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시인의 말 글을 통한 소통과 힐링
추천사 해맑은 소년의 소식

호수의 오리들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
초승달
새싹
동창생
운동회
꿀잠
아가의 꿈나라
호수의 물결
부르릉 부르릉
사랑하는 나의친구
이사가는 날
강아지풀
한가위
거미줄
경계
딱 걸렸어
미안해
은행
가을향기
첫눈
아빠
겨울비 우산 속
눈꽃
화로
목련의 꿈
까치집
꽃샘추위
기러기의 꿈
살얼음
솜털 구름
싫어 싫어
냇가 빨래터
물동이
빗소리 뒤에
진달래의 향연
딱따구리
아카시아
제비

무논(물논)의 벼
풍선
아침이슬
둥둥둥둥
오리 세 마리
아가의 꿀잠
구름 사탕
알밤
콩닥콩닥
단풍나무
고드름
매화
가로등
꽃비
그림자
합창
초가지붕
간밤에 눈
아침이슬
개울 속에
풀벌레 소리
홍시
가을의 소리
보름달
양파의 눈물
벚꽃
참새 떼
호박꽃의 변신
버들강아지
꽃망울
숨바꼭질
다람쥐와 눈치싸움
늙은 호박 하나
뒷동산 풍경화
대밭에 가면
윙크
눈 속에
봄이다
목련의 봄나들이
누구나 시인
아궁이의 행복
약속
보리피리
딱따구리
아이스크림 하나
설레는 명절
홍시는
군고구마
봄나들이
벚꽃이야 LED야?

해설 아가의 윙크처럼 천진한 동시가 건네는 삶의 위안과 깊이 / 이경철(문학평론가·전 중앙일보 문화부장)

이용현황보기

아가의 꿈 : 강상구 동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56643 811.18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56644 811.18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저자는 공무원 생활을 하면서 전남도청 뒤 오룡산을 오르며 사색에 잠길 때가 많다. 딱따구리, 뻐꾸기, 우거진 숲, 대나무, 천사 섬, 신안 바람 소리, 진달래꽃, 철쭉, 계곡물 등등을 몸으로 느끼면서 마음 깊이 간직되어 있던 동심으로 그 대상을 동시화한다. 시심(詩心)이 우러나서 하는 일이다. 동시는 시의 원형질로 맑은 어린이의 눈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도저히 불가능한 언어 행위다. 동시를 지으면서 더불어 마음이 맑아지는 것도 그 때문이다.
저자는 두 번째 동시집인 이 시집을 간행하면서 많은 선배 문인들의 축하를 받았다.
허형만 시인은 <공직자로서 바쁜 일정 속에서도 글을 쓴다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특히 강상구 시인처럼 동시를 쓴다는 것은 커다란 축복이다. 왜냐하면 동심의 시는 곧 그 시인의 마음 자체이며 하느님이 가장 사랑하는 어린이를 위한 순수함 때문이다. 강상구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아가의 꿈』은 “추억어린 나의 길”(「메타세쿼이아」)을 걸으며 “꿈의 세계에서/앞으로 살아갈 인생도/경험”「(꿀잠」)하는 천진무구한 어린이의 마음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 어린이의 마음은 곧 “내가 너이고/네가 나”「(경계」)라는 소통과 화해와 사랑의 마음, 그리고 “나는 꽃이 됩니다/꽃은 내가 됩니다”「( 꽃비」)에서처럼 우주와의 합일 정신이 깃든 마음>이라고 했다.
윤수천 아동문학가는 <강상구 님의 동시를 읽다 보면 개울에 놓인 징검돌을 폴짝폴짝 뛰어 건너는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재미있고 귀엽고 사랑스럽다. 여기에 장난기마저 느끼게 해준다. 이는 시인의 마음이 어린이 마음과 연계돼있기 때문일 것이다. 동시를 동심의 문학이라고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들이 읽어도 좋은 동시들이 곳간마다 가득하기에 누구에게나 마음 놓고 권하고 싶은 동시집이다.>라고 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우향우 좌향좌
방향도 틀어보고

일사불란하게
학익진도 펼쳐보고

이순신 장군의 한산도대첩을
공부하나?

공군의 전투대형을
공부하나?

개중에 말썽꾸러기는

김연아 언니의 피겨 폼을
흉내 내다 혼이 납니다.

「호수의 오리들」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