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책을 내면서

1부 역사적 사고 연구와 평가
제1장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 수준에서 역사적 사고 개념을 적용하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평가 | 박진동
제2장 독일 HiTCH 프로젝트의 역사적 사고 역량 평가 | 고유경

2부 대규모 표준화 시험에서 나타나는 역사교육 평가
제3장 일본의 ‘대학입학공통테스트’ 역사 과목 평가 | 남한호
제4장 중국의 가오카오 역사 시험이 보여주는 대규모 대입 시험의 도전과 한계 | 구난희
제5장 인도 중등교육 역사과 수료시험의 역량 기반 평가 시도와 과도기적 특징 | 박소영
제6장 핀란드 역사 과목 대학입학자격시험의 역사적 사고 평가 | 정재윤
제7장 미국의 뉴욕주 역사/사회 리전트 시험의 특징 및 시사점 | 천은수

3부 역사적 사고 평가의 새로운 방향과 모색
제8장 국가 수준의 시험에서 역사적 사고 평가의 모색: 뉴질랜드 NCEA 〈역사〉 시험의 사례 | 김성자
제9장 싱가포르 중등학교에서 역사 탐구와 탐구 기반 평가: GCE O-레벨 및 GCE N(A)-레벨 시험에서 〈통합 인문학(역사 선택)〉 문항을 중심으로 | 김수미
제10장 미국 워싱턴주의 역사 교실기반평가를 통해 본 학습을 위한 평가 | 지모선

참고문헌
색인

이용현황보기

세계의 역사교육 어떻게 평가하는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1021 907 -24-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41022 907 -24-5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0792 907 -24-5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역사 지식 습득을 넘어
역사적 사고력과 역량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현재 학교교육에서 평가 영역은 큰 변화가 있었을 뿐 아니라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1990년대 말에 등장한 수행평가가 교육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켰던 일을 기억한다. 이에 못지않게 과정 중심 평가나 성취평가제와 같은 움직임은 또 다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그 방향은 학습에 대한 평가에서 학습을 촉진하고, 학습과 함께 하는 평가를 지향하는 것이다. 결과 중심의 평가에서 교육과정, 교수학습과 연계된 교육평가, 즉 수업의 과정 속에서 학생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평가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여기에 AI를 포함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평가가 덧붙여져 이전과 다른 지평을 열고 있다.
거대한 변화에 직면하면서 역사 교과의 특성을 견지하는 평가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할까를 고민하게 된다. 이에 역사 교과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시행하는 평가의 원리와 체제, 형태, 활용 등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살펴보려고 하였다.
- ‘책을 펴내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