
겨울 모기 ㆍ 93
영동 찬가 ㆍ 94
하느님과 농부 ㆍ 95
간직된 버릇 ㆍ 96
주말 아침 ㆍ 97
휘청거리는 오후 ㆍ 98
허수아비 ㆍ 99
세월 이야기 ㆍ 100
단풍 ㆍ 101
눈의 운명 ㆍ 102
여보, 이제 좀 쉬자 ㆍ 104
오늘 1 ㆍ 105
행운의 클로버 ㆍ 106
오늘 2 ㆍ 108


작품 해설_문학평론가 리헌석 ㆍ 109

이용현황보기

휘청거리는 오후 : 이용완 제2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37290 811.15 -24-153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37291 811.15 -24-153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문학전문지 《문학사랑》 신인작품상을 수상하여 등단한 후, 첫 시집 『낙엽 밟는 아내』 발간 이후에 작품을 창작하여 둘째 시집 『휘청거리는 오후』를 오늘의문학사에서 발간하였습니다. 이 책은 ‘서시 – 가을 소나기’ ‘제1부 길게 늘어선 기억들’ ‘ 제2부 복지관의 점심’ ‘제3부 안개 낀 산책길’ ‘제4부 썩은 감자 하나’ ‘작품해설 – 문학평론가 리헌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1 내 어미니의 미소처럼
그 잎새 하나가 시인의 발등에 앉았다

잎새 두 손에 감싸고
나도 언젠가는
자네처럼 목줄기 말라 떨어질 몸이라네.
― 「시인과 낙엽」 일부

바람이 살랑살랑 불어와서 봄인 줄 알았는데, 검붉은 잎새가 우수수 떨어지는 것을 보며 시인은 가을을 실감합니다. 단풍잎 하나하나가 ‘생(生)의 연(緣)’을 끊고 추락하며, 무성하였던 숲을 나목(裸木)의 군락으로 만듭니다. 그때 우수수 날리던 단풍 잎새 하나가 시인의 발등에 떨어집니다. 애상에 젖은 시인은 두 손으로 잎새를 감싸며 동병상련의 정서를 발현합니다.

#2 바람과 놀던 겨울 햇살처럼
밤하늘의 별빛이
슬그머니 도둑처럼 내려와
꽃잎에 귓속말로
하늘의 소식을 전했다
무슨 말을 전했기에
꽃잎은 돌아서 파르르 떠는가
― 「국화」 일부
밤하늘의 별빛이 도둑처럼 내려와 귓속말로 하늘의 소식을 전하는 양상은 성경을 패러디한 것 같습니다. 성령이 비둘기처럼 내릴 수도 있고, 도둑처럼 몰래 현신할 수도 있다는 말씀과 거의 유사한 양상입니다. 그 ‘소식’을 들은 국화는 파르르 떠는데, 작품의 시간적 배경이 초겨울임을 유념하면, 독자들도 쉽게 원관념에 이를 수 있을 터입니다.

#3 밤새 울던 떡갈나무 잎새처럼
긴긴 겨울밤
문풍지와 함께
떡갈나무 잎새는
그렇게 밤새 울어댔다
스스사각 스스사각
― 「떡갈나무 연가」 일부

석양이 반쯤 서산마루에 걸렸을 때, 초겨울 소슬바람에 떡갈나무는 사랑의 노래를 부릅니다. 바람이 나무를 감싸고 휘돌아 나가면, 나무에서는 사람의 울음소리도 같고, 낮게 으르렁거리는 짐승 소리와도 같은 형언할 수 없는 소리가 들립니다. 그 노랫소리를 이용완 시인은 ‘스스사각 스스사각’으로 들었던가 봅니다. 시에서 의성어와 의태어는 각자 시인이 듣고 느낀 대로 표현하면 됩니다. 그 노랫소리가 ‘스스사각’으로 들린 것은 <깊은 겨울밤의/ 슬픈 노래>로 인식하였기 때문으로 유추됩니다.

#4. 짚신 자국 곰 발자국처럼
앞서간 사람들의 발자국
수백수천이
겹겹이 쌓였다
한 겹 한 겹
해 질 녘까지 거두어내니
짚신 자국 아래 곰 발자국,
태초의 길이 있었다.
― 「길은 있었다」 일부

실제로 헤아릴 수 없이 긴 시간을 거슬러, 어쩌면 겹겹이 쌓여 있을, 다양한 발자국을 한 겹 한 겹 거두어낼 수 있을까? 현재 우리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터인데, 정말 불가능한 것일까? 이와 같은 불가능을 시인은 몇 행의 시로 가능하게 만듭니다. 이것이 시인의 상상력이고, 시인의 직관일 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