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문

I. 21세기 현대의 자연과 도시
1. 강은경, 5중주를 위한 〈바벨, 혼돈의 도시〉(2018) 글 · 이혜진
2. 김자현, 〈서계동 사운드 2번〉(2020) 글 · 원유선
3. 김서량, 〈기억되어지는 땅 해남_하늘 바람 바다 땅〉(2024) 글 · 강지영
4. 유진솔, 8대의 악기를 위한 〈Back in the day...〉(2023) 글 · 박수인
5. 한대섭, 피아노 6중주를 위한 〈다섯 번째 계절〉(2021) 글 · 정다운

II. 기후위기에 대한 비판적 울림
6. 김유신, 해금, 피아노와 타악기를 위한 〈텅 빈 세계〉(2023) 글 · 김주희
7. 박명훈, 베이스 플루트, 바리톤색소폰 그리고 피아노를 위한〈오염된 땅〉(2024) 글 · 이민희
8. 이문희, 〈재활용 협주곡〉(2023) 글 · 이예지
9. 정진욱, 클라리넷과 플루트를 위한 〈티핑포인트〉(2020) 글 · 박진주
10. 조윤제, 〈고래〉(2023) 글 · 오희숙
11. 최한별, 〈멸종위기 동물의 사육제〉(2023) 글 · 이창성
12. 한경진, 메조소프라노, 피아노, 현악4중주를 위한 〈목마름〉(2023) 글 · 권애영

III. 대자연이 빚어낸 소리의 풍경화
13. 조아라, 〈숲속으로〉(2019) 글 · 김예림
14. 이재구, 〈흐름의 다섯 가지 얼굴들〉(2023) 글 · 안정순
15. 이혜성, 〈산사〉(2006) 글 · 안정순
16. 박수정, 〈Knavesmire Grasslands〉(2023) 글 · 조민경
17. 백승완, 첼로, 장구, 거문고를 위한 〈호수별〉(2017) 글 · 박수인
18. 김승연, 첼로 소나타 1번 〈경야〉(2023) 글 · 박진주

IV. 한국적 자연을 노래하다
19. 김대성, 관현악곡 〈청산(靑山)〉(2000) 글 · 임현택
20. 김범기, 피아노 독주를 위한 〈파도〉(2020) 글 · 윤예원
21. 유진선, 플루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Naturalism〉(2012) 글 · 김연수
22. 황혜정, 바이올린, 첼로 그리고 피아노를 위한 〈신들의 정원 사려니숲〉(2023) 글 · 노재현

V. 자연과 타 매체의 만남
23. 강혜리, 장구와 타악을 위한 〈겸재가 보이는 풍경〉(2015) 글 · 조민경
24. 강종희, 피리, 거문고, 첼로 위한 〈해령-Black Smokers〉(2023) 글 · 지형주
25. 이은지, 〈피보다 붉은 오후〉(2023) 글 · 김예림
26. 조미나, 〈사물놀이 판타지: 계절〉(2022) 글 · 손민경
27. 전현석, 〈VISTARA〉(2022) 글 · 이예지

VI. 자연에 대한 절대음악적 사고
28. 문석민, 5인의 연주자를 위한 〈자연스러운〉(2023) 글 · 송예진
29. 이지애, 〈돌이킬 수 없는〉(2021) 글 · 원유선
30. 장은호, 7개의 악기를 위한 〈파노라마〉(2015) 글 · 정다운
31. 정현수, 피아노 트리오를 위한 〈그 섬에 가면〉(2023/2024) 글 · 장유라

2023 비평과 해석 사이 학술포럼 - 기조 강연문 & 비평문
저자 약력 및 (사)음악미학연구회 소개

이용현황보기

환경과 자연 : 조화와 공생의 류(流)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6575 780 -24-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46576 780 -24-3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다. 여름마다 최고 기온이 갱신되는 중이며, 지구의 평균 온도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반면 겨울에는 폭설과 한파가 우리를 엄습한다. 기후와 환경 문제는 이제 의식 있는 사람들만의 걱정거리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음악가들은 이러한 현실 속에서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2024년 [한국창작음악 비평과 해석 사이] 비평집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환경과 자연: 조화와 공생의 류(流)’라는 주제로 발간하게 되었다. 특별히 이번 시리즈에서는 오늘날의 도시, 바다, 온난화, 자연 재해, 기후 위기 등을 독자적인 시선과 사고로 성찰한 작품들에 주목하였다.

1장 ‘21세기 현대의 자연과 도시’에서는 동시대 자연 환경의 다양한 소리와 일상의 소리, 지역의 소리가 담긴 작품들을 조명하였다. 강은경, 김자현, 김서량, 유진솔, 한대섭의 작품을 소개한다.
2장 ‘기후위기에 대한 비판적 울림’에서는 오늘날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반영한 일곱 작품을 다뤘다. 김유신, 박명훈, 이문희, 정진욱, 조윤제, 최한별, 한경진의 작품을 소개한다.
3장 ‘대자연이 빚어낸 소리의 풍경화’에서는 자연의 숭고함, 위대함, 경이로움을 표현한 작품에 대한 비평이 실려 있다. 조아라, 이재구, 이혜성, 박수정, 백승완, 김승연의 작품을 소개한다.
4장 ‘한국적 자연을 노래하다’에는 한국 고유의 자연에서 배어나는 아름다움을 그려낸 작품들을 조명하였다. 김대성, 김범기, 유진선, 황혜정의 작품을 소개한다.
5장 ‘자연과 타 매체의 만남’에서는 사진, 회화, 전자음악으로 매개되거나, 타 장르와의 융합을 거쳐 자연을 표현한 작품들에 집중하였다. 강혜리, 강종희, 이은지, 조미나, 전현석의 작품을 소개한다.
6장 ‘자연에 대한 절대음악적 사고’에서는 자연에 대한 형식적 성찰이 돋보이는 작품들에 주목하였다. 문석민, 이지애, 장은호, 정현수의 작품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