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론: 위태로운 삶, 애도할 수 있는 삶 ㆍ 15
1장 생존가능성, 취약성, 정동 ㆍ 49
2장 고문과 사진의 윤리: 손택과 함께 생각하기 ㆍ 81
3장 성 정치, 고문, 세속의 시간 ㆍ 119
4장 규범이라는 이름으로 무-생각 ㆍ 153
5장 비폭력 주장 ㆍ 181

이용현황보기

전쟁의 프레임들 : 삶의 평등한 애도가능성을 향하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6384 303.6 -24-6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46385 303.6 -24-6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16699 303.6 -24-6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전쟁의 윤리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던지다

주디스 버틀러의 『전쟁의 프레임들: 삶의 평등한 애도가능성을 향하여』는 전쟁 상황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에 대한 비판이다. 전쟁의 폭력 그 자체에 대한 비판뿐 아니라 폭력에 대한 선택적인 분노와 생명에 대한 불평등한 애도를 비판한다. 저자는 생명의 소중함 또는 폭력의 가증스러움을 단지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삶이 서로 직간접적으로 의도치 않게 연결된 복잡한 사회에서 어떻게 하면 폭력이 덜 발생하게 하고 삶을 더 평등하게 할 것인지를 찾는다.
저자는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 폭력의 한 조각만을 드러내서 편견과 증오를 불러일으키고 전쟁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생명들을 가치 없는 것으로 만들고 윤리감각을 마비시키는 프레임들을 분석했다. 어떤 삶은 애도할 가치가 있고 어떤 삶은 그렇지 않다고 규정하는 방식으로 사회적 질서를 재구성하고 삶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강제하는 것이다. 특히 소수자, 약자, 그리고 전쟁과 폭력의 희생자들의 삶의 가치가 무시되곤 한다.

아부 그라이브 고문 사진이 보여주는 전쟁의 프레임들

아부 그라이브 포로들을 성추행 및 고문하는 사진이 미국 국민들에게 준 충격은 강렬했다. 아부 그라이브 포로들을 고문하는 미군 병사들은 대체로 즐거운 표정이었고 카메라를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었다. 그들이 근무하는 곳 안에서 그 행위들은 부끄러울 것도 감춰야 하는 것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사진이 포로수용소 바깥으로 나왔을 때 사람들은 사진 속에서 고통 받고 모욕당하는 ‘인간’을 보았다. 감옥 안에서 작동했던 프레임이 전쟁에서 먼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작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디스 버틀러는 수전 손택의 「사진에 관하여」와 「타인의 고통에 관하여」라는 두 편의 논문을 바탕으로 고문 사진과 관련된 보도 행태를 분석하면서 전쟁 중에 작동하는 비인간화하는 프레임을 보여주었다.

누구의 삶이라도 기꺼이 축하하고 마땅히 애도할 수 있는 세상을 향하여

『전쟁의 프레임』은 단순히 전쟁에 대한 비판을 넘어, 삶의 가치, 인권, 정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저자는 폭력에 대해 비폭력으로 저항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슬픔, 분노, 애도와 같은 감정을 표현하고 공유하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행위가 폭력에 대한 저항의 중요한 방식이라고 주장한다. 공감이 연대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연대와 공동체를 통해 상호 이해와 공감을 증진하고,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새로운 윤리적 가치를 만들어갈 수 있다.
특히 분단 후 휴전 중인 한국 사회의 특수한 상황에서 이러한 시각은 우리에게 더욱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지금도 지구 곳곳에서 전쟁과 내전, 폭격과 폭탄 테러가 일어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전쟁이 앗아간 목숨, 전쟁으로 고통 받는 삶들 모두를 애도하고 고통을 덜기 위해서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기 위해 먼저 우리의 눈을 가리고 귀를 막는 ‘전쟁의 프레임들을 깨트리자고 제안한다.

“전쟁의 프레임 속에서 사는 삶고 죽는 삶도 아니게 되는 세상에서
누구의 삶이라도 기꺼이 축하하고 마땅히 애도할 수있는 세상을 향하여”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10] 비폭력은 혼자 하는 행위가 아니다. 예들 들어 이민정치에서 국가의 차별적이고 강압적인 정책에 반대하여 성소수자와 이성애 무슬림 이민자들이 정체성주의의 난국에 빠지지 않고 상호 주체로 연대하여 지향하는 목표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하듯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서 비폭력과 평화를 추구하는 여러 공동체들도 정체성주의에 빠지지 않고 연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비폭력에 대한 버틀러의 호소도 나의 삶과 타자의 삶이 불안정성과 취약성으로 얽혀 있다는 인식, 서로의 삶에 대한 평등한 인정과 애도가능성에 근거한다. _ 옮긴이의 글
[P. 27] 우리는 인명 손실에 대한 기사를 읽고 종종 그 숫자를 접하지만, 이러한 이야기는 매일 반복되며 그 반복은 끝없고 치유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전쟁에서 손실된 삶들의 불안정한 특징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러한 이해가 전쟁이 수반하는 손실에 대한 윤리적, 정치적 반대와 일치하도록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질문해야 한다. _ 서론 위태로운 삶, 애도할 수 있는 삶
[P. 52] 한 권력이 관할권이 없는 국민에게 민주주의를 ‘가져오거나’ ‘심을’ 수 있을까? 어떤 형태의 권력이 그 권력의 형태를 선택하지 않은 국민에게 강요된다면, 그것은 정의상 비민주적인 과정이다. 만약 부과된 권력의 형태를 ‘민주주의’라고 부른다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한다. 과연 ‘민주주의’가 비민주적으로 부과된 정치권력의 형태에 대한 이름이 될 수 있을까? 민주주의는 정치권력을 획득하는 수단과 그 과정의 결과를 함께 지칭해야 한다. 이는 (1933년 독일인들이 히틀러를 선출할 때 그랬던 것처럼) 다수가 비민주적인 형태의 권력에 투표할 수 있으므로 어떤 결합을 만들어냈는데, 군사 권력들 또한 선거와 기타 민의의 표출을 기각하거나 유예하는 등 명백히 비민주적인 방법으로 민주주의를 ‘심으려’ 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민주주의는 실패한다. _ 1장 생존가능성, 취약성, 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