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절 중국 현대 여성 문학의 장르별 한국어 번역과 양상 1. 중국 여성 작가 작품 번역의 양상 2. 소설, 신여성 노라이야기와 현대 중국 3. 시가, 백화문 소시(小詩)의 현대성 4. 산문, 신여성으로서 여성 작가의 삶과 창작 경험
제4절 중국 현대 여성 문학에 대한 한국인의 평론 1. 중국 현대 여성 문학 평론의 흐름 2. 정래동의 중국 현대 여성 문학 평론과 문학관 1) 정래동의 중국 현대 여성 문학 소개와 평론 2) 정래동의 문학관 3. 사회주의 계열의 혁명문학관과 평론 1) 김태준의 혁명지향 2) 김광주와 이달의 중국 평론 번역 3) 박승극이 본 중국 여성과 근대 4. 중국 현대 여성 문학 평론의 특징과 의미
제5절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中文摘要 殖民地朝鮮的中國現代女性文學接受?究
이용현황보기
일제강점기 한국의 중국 현대 여성 문학의 수용과 평론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2817
812.09 -24-5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42818
812.09 -24-5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17662
812.09 -24-53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일제강점기 한국의 중국 현대 문학 수용을 연구하다
일제강점기 한국의 중국 현대 문학 수용에 대한 연구가 한, 중 양국의 학자들의 주목을 받게 되면서 관련 연구의 중요한 내용인 중국 현대 여성 작가에 대한 연구와 1920~1930년대 한국 문단의 중국 현대 여성 작가에 대한 인식 또한 학계의 관심분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하지만 자료와 언어의 한계 때문에 일제강점기 한국의 중국 현대 여류 작가들에 대한 인식 연구는 여전히 큰 발전을 이룩하지 못했다. 그 중에서도 문학비평 분야의 연구는 새로운 자료 발굴에 대한 연구와 문학 텍스트 연구에 비하면 적은 편이다. 게다가 당시 한국 문단에서 소외되었던 여성 문학에 대한 연구, 특히 여성 문학에 대한 비평연구는 더 적다. 일제강점기 한국을 시대 배경으로 한국의 작가와 번역가 비평가를 중심으로 실증자료를 발굴하고 정리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소설, 산문, 시, 희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 현대 여성 작가의 작품이 한국에 전파된 양상에 대해 살피고, 번역자의 사상적 경향과 창작적 특징에 근거하여 당시 한국 문단에 번역, 소개하는 과정에서의 인식적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문단이 중국 현대 여성들의 작품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특징 및 문학적인 의의를 밝히는데 치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