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농약·산업용 화학물질 편
제1장. 유해 산업화학물질(TICs) 대응을 위한 정보
제2장. 농약 전반
제3장. 살충제(농약)
제4장. 유기인계 살충제·카바메이트계 살충제
제5장.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
제6장. 훈증제(농약)
제7장. 클로로피크린(농약 클로루피크린)
제8장. 살균제(농약)
제9장. 다황화칼슘(CaSx) 함유 살균제
제10장. 제초제(농약)
제11장. 파라콰트·다이쿼트 제제
제12장. 글리포세이트 제제
제13장. 글루포시네이트 제제
제14장. 전착제(농약)
제15장. 살서제(농약)
제16장. 가스 전반
제17장. 일산화탄소(CO)
제18장. 황화수소
제19장. 염소
제20장. 시안화수소·시안화합물
제21장. 비소화합물(아르신 포함)
제22장. 금속
제23장. 금속 퓸·폴리머 퓸
제24장. 불화수소 및 불화물
제25장. 산
제26장. 알칼리
제27장. 탄화수소류(연료류, 유기용제)
제28장. 알코올류
제29장. 계면활성제
제30장.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일으키는 물질
제31장. 전신독성이 문제가 되는 물질
참고|주요 산업(업종)별 사고발생 화학물질 정리

화학작용제 편
제1장. 총론: 화학무기 위기관리 매뉴얼
제2장. 신경작용제 대응 매뉴얼: 사린을 중심으로
제3장. 수포작용제 대응 매뉴얼: 머스터드류, 루이사이트류, 할로겐화 옥심
제4장. 화학무기 대응 매뉴얼
① 신경작용제
04-1. 신경작용제 1|사린(GB)
04-1. 신경작용제 2|소만(GD)
04-1. 신경작용제 3|타분(GA)
04-1. 신경작용제 4|VX
② 혈액작용제
04-2. 혈액작용제 1|시안화수소(AC)
04-2. 혈액작용제 2|염화시안(CK)
04-2. 혈액작용제 3|아르신(SA)
③ 질식작용제
04-3. 질식작용제 1|염소(CL)
04-3. 질식작용제 2|클로로피크린(PS)
04-3. 질식작용제 3|포스겐(CG)
04-3. 질식작용제 4|디포스겐(DP)
④ 수포작용제
04-4. 수포작용제 1|머스터드 가스(H, HD)
04-4. 수포작용제 2|질소 머스터드(HN-1, HN-2, HN-3)
04-4. 수포작용제 3|루이사이트(L)
04-4. 수포작용제 4|포스겐 옥심(CX)
⑤ 최루작용제
04-5. 최루작용제 1|클로로아세토페논(CN)
04-5. 최루작용제 2|ο-클로로벤질리딘말로노니트릴(CS)
04-5. 최루작용제 3|디벤조옥사제핀(CR)
04-5. 최루작용제 4|브로모벤질시아나이드(CA)
04-5. 최루작용제 5|캡사이신(OC)
04-5. 최루작용제 6|머스터드 오일(겨자 오일)
⑥ 구토작용제(재채기제)
04-6. 구토작용제(재채기제) 1|아담사이트(DM)
04-6. 구토작용제(재채기제) 2|디페닐클로로아르신(DA)
04-6. 구토작용제(재채기제) 3|디페닐시아노아르신(DC)
⑦ 무력화작용제
04-7. 무력화작용제|퀴뉴클리디닐벤질레이트(BZ)
제5장. 신규 화학작용제 대응 매뉴얼
05-1. 리신(WA)
05-2. 노비촉
05-3. 펜타닐

총설 | 일본중독정보센터와 급성중독의 대응

이용현황보기

(농약·산업용 화학물질/화학작용제의) 급성중독 초기 대응 매뉴얼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39358 615.9 -24-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39359 615.9 -24-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12728 615.9 -24-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발생빈도에 비해 심각한, 때로는 치명적인 중독을 유발하는
농약과 산업용 화학물질의 급성중독!


「농약·산업용 화학물질 편」은 농약과 유해 산업화학물질에 대응하는 것을 전제로 작성되었으며, 산업과 업종별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사례를 들었다. 어디까지나 사례이며, 이 책에서 모든 물질을 망라하는 것은 어렵다. 실제로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사용했던 화학물질의 명칭 및 사고 상황 등 구체적인 정보 확인이 필요함을 명심해야 한다. 다음은 상황 발생 시 초기대응을 위해 확인해야 할 확인 사항의 예시다.

✔물질명, 제품명, 성분명, 농도, 제조· 판매 회사명 등은 무엇인가?
✔발생 일시와 장소는 어디인가?
✔화학물질에 노출된 경로는 무엇인가? (피부에 부착, 눈에 침입 등)
✔사고 발생 상황은 어떠했는가? (취급 중 혹은 운송 중 사고인지 등)
✔피해자 수, 피해자가 있는 범위는 어느 정도인가?
✔환자 상태, 증상, 증상이 나타난 시간은 어느 정도인가?

이와 같이 정확한 대응 파악을 위해, 각 장은 항목에 따라 ‘개요’, ‘초기 대응을 위한 확인 사항’, ‘초기 대응 포인트’, ‘해설’ 순서로 구성되었다. ‘개요’, ‘초기 대응을 위한 확인 사항’, ‘초기 대응 포인트’는, 실제로 사고가 발생했을 때 해당 부분을 읽으면 병원 가기 전까지, 또 의료기관에서 실행할 초기 대응 포인트를 파악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해설’은 이해를 돕고자 급성중독 대응을 상세히 서술한다.

다수의 생명을 위협하는 낯선 화학물질,
화학테러와 화학작용제!


「화학작용제 편」은 화학테러 등에 사용되는 화학작용제를 다룬다. 화학테러는 발생 예측이나 피해 규모 상정이 어렵고, 또 피해의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다. 피해자를 구명하기 위해서는 노출로부터 구출·구조, 제염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의료기관에서 진료받을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학테러는 우리에게 낯선 개념이다. 이에 화학테러 대응의 기본 개념이 담긴 ‘총론’은 화학테러와 관계되는 모든 직종의 관계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일본중독센터 또한 대응하기 전 꼭 총론을 정독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한 같은 유형으로 분류되는 화학작용제라도 물리적·화학적 성질이나 독성, 작용의 차이에 따라 노출 경로나 증상, 지속성이 달라서 환자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기에, 같은 신경작용제 내에서도 각각 물질을 비교하는 등 그 차이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실제로 대규모 화학 테러가 발생했던 일본의 경험이 담긴 「화학작용제 편」은 한국에서도 언제 발생할 지 모를 화학테러에 대한 경각심과 실제 대응에서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