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    문

제1부 왜구・해양과 한일관계

왜구 最極盛期의 始期 및 특징에 관한 한 고찰 ▣ 이  영 3
1. 서론 3
2. 선행 연구의 검토 5
3. 왜구 최극성기의 특징 20
4. 결론 35

일본 무로마치 막부의 외교적 해명에 등장하는 逋逃와 고려 말 왜구 ▣ 조혜란 37
1. 서론 37
2. 겐페이갓센(源平合戦)과 후지와라노지카미쓰(藤原親光)의 고려 도항 40
3. 남북조 내란과 「고려사」 우왕 3년(1377) 5월조에 보이는 왜구와 포도 46
4. 포도의 구성 요건 53
5. 맺음말 60

여말선초 피로인 송환에 관한 한 고찰-〈이마가와 료슌(今川了俊)의 송환 배경=‘경제적 수익 목적’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한윤희 63
1. 머리말 63
2. 선행연구의 검토 65
3. 피로인 송환의 특징 68
4. 이마가와 료슌의 피로인 송환의 배경과 의의 79
5. 맺음말 86

정종 원년(1399) 藤時羅老 왜구 집단의 투항과 오에이(応永)의 난-왜구 투항에 관한 ‘조선 조정의 회유책’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송종호 89
1. 머리말 89
2. 관련 사료 및 선행연구 검토 91
3. 오에이의 난과 등시라로 왜구 투항 102
4. 맺음말 128

후기왜구와 을묘왜변 ▣ 윤성익 131
1. 머리말-20년 전과 현재의 을묘왜변관 131
2. 을묘왜변 이전의 후기왜구와 조선 136
3. 누가 을묘왜변을 일으켰는가? 149
4. 을미왜변의 특수성 165
5. 맺음말 172





16세기 동아시아해역의 군수물자 유통: 일본열도와 왜구 ▣ 이수열 179
1. 16세기 왜구론의 현재 179
2. 은 시대의 개막과 동아시아해역 184
3. 동아시아의 화기혁명 189
4. 조총과 염초 193
5. 일본열도와 왜구 200

「해동제국기」의 일본국・유구국 지도에 대하여 ▣ 이근우 207
1. 머리말 205
2. 行基圖와 「日本本國之圖」 207
3. 「日本本國之圖」의 북해 항로 215
4. 「日本國西海道九州之圖」 222
5. 「日本國一岐島之圖」 229
6. 「琉球國之圖」 236
7. 맺음말 243


제2부 고중세 동아시아와 한일관계

한반도제국과 왜국의 사신외교-백제・신라의 대왜외교 형태와 그 특징- ▣ 나행주 247
1. 머리말 247
2. 외교에 있어서의 사자・사신 248
3. 백제・신라의 대왜 사신외교 264
4. 결어를 대신해 281

신라국 집사성첩에 보이는 해민의 이동 실태와 도해 허가 문서 ▣ 정순일 295
1. 머리말 295
2. 執事省牒이 전하는 海民의 이동 양상 298
3. 海商의 이동과 渡海許可文書의 지참 307
4. 생업집단의 은밀한 도항과 문서의 위조 321
5. 맺음말 330

9세기 일본 사료 속의 울릉도・細羅國 ▣ 이재석 331
1. 머리말 331
2. 「日本三代實錄」 貞觀 5년(863) 11월 병오조의 내용 333
3. “新羅東方別嶋”와 “細羅國人” 340
4. 맺음말 355

중세 일본의 신국사상과 한반도 ▣ 이세연 357
1. 머리말 357
2. 신국을 비추는 거울 360
3. 강력한 타자, 위대한 신국 367
4. 맺음말 374




宋代 동전의 유출과 일본선 입국제한령 ▣ 고은미 377
1. 머리말 377
2. “倭船入界之禁”의 성격과 시행시기 379
3. 일본선에 의한 동전 유출의 실태 385
4. “倭船入界之禁”의 한계 389
5. 맺음말 397

引付의 소송 외 기능을 통해 바라본 執權政治의 구조 ▣ 윤한용 399
1. 머리말 399
2. 설치 직후 引付 제도의 양상과 특징 402
3. 추가법에서 바라본 引付의 소송 외 기능 410
4. 「吾妻鏡」에서 바라본 引付의 소송 외 기능 418
5. 맺음말 428


제3부 근세근현대 동아시아와 한일관계

新井白石의 對朝鮮聘禮改革의 意圖 ▣ 김상준 433
1. 머리말 435
2. 대조선빙례개혁의 추이 437
3. 復號論을 둘러싸고 444
4. 國諱問題 453
5. 新井白石의 조선관-결론에 대신해서 457

19세기 중엽 막부의 ‘해군’ 교육 도입 논의와 인식-나가사키‘해군’전습을 중심으로- ▣ 김연옥 461
1. 머리말 461
2. 전습시행 결정과정과 정책결정과정 개요 466
3. 주요 인사별 ‘해군’ 교육 인식 차이 469
4. 주요 사안별 ‘해군’ 전습 방침 477
5. 맺음말 490

일본수산지의 편찬 배경과 과정에 대하여 ▣ 서경순 493
1. 머리말 493
2. 일본수산지의 편찬 배경 495
3. 수산 조사 시행 511
4. 日本水産誌 편찬 517
5. 맺음말 531

1890년대 초 청일전쟁 개전 직전의 일본의 국내정치와 이토 히로부미 ▣ 서민교 535
1. 들어가는 말: 1880년대의 일본정치 535
2. 청년 정치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등장 538
3. 1890년대 초 제국의회 개설시기의 일본의 정치 542
4. 나오는 말: 1894년 청일전쟁의 개전 557




‘병합사안’을 통해본 한국병합 인식-나카이 기타로(中井喜太郎)를 중심으로- ▣ 정애영 561
1. 머리말 561
2. 中井의 ‘韓国併合’論과 조선통치론 563
3 한국병합기의 조선통치론과 나카이의 병합구상 572
4. 맺음말 581

‘조선의 전기왕’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와 조선사회 ▣ 이형식 585
1. 머리말 585
2. 성장과정 588
3. 대구 정착 590
4. 전력업으로의 진출 593
5. 금융업으로 진출 608
6. 지역사회에서의 활동 612
7. 조선문화재 수집과 귀환 615
8. 맺음말 618


초출일람 623
저자약력 626
축하의 글 631

이용현황보기

동아시아 해역과 교류의 역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0876 950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60877 950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4022 950 -25-4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지금까지 한일관계를 정의하면 문화 전파와 협력 관계, 그리고 대립 관계, 다시 협력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왜구 문제, 더 나아가 해양을 매개로 한 한일관계, 그리고 일본 고대·중세·근세·근현대사와 한일관계의 변화 과정을 한일관계사 및 일본사 전공자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왜구, 그리고 해양과 한일관계에 대한 7편의 글이, 제2부에서는 고대와 중세 동아시아와 한일관계에 대한 6편의 글이, 제3부에서는 근세·근현대 동아시아의 한일관계에 대한 6편 등 총 19편의 한일관계 연구 결과물이 실려있다. 단순히 한국과 일본에 국한하지 않고 동아시아 해역으로 범위를 확대해서 한일관계사와 함께 동아시아 교류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한마디로 왜구와 해양, 그리고 동아시아를 포함한 한일관계 연구를 집대성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역사 연구의 시작은 기존 연구 성과의 비판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국 중심적인 일본 학계의 역사서술은 비판에 귀를 기울이거나 수용하는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고대사와 관련해서는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선행 연구를 철저하게 비판해 새로운 연구의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