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제1장 서론 23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3

2. 연구 목적 28

3. 연구 수행체계 29

제2장 국내외 오존 농도의 변화 현황 30

1. 전 지구적 오존 농도 변화 및 전망 30

2. 국내 오존 농도의 장기 변동 특성 및 전망 38

3. 국내 오존의 장거리 이동(국외) 영향 48

제3장 국내외 오존 및 원인물질의 관리 정책 동향 분석 51

1. 국가별 오존 환경기준 비교 51

2. 해외 주요 국가의 오존 및 원인물질 배출 및 관리 정책 현황 52

3. 국내 오존 및 원인물질 관리 정책 현황 92

제4장 오존 원인물질의 배출 현황 및 목록 검토 96

1. 오존 원인물질의 주요 배출원 및 배출 현황 96

2. 지역별 NOx와 VOCs의 주요 배출원 및 배출 현황 98

3. 유해대기오염물질의 배출 현황 100

4. 오존 저감을 위한 원인물질의 배출 목록 개선 방안 102

제5장 오존 관리제도의 개선 방안 및 정책 제안 108

1. 오존 관리제도 및 정책 개선 방안 108

2. 제도 운영을 위한 국제협력 개선 113

3. 제도 개선을 위한 기반 연구 및 방법론 제안 114

제6장 결론 117

참고문헌 121

Executive Summary 131

판권기 2

표목차

〈표 3-1〉 미국의 오존 관리 체계 53

〈표 3-2〉 캘리포니아주 '2017 Clean Air Plan'의 분야별 주요 정책 및 내용 59

〈표 3-3〉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영국 43개 구역(28개 도시지역과 15개 교외지역)에 대한 대기질 관리 목표(EU 목표치) 달성 현황 64

〈표 3-4〉 2018년, 2019년 영국의 오염물질별 국가 배출 한도 목표 64

〈표 3-5〉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영국의 오염물질별 국가 배출 감축 목표 65

〈표 3-6〉 중국의 대기오염물질 기본항목 및 농도기준 67

〈표 3-7〉 제14차 계획의 북경-청진-허베이(징진지) 및 주변 지역의 오존 저감 목표 72

〈표 3-8〉 제14차 중국의 부문별 대기분야 주요 정책 73

〈표 3-9〉 일본 ERCA 대기 환경개선분야 조사연구 목록 79

〈표 3-10〉 일본의 대기질 기준 80

〈표 3-11〉 기후변화 대책ㆍ대기 환경 개선을 위한 광화학 옥시던트 종합 대책 개요 90

〈표 3-12〉 일본의 기후변화 대책ㆍ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광화학 옥시던트 중장기 대책 91

〈표 3-13〉 「대기환경보전법」 제44조의2(도료의 휘발성유기화합물함유기준 등) 개정(안) 92

〈표 3-14〉 건축공사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고시 제2022-571호) KCS 41 47 00 도장공사 2.1.1 개정(안) 93

〈표 3-15〉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3(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개정(안) 93

〈표 3-16〉 VOCs배출시설의 종류, 시설의 규모, 배출억제ㆍ방지시설의 설치 등에 관한 규정 [별표1] 개정(안) 94

〈표 4-1〉 VOCs 물질별 특정대기유해물질과 오존 원인물질 특성 101

〈표 4-2〉 표준산업분류체계의 제조업/식료품 제조업 부문과 CAPSS 배출원 연계 103

〈표 4-3〉 CAPSS 대기오염물질 배출원과 US EPA Speciate 5.2 배출원 연계(예시) 105

〈표 4-4〉 Speciate 5.2 배출원 연계에 따른 VOCs Profile(예시) 106

〈표 5-1〉 우리나라의 주요 대기질 개선을 위한 계획의 종류 및 현황 108

〈표 5-2〉 대기관리권역 대기환경연구지원단의 운영 규정에 대한 개정(안) 110

〈표 5-3〉 「대기환경보전법」 제44조(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규제)에 대한 개정(안) 111

〈표 5-4〉 현재 정부의 오존 농도 예보 4단계 115

그림목차

〈그림 1-1〉 1950년대 광화학 스모그시 로스앤젤레스 지역 사람들의 사진으로 방독면을 쓰고 이동하거나 스모그로 자극된 눈을 훔치는 모습 24

〈그림 1-2〉 1750~2019년 동안 주요 단수명 기후변화 유발물질들의 배출원, 대기 중 체류시간 및 기후변화 기여도를 나타낸 그림 24

〈그림 1-3〉 대류권 오존이 식물성장 감소 등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의 예 25

〈그림 1-4〉 대류권 오존의 배출원과 흡수원에 대한 간단한 모식도 25

〈그림 1-5〉 1989~2021년 전국 오존의 연평균 농도분포(좌), 1990~2019년 전국의 오존 1시간 기준 농도(100ppb) 초과시간 분포(box plot)와 미달성률(검정선)(우) 26

〈그림 1-6〉 "ozone"으로 검색된 최근 5년간 연간 출판 건수(좌) 및 나라별 출판 건수(우) 27

〈그림 1-7〉 국내의 오존 및 PM에 대한 연간 출판 현황 27

〈그림 1-8〉 제3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의 비전 및 목표 28

〈그림 1-9〉 연구 수행 체계도 29

〈그림 2-1〉 HTAP에서 수집된 6개의 대표적인 유럽 기준 지역에서 측정된 연간 평균 오존의 2000년 대비 상대적 변화 비교 31

〈그림 2-2〉 2005~2016년 동안 (a) OMI/MLS에서 관측된 그리고 (b) MERRA-2 GMI 화학수송모형으로 모의된 대류권 오존의 변화 추세 32

〈그림 2-3〉 1995부터 2017년까지 NOx, CO, NMVOC에 대한 전 세계의 연간 인위적 배출(항공기 제외) 및 항공기 배출의 변화 추세(a, c, d)와 인위적 배출 추세(CEDSv2)의... 33

〈그림 2-4〉 1995~2017년 동안 (a) 관측과 (b) 전 지구 화학수송모델(GEOS-Chem)으로 모의된 대류권 오존의 수직(연직)분포 중 중위수 농도의 변화 35

〈그림 2-5〉 1850~2100년 동안의 전 세계 대류권 연평균 오존의 변화 추정 및 전망 37

〈그림 2-6〉 우리나라 오존주의보 발령횟수 및 발령일수(1995~2021년) 38

〈그림 2-7〉 ① 2017~2021년과 ② 2012~2016년, 각 5년간 NO₂와 오존 일 8시간 최곳값(MDA8O3)의 평균의 차이(①-②) 39

〈그림 2-8〉 2000~2018년 우리나라의 지역별 오존 (a) 월 변화 및 (b) 일변화 40

〈그림 2-9〉 2000~2018년 우리나라의 오존 1시간 평균이 120ppb를 초과하는 빈도(F-120ppb)에 대한 지역별 (a) 월변화 및 (b) 일변화 40

〈그림 2-10〉 GEOS-Chem으로 모의한 4월(위)과 7월(아래)의 월평균 MDA8(8시간 평균의 일 최곳값) 오존에 대한 국내 (a) 총 인위적 배출, (b) 인위적 VOCs, (c) 자연적 VOCs,... 41

〈그림 2-11〉 5개 지역 구분 현황 42

〈그림 2-12〉 2000~2018년 오존의 1시간 평균 농도(AVG1)가 120ppb를 초과하는 빈도(F-120 ppb)의 지역별 연도별 추이 43

〈그림 2-13〉 2000~2018년 오존의 1시간 평균 농도(AVG1)가 120ppb를 초과하는 빈도(F-120 ppb)의 지역별 월변화 45

〈그림 2-14〉 2000~2018년 오존의 1시간 평균 농도(AVG1)가 120ppb를 초과하는 빈도(F-120 ppb)의 지역별 일변화 46

〈그림 2-15〉 미국 로스앤젤레스 도심(좌)과 San Bernardino(우)의 오존 및 NOx(NO+NO₂)의 일변화 47

〈그림 2-16〉 2017~2019년 수도권 대기관리권역의 8시간 평균 오존 농도(우)와 NOx, VOCs 배출량(좌)의 공간분포 47

〈그림 2-17〉 GEOS-Chem 모델에서 추정된 1995년부터 2017년까지 대류권 오존(950-250hPa)의 계절별 평균 추세에 대한 동인 48

〈그림 2-18〉 1, 4, 7, 10월에 대한 오존(Run1)과 국내 배출의 영향이 없는 배경 농도(Run3)의 일변화 49

〈그림 2-19〉 2015~2019년 동안 GEOS-Chem을 이용한 동아시아의 배출로 인한 오존 변화 모의 결과. (a)와 (b)는 기본적 변화를 (c)부터 (f)는 각각 한국과 중국에서 인위적... 50

〈그림 3-1〉 우리나라 등 주요 국가와 기관의 오존 환경기준 비교 51

〈그림 3-2〉 미국의 오존 관리 체계에 대한 개략도 53

〈그림 3-3〉 미국의 대기질 개선 계획 승인 지역의 현황 54

〈그림 3-4〉 2000~2022년 동안 미국의 오존 농도 변화 추세 55

〈그림 3-5〉 2000~2022년 동안 5~9월의 일 최대 8시간 오존 농도의 평균(검은색 선), 90th 백분위수(파란색 선) 및 98th 백분위수(빨간색 선)의 변화 추세 56

〈그림 3-6〉 2000~2022년 동안 미국 서부(좌)와 남부(우)의 오존 농도 변화 추세 57

〈그림 3-7〉 1990년부터 2030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베이 지역의 VOCs(위)와 NOx(아래)의 배출량 변화(2015년 전) 및 전망(2015년 후) 58

〈그림 3-8〉 2020년 미국 텍사스 도시 지역의 NOx와 VOCs 배출원 및 배출량 61

〈그림 3-9〉 텍사스 주시행계획(SIP)의 관리 지역 62

〈그림 3-10〉 잉글랜드의 2005~2021년 배출원별 NOx 배출 현황 66

〈그림 3-11〉 잉글랜드의 2005~2021년 배출원별 VOCs 배출 현황 66

〈그림 3-12〉 중국의 오존 일 8시간 평균 최댓값의 90 백분위수 농도(2015-2022): (앞)연평균, (뒤)3년 이동 평균 68

〈그림 3-13〉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 전역 및 주요 지역의 오존 기준치 초과 일수 비율 70

〈그림 3-14〉 2019년 337개 도시의 연간 오존 농도 평균값 70

〈그림 3-15〉 OMI 위성으로 관측한 중국의 NO₂ 농도 변화 및 NOx 저감을 위한 중국의 대기질 정책의 시간 변화 71

〈그림 3-16〉 중국 5대 경제계의 주요 탄소 배출 감소 잠재력과 잠재적 협력 배출 감소 효과 74

〈그림 3-17〉 중국의 연도별 신규 석탄발전 관련 변화 추세 76

〈그림 3-18〉 기후변화 시나리오별(SSP1-26(좌), SSP5-85(우)) 중국의 오존 농도 전망 76

〈그림 3-19〉 일본의 대기질 관련 주요 정부 주체 및 역할 78

〈그림 3-20〉 일본 소라마메 군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광화학 옥시던트 농도 및 경보 발령 현황 82

〈그림 3-21〉 일본의 자발적인 대처에 따른 VOCs 배출 억제 성과 83

〈그림 3-22〉 일본의 VOCs 규제 대상이 되는 시설 84

〈그림 3-23〉 일본의 2000~2019년 NOx, NMVOC 추정 배출량 86

〈그림 3-24〉 동아시아 2005~2019년 BVOCs 배출량 및 비중 87

〈그림 3-25〉 일본의 1990~2018년 NOx 및 NMHC 연평균 농도 87

〈그림 3-26〉 일본의 1990~2018년 오존 연평균 및 연최고 농도 88

〈그림 3-27〉 일본의 광화학 옥시던트 대책을 위한 검토 일정 89

〈그림 3-28〉 서울시의 2023년 VOCs 관리 정책 요약 95

〈그림 4-1〉 2016~2023년 동안 NOx 배출량 변화 97

〈그림 4-2〉 2016~2023년 동안 VOCs 배출량 변화 97

〈그림 4-3〉 지역별 NOx 배출원 및 배출량(2021년) 98

〈그림 4-4〉 지역별 VOCs 배출원 및 배출량(2021년) 99

〈그림 4-5〉 배출원 대분류에 대한 배출량 불확실도 평가(DARS) 결과 99

〈그림 4-6〉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현황에 대한 모식도 100

〈그림 4-7〉 지역별 CAPSS 배출량과 PRTR 배출량의 비교 101

〈그림 4-8〉 US, EPA, Speciate의 Profile 수 105

〈그림 4-9〉 오존 원인물질 및 VOCs 종별 배출량 산정방안(안) 107

〈그림 5-1〉 2017년 PM 스모그 기간 동안 미국 동부와 캐나다에 위치한 발전소의 NOx 배출량 및 강풍으로 인한 이동(좌) 및 캐나다 온타리오 지역에서 고농도 오존 발생 시 월경성... 113

〈그림 5-2〉 RCP8.5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여름철 제트기류의 변화와 그로 인한 오존 농도의 변화(좌) 및 폭염 시 BVOCs의 배출 증가와 수직(연직) 방향의 오존 이동으로... 116

이용현황보기

국내 고농도 오존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 Policy improvement strategies for high ozone concentration management in South Korea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0271 363.7392 -24-38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40272 363.7392 -24-38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17545 363.7392 -24-38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