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AI와 철학의 전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54108 102 -24-3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54109 102 -24-3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0222 102 -24-38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인간 너머의 철학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철학적 시각을 탐구한다. 인간 고유의 지능과 존재의 의미를 정의하던 기존 철학은 이제 AI의 발달로 큰 전환점에 서 있다. 인공지능과 인간의 차이, 기계의 의식과 책임 문제, AI 시대에 새롭게 부상하는 윤리적 쟁점 등 열 가지 철학적 주제를 다룬다. 특히 '철학 에이전트' 개념을 통해 AI와 철학을 융합한 교육 및 상담 방안을 제시하며, 철학이 인간만의 사유가 아닌 새로운 지적 존재와의 공존을 위한 사유로 확장돼야 함을 역설한다.
AI가 우리 사회, 가치관, 일상에 깊이 스며드는 상황에서 이 책은 철학의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하며, AI와의 관계에서 인간다움과 존재의 의미를 재정립하도록 돕는다. 인공지능과 공존하는 미래를 위한 인문학적, 철학적 통찰을 제공한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그런데 전산화를 기반으로 한 ‘사이버 문화 혁명’으로 경제 관련 문제는 쉽게 해결되겠지만, 이전에 없던 ‘한가한 시간 문제’는 남게 된다. 아렌트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도 제시한다. 먼저 “일하지 않은 자 먹지도 말라” 식의 노동을 의무로 여기는 도덕적 계명을 떨쳐 버려야 한다. 그다음 한가한 시간을 노동이 아닌 다른 활동으로 채워야 한다. 하지만 일에서 보람과 자긍심을 느끼던 인류가 일에서 해방된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이에 대해서 아렌트는 그럴싸한 답을 내놓지 못한다.

-01_“존재론적 특이점” 중에서
지렁이 목숨보다 인간의 목숨이 더 중요하다고 볼 근거가 자연에는 없다. 존재하는 것들의 중요성은 인간이 정한 것이다. ‘단지 수단이 아니라 언제나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라’는 칸트의 정언 명령은 인간에 대한 것이다. 지렁이는 적용 대상이 아니다. 인간의 자격을 갖춘 존재자만이 정언 명령의 주체요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때 인간 자격의 핵심 요소는 ‘이성’과 ‘도덕성’이다. ‘이성’은 스스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다. 도덕성은 스스로 판단한 옳은 일을 선택해 행하는 능력이다. 이성과 도덕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행위한 경우에만 행위자는 그 행위에 책임 능력이 있다.

-03_“기계와 책임” 중에서
시노하라 마사다케(篠原雅武)는 기후 위기나 인공지능의 발전은 칸트에게 정점에 이른 근대적 세계 이해가 한계에 봉착했음을 보여 준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이제 세계는 인간적 척도를 초월한 시공을 지닌 곳으로 새롭게 이해된다. 그리고 지구는 인간의 왕국이 아니라 여러 존재자 중 인류도 한때 거주한 곳으로 드러난다. 이제 철학은 이런 변화와 더불어 인간의 존재 방식도 바뀌게 됨을 인정하고, 그런 가운데 어떻게 살지를 물어야 한다. 시노하라는 퀭탱 메이야수(Quentin Meillassoux), 마르쿠스 가브리엘(Markus Gabriel), 그레이엄 하먼(Graham Harman) 등 21세기 철학자들의 작업을 소개한다. 이들이 근대적 인류가 소멸된 상태에서 인간 세계를 둘러싼 배경으로서의 세계를 사유하기 때문이다.

-06_“물자체와 인식 능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