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After the human : culture, theory and criticism in the 21st century 지은이: 베로니카 홀린저, 슈테판 헤르브레히터, 조너선 볼터, 마이클 리처드슨, 마셀 오고먼, 브루스 클라크, 수전 맥휴, 나딘 엘러스, 거다 로얼빙크 외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차례
감사의 글
서론 _셰릴 빈트
1부 인간 중심주의 이후 1 포스트휴머니즘의 역사화 _베로니카 홀린저 2 포스트구조주의와 인간 중심주의의 종언(들) _슈테판 헤르브레히터 3 포스트모더니즘 _조너선 볼터 4 신체화와 정동 _마이클 리처드슨 5 디지털 휴머니스트를 위한 레퀴엠 _마셀 오고먼
2부 새로운 연구 대상 6 기계, AI, 사이보그, 체계 _브루스 클라크 7 동물 _수전 맥휴 8 생명 ‘그 자체’ _나딘 엘러스 9 인류세 _거다 로얼빙크 10 무기물 _마그달레나 졸코스
3부 포스트휴머니티 11 인간 그 이상의 생명 정치 _소냐 반 위첼렌 12 신유물론 _스테이시 앨러이모 13 사변적 실재론: 인간과 비인간의 구분 _브라이언 윌렘스 14 인종과 ‘인간’의 한계 _마크 민치-드 레온 15 사변 소설 _셰릴 빈트 16 생명의 미적 조작 _이오나트 주르, 오론 카츠
참고문헌 찾아보기 옮긴이의 글
이용현황보기
인간 이후 : 21세기 문화, 이론, 그리고 비평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5394
001.3 -25-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65395
001.3 -25-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16601
001.3 -25-2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인간은 결코 중립적인 용어인 적 없었다 서양사 전반을 지배해 온 인간 중심적 이분법,동물·생태·사물을 주변에 놓고 인간에게 너무 많은 것을부여한 인간 중심주의 이후에는 무엇이 오는가?
지금 포스트휴머니즘의 다양한 시각을 한데 모은 『인간 이후: 21세기 문화, 이론, 그리고 비평』
이 책은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의 학술연구총서 시리즈의 열한 번째 책이다. 사업단은 인문한국플러스 사업의 일환으로 ‘혐오 시대, 인문학의 대응’이라는 어젠다 연구를 진행 중으로, 혐오 현상의 복잡성에 부응하는 다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꼈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오늘날의 포스트휴머니즘은 패권적 인식론이 배제해 온 세계에 대한 문제의식과 대멸종, 기후 변화,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라는 위기가 불러온 시의성으로 인해 중요성이 환기되고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다양한 사상적 뿌리들은 ‘포스트휴먼’이 똑같은 것을 의미하지 않음을 가리킨다. 그럼에도 이 책의 저자들은 인간 이후의 지식 생산의 실천과 정치는 무엇일지를 자세히 기록하면서, 지금 포스트휴머니즘의 지형을 개관하고 그에 대한 저항, 긴장, 경계로부터 21세기 문화, 이론, 그리고 비평의 공간들을 모색해 나간다.
패권적 인식론은 세계의 너무 많은 부분을 배제해 왔다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와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시의성
1960년대 포스트휴머니즘의 출발은 백인 남성 성인 이성애자 비장애인 중심의 ‘휴머니즘’을 해체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클라우드 슈밥 의장은 ‘제4차 산업혁명’ 논의와 함께 ‘포스트휴먼’을 언급했다. 2025년 현재 포스트휴머니즘은 공인된 서구 지식 체계의 편협성에 대해 저항하고 인간 이후에 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문화이며 이론이자 비평으로 자리 잡고 있다. 너무 많은 특권을 부여받아 온 인간은 중립적인 용어인 적 없었던 것처럼, 인종주의, 능력주의 성차별주의, 계급주의와 공동으로 잉태된 산물이기도 하다. 우리가 매일 목도하는 기후 변화, 대멸종,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라는 위기들은 동물, 생태, 사물을 주변에 놓았던 과거와 인간에게 부여했던 특권을 중지할 필요가 있음을 상기시킨다.
“『인간 이후』에 실린 연구들은 전통적으로 인문학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지 않은 지식 대상과 영역에 비평적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모든 장들은 서구 사상의 근거가 된 위계적 이분법과 ‘인간’이 그 안에서 차지해 온 특권적 지위를 심문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거부함으로써 지식과 나아가 세계를 재생산하는 작업의 윤리적·정치적 기획에 참여한다.”(편저자 셰릴 빈트의 「서론」 중에서)
『에스에프 에스프리』의 저자 셰릴 빈트, 『말, 살, 흙』의 스테이시 앨러이모, 『포스트휴머니즘』의 슈테판 헤르브레히터를 비롯한 저자 17인은 현재의 포스트휴머니즘 분야를 구성하는 다양한 대화들을 기록했다. ‘인간 이후’를 표방하고 ‘포스트’의 중의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대화가 등장할 수 있는 지점들을 주목하고 있다.
인간 이후를 표방하며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살피다
‘포스트휴먼’ 정의의 어려움과 ‘포스트’의 중의성은 ‘포스트휴머니즘’이 향하는 방향의 성질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포스트휴먼을 인간을 넘어서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면 ‘인간’이라는 범주를 온전히 부여받은 적 없는, 배제되어 온 사람들에게 ‘인간 너머’는 잘못된 방향으로 여겨질 것이다. 저자들이 포스트휴먼을 ‘인간 이후’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는 포스트휴먼에 대한 저항, 긴장, 경계로부터 이 논의를 구성하고 있음을 깨닫게 한다. 즉 이제까지 간과되어 온 다수의 목소리를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담론 안에서 포착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간 이후』를 읽어 나가는 첫 번째 관점은 과학 기술에 포화 또는 의존하는 광범위한 일상생활을 의식하는 것이다. 이 관점은 인간 이후에 무엇이 올지를 다루는 논의로 포스트휴머니즘이 시의적절함을 알게 한다. 두 번째 관점은 비인간에 대한 관심이다. 이제는 널리 알려진 인류세라는 시대 구분은 세계의 다양한 종과 물질, 즉 기계, 동물, 생명, 무기물에 대해 그리고 그들과 함께 생각하기를 요청한다. 세 번째 관점은 인간 이후의 세계를 지각할 수 있게 만드는 전략이다. 철학에서는 신유물론과 사변적 실재론을, 새로운 연구 주제로서 생명 정치와 비판적 인종 연구를,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는 사변 소설(SF)와 바이오아트를 다룬다. 이 세 가지 관점을 통해 우리는 포스트휴머니즘과 그 담론이 과다대표된 인간에 맞서는지 아니면 그에 기여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 소개(수록순)
셰릴 빈트(Sherryl Vint)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대학교 미디어와 문화연구학과 교수로 사변 소설과 과학 문화 프로그램의 책임자로 있다. 사변 소설과 문화 정치에 관해 폭넓게 글을 쓰고 있으며, 최근에 나온 주요 저서로 MIT 출판부의 필수 지식 총서 시리즈 중 하나인 『과학 소설(Science Fiction)』과 『21세기 사변 소설에 나타난 생명 정치의 미래(Biopolitical Futures in Twenty- First Century Speculative Fiction)』(2021)가 있다.
베로니카 홀린저(Veronica Hollinger) 온타리오(Ontario)에 있는 트렌트 대학교(Trent University) 문화연구학과 석좌 교수. 오랫동안 ≪사이언스 픽션 스터디스(Science Fiction Studies)≫의 공동 편집자로 활동했으며 네 권의 학술 선집의 공동 편집자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포스트휴머니즘, 사이버 문화와 기후 위기, 그리고 최근 과학 소설에 나타난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관한 글을 출간하고 있다.
슈테판 헤르브레히터(Stefan Herbrechter) 코번트리 대학교(Coventry University)의 전 문화이론 부교수이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Heidelberg University)의 영문학과 문화이론학과 교수. 문학, 문화, 미디어에 관해 폭넓게 출간하고 있다. 그의 『포스트휴머니즘: 비판적 분석(Posthumanism: A Critical Analysis)』(2013, 독일에서 2009년에 처음 출간)은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기초를 닦은 책 중 하나이다. 좀 더 상세한 정보는 http://criticalposthumanism.net와 http://stefanherbrechter.com 참조.
조너선 볼터(Jonathan Boulter) 웨스턴 대학교(Western University) 영문학과 교수. 주요 저서로 『사무엘 베케트의 산문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공간(Samuel Beckett’s Short Prose)』(2015), 『포스트휴먼의 비유(Parables of the Posthuman)』(2015), 『멜랑콜리와 아카이브(Melancholy and the Archive)』(2011), 『베케트: 당황한 독자들을 위한 가이드(Beckett: A Guide for the Perplexed)』(2008), 그리고 『새뮤얼 베케트 소설의 내러티브 해석(Interpreting Narrative in the Novels of Samuel Beckett)』(2001) 등이 있다.
마이클 리처드슨(Michael Richardson)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UNSW)의 예술과 미디어 대학의 연구 전담 교수. 학제 횡단적인 접근을 통해 문화, 미디어, 정치에 나타난 정동, 권력, 폭력의 교차점과 증언을 주로 연구한다. 최근 저서로 『증언의 제스처: 문학에 나타난 고문, 트라우마, 그리고 정동(Gestures of Testimony: Torture, Trauma and Affect in Literature)』(2016)이 있다.
마셀 오고먼(Marcel O’Gorman) 워털루 대학교(University of Waterloo)의 연구 위원장, 영문학과 교수, 비판적 미디어 실험실의 창립자 겸 책임자. 기술 문화에 관해 폭넓게 글을 쓰고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E-비평(E-Crit)』, 『네크로미디어(Necromedia)』, 그리고 『미디어 이론 만들기(Making Media Theory)』 등이 있다. 또한 전시와 공연 예술에서 세계적으로 활동해 온 예술가이기도 하다.
브루스 클라크(Bruce Clarke) 텍사스 공과대학교(Texas Tech University) 영문학과의 폴 휘트필드 혼 문학과 과학 교수. 시스템 이론, 서사 이론, 그리고 생태 이론을 주로 연구하며, 포덤 대학교 출판부(Fordham University)의 의미 시스템 총서 시리즈의 공동 편집자로 활동하면서 웹사이트 가이아 시스템(www.gaian.systems)을 운영한다.
수전 맥휴(Susan McHugh) 뉴잉글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New England) 영문학과 교수. 주요 저서로 『동물 이야기: 종의 경계를 넘나드는 서사(Animal Stories: Narrating across Species Lines)』(2011)와 『학살의 시대에 사랑하기: 집단 학살과 멸종에 맞서는 인간-동물 이야기(Love in a Time of Slaughters: Human-Animal Stories against Genocide and Extinction)』(2019)가 있으며, 출간 예정인 『예술과 과학에서의 포스트휴머니즘: 선집(Posthumanism in Art and Science: A Reader)』의 공동 편집자이다.
나딘 엘러스(Nadine Ehlers) 시드니 대학교(University of Sydney)의 사회학과 사회정책학과에서 가르친다. 신체, 법, 그리고 생물 의학에 관한 사회 문화적 연구에 초점을 맞춰 인종과 젠더 통치를 주로 연구하며, 가장 최근의 저서로 〔실로 크루퍼(Shiloh Krupar)와 함께 쓴〕 『치명적인 생명 문화: 생명 창조의 윤리(Deadly Biocultures: The Ethics of Life-making)』가 있다.
거다 로얼빙크(Gerda Roelvink) 웨스턴시드니 대학교(Western Sydney University) 소속의 학제 간 연구자. 주요 관심 분야는 다양한 경제, 사회 운동, 기후 변화, 그리고 정동 연구이다. 주요 저서로 『품위 있는 세상 만들기(Building Dignified Worlds)』(2016)가 있으며 다양한 학술지와 책에 글을 출간하고 있다.
마그달레나 졸코스(Magdalena Zolkos) 괴테 대학교(Goethe University)의 훔볼트 연구 전담 교수이자 정치 이론가. 기억의 정치, 화해, 그리고 역사적 정의를 주로 연구한다. 주요 저서로 『공동체와 주체적 삶의 화해: 장 아메리와 임레 케르테스의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이론화로서의 트라우마 증언(Reconciling Community and Subjective Life: Trauma Testimony as Political Theorizing in the Work of Jean Amery and Imre Kertesz』(2010)이 있다.
소냐 반 위첼렌(Sonja van Wichelen) 시드니 대학교 사회학과 사회정책학과 부교수 겸 과학 생명 정치 연구 네트워크 책임자. 가장 최근 저서로 『생명의 합법화: 지구화와 생명 공학 시대의 입양(Legitimating Life: Adop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Biotechnology)』(2018)이 있다.
스테이시 앨러이모(Stacy Alaimo) 오리건 대학교(University of Oregon) 영문학과 교수 겸 환경학 핵심 교수. 주요 저서로 『지배되지 않은 땅: 자연을 페미니즘 공간으로 재구성하기(Undomesticated Ground: Recasting Nature as Feminist Space)』(2000), 『몸으로서의 자연: 과학, 환경, 그리고 물질적 자아(Bodily Natures: Science, Environment, and the Material Self)』(2010), 그리고 『노출: 포스트휴먼 시대의 환경 정치와 쾌락(Exposed: Environmental Politics and Pleasures in Posthuman Times)』(2016) 등이 있다.
브라이언 윌렘스(Brian Willems) 크로아티아 스플리트 대학교(University of Split)의 영화와 필름이론학과 부교수. 가장 최근의 저서로 『사변적 실재론과 과학 소설(Speculative Realism and Science Fiction)』(2017)과 『달을 찍다(Shooting the Moon)』(2021)가 있다.
마크 민치-드 레온(Mark Minch-de Leon)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영문학과 조교수. 원주민 연구, 수사학 이론, 그리고 내러티브 및 시각 연구의 교차점에서 주로 작업한다. 최근 프로젝트에서는 캘리포니아 원주민의 지적·문화적 부활이 지닌 반식민주의적이고 비생기주의적인 차원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오나트 주르(Ionat Zurr) 오론 카츠(Oron Catts) 세계적으로 알려진 1996년의 ‘조직 배양 및 예술 프로젝트(Tissue Culture & Art Project)’를 결성한 예술가, 연구원, 큐레이터. 카츠는 심비오틱A: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 생물학 예술 우수 센터(SymbioticA: The Centre of Excellence in Biological Arts at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의 공동 창립자이자 책임자이며, 주르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 디자인 대학의 연구원 겸 강사로서 심비오틱A의 학술 코디네이터를 맡고 있다. 생물학 예술 분야의 선구자로서 폭넓은 저술과 함께 전시회를 국제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이들의 아이디어와 프로젝트는 예술계를 넘어 신소재, 직물, 디자인, 건축, 윤리, 문학, 그리고 음식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영감의 원천으로 자주 인용된다.
책속에서
[P. 18] 『인간 이후』에 실린 연구들은 전통적으로 인문학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지 않은 지식 대상과 영역에 비평적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모든 장들은 서구 사상의 근거가 된 위계적 이분법과 ‘인간’이 그 안에서 차지해 온 특권적 지위를 심문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거부함으로써 지식과 나아가 세계를 재생산하는 작업의 윤리적·정치적 기획에 참여한다. _ 서론
[P. 40] 비인간으로의 전회는 다양한 이론적 방향을 취한다. 이에 속하는 사변적 실재론, 객체 지향 철학, 생기적 유물론, 그리고 페미니즘 신유물론 등은 모두 ‘자연’ 세계를 우리 인간을 위해 실재할 때에만 유일하게 실재하는 개별적인 물체들의 조합으로서 아주 오래전부터 심각하게 축소해 재현해 온 서구 문화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_ 1 포스트휴머니즘의 역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