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5

1.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2.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5

3.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9

2. 그린바이오 산업 현황과 경제적 효과 분석 20

1. 그린바이오 산업 현황 20

2. 그린바이오의 경제적 효과 27

3. 주요 시사점 38

3. 그린바이오 유형화 및 우수사례 분석 40

1. 그린바이오 유형화 40

2. 그린바이오 기업 우수사례 42

3. 주요 시사점 66

4. 그린바이오와 농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정책과제 68

1. 그린바이오 통계 구축 및 기초통계 생산 68

2. 농업과의 상생 효과에 기반한 그린바이오 지원 70

3. 그린바이오 소재화 지원 기능 확대 72

4. 그린바이오 관련 공공 R&D 성과 활용 활성화 74

참고문헌 77

판권기 3

표목차

〈표 2-1〉 국내 그린바이오 산업 분류 체계 및 자료 출처 21

〈표 2-2〉 국내 그린바이오 산업 현황(2016~2021년) 25

〈표 2-3〉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그린바이오용 농축산물 투입금액 추정예시 28

〈표 2-4〉 산업연관표상 농축산물의 그린바이오 산업으로 투입된 비율 추정값 29

〈표 2-5〉 산업연관표의 그린바이오 산업용 농축산물 투입재 선정 30

〈표 2-6〉 산업연관표의 산출물 중 그린바이오와 연관이 높은 항목 선정 30

〈표 2-7〉 산업연관표상 농축산물의 그린바이오 산업으로 투입금액 변화 추이 31

〈표 2-8〉 농축산물의 건강기능식품 부문 투입금액 변화 추이 32

〈표 2-9〉 농축산물의 의약품 부문 투입금액 변화 추이 33

〈표 2-10〉 농축산물의 살충제 및 농약 부문 투입금액 변화 추이 34

〈표 2-11〉 농축산물의 살충제 및 농약 부문 투입금액 변화 추이 35

〈표 2-12〉 농축산물의 화장품 부문 투입금액 변화 추이 36

〈표 2-13〉 그린바이오 기업 및 농산물 소재 생산 농가 현황 37

〈표 3-1〉 메디머스의 양액 기반 기능성 농산물 기술 43

〈표 3-2〉 뉴터 클러스터의 기능 및 효과 44

〈표 3-3〉 가축 및 식용곤충 간 영양성분 함량 비교 58

그림목차

〈그림 1-1〉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 및 주요 과제 13

〈그림 3-1〉 그린바이오 유형화 및 효과 41

〈그림 3-2〉 일반연수기와 뉴터 클러스터 연수기 차이점 44

〈그림 3-3〉 메디머스 '황후의 아침 면역도우米'와 '황후의 아침 혈당도우米' 47

〈그림 3-4〉 한국콜마 종합기술원 소속 연구기관 및 주요 역할 51

〈그림 3-5〉 콜마비앤에이치 주요 기술 52

〈그림 3-6〉 헤모힘 상품 사진 53

〈그림 3-7〉 일반 육류와 쌍별귀뚜라미의 아미노산 함량 비교 58

〈그림 3-8〉 일반 육류와 곤충(귀뚜라미)의 식량자원으로서 사육 시 경제성 비교 58

〈그림 3-9〉 239바이오의 '깨온' 59

〈그림 3-10〉 239바이오의 '혈당엔디앤디' 60

〈그림 3-11〉 휴온스푸디언스의 '자미랑 흑하랑'과 '흑하랑 부루수'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