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6
Ⅰ. 서론 7
Ⅱ. 연구내용 및 방법 8
1. 연구배경 및 목적 8
가. 안정동위원소 및 다중 지표를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기원 추적 연구 8
나. 안정 및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수환경 내 유기물 기원 및 생성시기 추적 연구 9
다. 환경 시료의 안정동위원소비 분석 및 전처리 방법 표준화(토양분야 Pb) 10
2. 연구 방법 11
가. 안정동위원소 및 다중 지표를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기원 추적 연구 11
(1) 연구지역 및 시료채취 11
(2) 미세먼지(PM10, PM2.5) 시료 전처리 및 화학 성분 분석 12
(3) 모델링을 활용한 발생원 추적 14
나. 안정 및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수환경 내 유기물 기원 및 생성시기 추적 연구 14
(1) 연구지역 및 시료채취 14
(2) 안정동위원소, 방사성 동위원소 및 형광분광분석 시료전처리 및 분석방법 15
(3) Iso-source 모델을 이용한 오염 기여율 산정 17
다. 환경시료의 안정동위원소비 분석 및 전처리방법 표준화 연구(토양분야 납(Pb)) 17
(1) 표준절차서 작성 17
(2) 표준절차서의 유효성 검증 18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9
1. 안정동위원소 및 다중 지표를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기원 추적 연구 19
(1) 태안, 당진의 미세먼지 특성 19
(2) PM10, PM2.5의 화학조성 특성 20
(3) 발생원 추적 21
(4) 다중 안정동위원소비 분포 특성 23
(5) End-member mixing analysis in R 모델을 이용한 미세먼지 오염기여율 산정 24
2. 안정 및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수환경 내 유기물 기원 및 생성시기 추적 연구 25
(1) 강우기 전ㆍ후 유기태 안정동위원소비 변화 25
(2) 강우기 전ㆍ후 무기태 안정동위원소비 변화 26
(3) 강우기 전ㆍ후 형광지표 변화 26
(4) 수환경 내 오염기여율 산정 27
(5) 강우기 유출량 산정 및 오염원 생성시기 추정 28
3. 환경시료의 안정동위원소비 분석 및 전처리방법 표준화 연구(토양분야 납(Pb)) 29
(1) 기관별 산분해법의 비교 29
(2) Pb 분리법의 비교 30
(3) 납 안정동위원소 표준분석법(안) 30
Ⅳ. 결론 32
Ⅴ. 참고문헌 34
〈Figure 1〉 Location of the sampling site, Taean and Dangjin 11
〈Figure 2〉 Location of the sampling site 15
〈Figure 3〉 Schematic diagram of the sample pretreatment method for applied to Pb isotopes analysis 18
〈Figure 4〉 Daily variations for the (a)PM10 and (b)PM2.5 mass concentrations in Taean and Dangjin 19
〈Figure 5〉 72hr-Backward trajectories and cluster analysis in (a)Taean and (b)Dangjin 22
〈Figure 6〉 Results of conditional probability function(CPF) model in (a)Taean, (b)Dangjin of PM10 and PM2.5 22
〈Figure 7〉 The variation of δ13C value between PM10 and PM2.5 in each study area for Taean and Dangjin 24
〈Figure 8〉 Isotope composition (208Pb/206Pb versus 207Pb/206Pb) in TaeAn and DangJin aerosols samples 24
〈Figure 9〉 Isotope composition (208Pb/206Pb versus 207Pb/206Pb) in TaeAn and DangJin aerosols samples 25
〈Figure 10〉 PCA plots of the end-members in sampling sites 27
〈Figure 11〉 EMMA plots using POC-13C, DOC concentration and BIX indices 28
〈Figure 12〉 Comparison of results of EMMA results for source contribution during pre-monsoon, monsoon and post-monsoon period 28
〈Figure 13〉 Changes in water runoff based on land use types and estimation of age for organic matter 29
〈Figure 14〉/〈Figure 13〉 Method for Pb isotope analysis of soil samples 31
〈Figure 15〉/〈Figure 14〉 Draft KS for Pb isotope analysis of soil samples 3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