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민족진영의 항일무장투쟁 제1장 봉오동 ㆍ 청산리전투에 대한 「매일신보」의 보도와 ‘歪曲’ Ⅰ. 머리말 15 Ⅱ. 독립군의 활동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경향 17 Ⅲ. ‘越江追擊隊’의 활동과 봉오동 전투에 대한 보도 32 Ⅳ. 일본군의 간도침입에 대한 보도경향 39 1. ‘討伐隊’의 활동과 청산리대첩에 대한 왜곡 39 2. 재만 한인 탄압에 대한 正當化 46 Ⅴ. 맺음말 50
제2장 1920년대 合法的 自治運動의 전개와 한인사회 Ⅰ. 머리말 311 Ⅱ. 1920년대 전반 間島朝鮮人大會와 자치운동 314 Ⅲ. 1920년대 후반 이후 합법적 자치운동의 전개 320 1. 歸化東省韓族同鄕會의 자치운동 320 2. 間島蜂起를 전후한 시기의 자치운동 326 Ⅳ. 자치문제에 대한 국내언론의 동향 331 Ⅴ. 맺음말 337
제3장 1930년 ‘間島蜂起’의 전개와 한인사회의 대응 Ⅰ. 머리말 339 Ⅱ. 간도봉기의 전개 과정과 한인공산주의자들의 활동 343 1. 5 ㆍ 30봉기의 전개와 국내언론의 보도 343 2. 간도봉기로의 확대와 투쟁 양상의 변화 350 Ⅲ. 국내 언론에 나타난 간도봉기의 양상과 한인사회의 대응 356 1. 언론에 나타난 간도봉기의 양상 356 2. 한인사회의 동향과 대응 365 Ⅳ. 맺음말 371
제4부 연구 경향과 과제 제1장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Ⅰ. 머리말 377 Ⅱ. 항일독립운동사 관련 연구 379 1. 독립군 단체의 결성과 항일무장투쟁 379 2. 인물연구 및 자료조사 385 Ⅲ. 재만 한인의 민족교육과 종교 391 Ⅳ. 한인사회의 동향과 친일문제 396 Ⅴ. 맺음말 401
제2장 청산리전투에 대한 연구 성과와 과제 Ⅰ. 머리말 405 Ⅱ. 청산리전투 전후의 정황과 무기 및 戰果 406 1. 용어의 문제와 전투범위 406 2.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을 둘러싼 정황 409 3. 전투의 전개 및 무기와 전과 413 Ⅲ. 韓人들의 피해와 庚申慘變 419 Ⅳ. 청산리전투에 대한 이범석과 홍범도의 기억과 기록 425 Ⅴ. 맺음말 434
제3장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사에 대한 서술체계와 내용 Ⅰ. 머리말 437 Ⅱ. 교과서 단원의 구성과 일제시기에 대한 서술체계 438 Ⅲ. 만주지역 독립운동사에 대한 서술 체계와 내용 검토 444 1. 서술체계와 1910년대의 독립운동 444 2. 1920~30년대 독립운동 448 Ⅳ. 인물 ㆍ 단체 ㆍ 지도 ㆍ 사진에 대한 내용 검토 455 Ⅴ. 맺음말 463
附編 天 關東軍의 在滿 興亞協會 設立과 친일논리 Ⅰ. 머리말 469 Ⅱ. 흥아협회의 조직과 활동 472 1. 조직의 성립과 구성 472 2. 활동내용 480 Ⅲ. ‘재만조선인통신’에 나타난 체제선전의 경향 487 1. 재만 한인에 대한 계몽과 체제의 우월성 487 2. 중 ㆍ 소에 대한 배타주의와 대일협력의 강조 495 Ⅳ. 맺음말 502
| 참고문헌 | 505 | 찾아보기 | 519
이용현황보기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사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