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 봄... 햇볕 내리쬐는 카페 한 공간, 카페라떼
내 가슴속 자전거 〈코다(2021)〉 / 우리가 마주해야 할 흑표범 〈쁘띠 마망(2021)〉/ 그녀랑 있으면 뉴욕이 느껴져 〈미스트리스 아메리카(2015)〉/ 사람 냄새를 느낀다 〈라디오 스타(2006)〉/ 그렇게 캘리포니아를 꿈꾼다 〈중경삼림(1994)〉/ 역할의 경계를 이끌다 〈조이(2015)〉/ 거북이가 건넨 딸기우유 한 모금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2022)〉/ 과연 누군가의 이야기를 잘 듣고 있는가? 〈저스티스 오브 버니 킹(2021)〉/ 1.618대 1(사랑을 찾아 나서는 황금비율)의 치열한 조화 〈리코리쉬 피자(2021)〉/ 영수증, 세탁기 그리고 베이글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2022)〉/ 사랑의 부재, 사랑의 존재 〈작은 아씨들(2019)〉

2. 여름... 리듬 있는 재즈 선율, 뽀얀 카푸치노
흔들리는 청춘 〈배드 지니어스(2017)〉/ 우리는 모두 이렇게 사랑해 왔다 〈어쩌면 우린 헤어졌는지 모른다(2023)〉/ 도시의 하루는 각자의 사연을 가진다 〈너의 세계를 지나칠 때(2016)〉/ 연애를 정의하고 싶을 때 〈연애 빠진 로맨스(2021)〉/ 복원된 피렌체의 기억 속에서 〈냉정과 열정 사이(2001)〉/ 옳고 그름이 아닌 삶 그 자체 〈여인의 향기(1992)〉/ 작은 이야기, 커다란 힘 〈록키(1976)〉/ 시선을 감춰버린 그 곳 〈신세계로부터(2023)〉/ 기억과 자아를 둘러싼 또 다른 성장 〈마녀(2018)〉/ 언제나 빗속에 신이 있다 〈브이 포 벤데타(2005)〉/ 누군가를 바라보는 그 눈빛 〈황해(2010)〉/ 뜨거운 피를 온몸으로 끌어안고 사는 중이니까! 〈뜨거운 피(2022)〉

3. 가을... 진한 하루의 흔적, 에스프레소
봄 여름 가을 겨울 〈리틀 포레스트(2018)〉/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변산(2018)〉/
상처를 안고 살아간다는 것 〈치히로 상(2023)〉/ 잘 빚은 조각이 아름답게 무너지는 시간 〈헤어질 결심(2022)〉/ 누군가를 위한 누군가가 아닌 〈싱글 인 서울(2023)〉/ B급 향연의 뛰어난 자기 성찰 〈부기나이트(2022)〉/ 잠시 멈췄을 때 비로소 나를 깨달았다 〈비긴 어게인(2014)〉/ 눈앞에 귤이 없다는 생각을 잊어 봐! 〈버닝(2018)〉/ 집착과 성숙의 교차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 골고루 담아내는 행위, 그래야 건강하다 〈더 메뉴(2022)〉/ 영화는 재미있다. 우리 삶도 그렇다 〈파벨만스(2022)〉

4. 겨울... 노을빛 저녁 한 잔, 아메리카노
지금 당신은 진짜 인생을 살고 있나요? 〈트루먼 쇼(1998)〉/ 강박증 환자가 보도블록 경계선을 넘어서는 어떤 순간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1997)〉/ 이름, 그것만으로 하나의 장르 〈레옹(1994)〉/ 균형과 불균형 사이의 독특한 카타르시스 〈잠(2023)〉/ 그녀가 나의 과거를 노린다 〈콜(2020)〉/ 고민이 없는 사회 〈돼지의 왕(2011)〉/ 커피 앞에서 정의(定義)를 논할 때 〈커피 느와르: 블랙 브라운(2017)〉/ 평등의 시선을 갈망할 때 〈섀도우 클라우드(2020)〉/ 차갑도록 시린 그 시선 〈풀 메탈 자켓(1987)〉/ 꺾지 않으면 안 되는 것들 〈나이트메어 앨리(2021)〉/ 믿음으로 이어지는 선택의 반전 〈똑똑똑(2023)〉/ 지난한 청춘 〈지나간 어느 날(2023)〉

이용현황보기

이토록 끌리는 영화 : 이동기의 영화 노트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56345 791.4302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56346 791.4302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21867 791.4302 -25-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삶이 영화가 되는 순간,
나에게 말을 걸어오는 영화들을 마음으로 발견하다.

영화를 보고, 영화를 마음에 담고, 영화의 의미를 읽고자 하는 영화 세대들에게 영화는 단순한 영상이 아니라 삶이고 사람과 사람 간의 소통이다.

영화 칼럼니스트 이동기의 이 한 권의 영화 노트에는 삶이 영화가 되는 모든 순간에 대한 소회와 함께 책을 읽는 이들이 어떻게 그 의미를 해석하며 이해하는가를 함께 나누고자 하는 평론이면서 삶과 연결된 에세이다.

삶의 시선이 닿는 모든 곳. 모든 순간들의 영화 이야기.

봄, 여름, 가을, 겨울 4부에 걸쳐 커피의 맛을 삶의 감정에 이입해 영화의 주제와 소재로 읽어 보게 하는 50여 편의 영화들은 영화가 상영됐던 시간을 넘어 무한히 공유할 수 있는 생각과 감정, 삶의 시선을 견지할 수 있는 영화 칼럼이다.

우리는 저자가 바라본 이 시대 다양한 영화들을 만나며 시대와 세대를 읽고, 장소를 읽고 생각과 감정을 읽고, 무엇보다 진정으로 사람을 읽을 수 있는 순간을 나누게 된다.

독자 대상

- 영화로 삶을 이해하고 다른 생각 다른 의견으로 '소통'하고 싶은 이들.

도서 특징

포인트1. 영화를 보고, 마음에 담고, 그 숨은 의미를 찾고 싶은 모든 이들에게!
포인트2. 독자 스스로 영화를 이해하는 힘을 갖게 하고, 사람과 사람이 소통하는 메시지를 영화에서 찾게 한다.
포인트3. 영화에 어렵지 않게 접근하게 하며, 복잡한 영화 언어가 아닌 삶의 언어로 다가서는 영화 읽기를 제안한다.

평론과 비평은 다분히 어렵고 자기만의 틀을 갖고 있다. 그 틀은 고기 잡는 법을 알려 주는 것이 아닌, 고기 잡는 법을 그저 보여주는 것일 뿐이다. 나는 고기 잡는 법을 알려 주기를 원한다. 영화는 숨은 장치를 모두 이해해야 재미있는 게 아니다. 그것은 삶을 이해하는 방법이고, 그래서 영화는 재미있다.

-‘시작하며’에서

책속에서

알라딘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