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1부 서평
식민주의와 냉전의 시각을 넘어서: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이타가키 류타)
여성의 관점으로 역사 다시 쓰기: 장편 「세여자」(조선희)와 「살아남은 여자들은 세계를 만든다」(김성경)
천리마시대와 ‘신금단’이라는 문화상징: 「신금단 선수」(최동협)
한국 스포츠의 도약과 재일코리안 스포츠인들의 족적: 「재일조선인 스포츠영웅 열전」(오시마 히로시)
역사의 복원과 복권(復權): 「독립운동열전」(임경석)
‘미디어’라는 창으로 본 북한문학: 「미디어로 다시 읽은 북한문학」(김성수)
해방 후 이태준의 소련・중국 체험: 「쏘련기행」・「혁명절의 스크바」・「중국기행」(이태준)
60년대 지식사회 담론장 읽기: 「냉전과 혁명의 시대 그리고 ‘사상계’」(사상계연구팀)
카프소설의 문학적 자산: 「탈출기-카프문학작품선집」(최서해 외)
모국어로 완역된 4.3대작: 「화산도」(김석범)
민족 이야기와 탈식민의 독법: 「이야기된 역사」(신형기)
근대성과 미래를 향한 전망: 「비루한 것의 카니발」(황종연)
네 편의 북한소설 읽기(1)-북한사회의 변화와 경제적 합리성: 「영근 이삭」(변창률)
네 편의 북한소설 읽기(2)-개발과 생태계 보존이라는 딜레마: 「바다를 푸르게 하라」(최련)
네 편의 북한소설 읽기(3)-참된 교육의 이상: 「답」(김혜영)
네 편의 북한소설 읽기(4)-통일을 바라는 북녘사람들의 마음: 「산제비」(리종렬)

2부 칼럼ㆍ기타
평화를 향한 문학의 꿈: 제2회 서울국제문학포럼 단상
탈냉전시대의 문학과 문화
해방 60년을 돌아본다
‘스포츠’라는 텍스트
대학생활 이모저모
기로에 선 대학
승화와 진혼: 다큐영화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 단상

3부 강연
어떤 연구자가 될 것인가: 문학연구와 텍스트 해석

이용현황보기

텍스트의 풍경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1467 028.1 -25-6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61468 028.1 -25-6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23275 028.1 -25-6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책 속 텍스트를 통해 사유하고 그려낸 풍경

『텍스트의 풍경』은 문학연구자인 저자가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시각으로 해방 이후 문학과 북한문학이라는 텍스트 속에서 사유하며, 깊은 통찰력으로 텍스트를 써온 글을 모아 한 권으로 엮은 책이다.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1부는 16편으로 정리한 서평이다. 여러 연대에 걸쳐 출간된 서로 다른 책을 소개하는데, 그 텍스트에 담긴 우리의 아프고도 꿋꿋한 역사를 조명함과 동시에 앞으로 나아갈 미래 풍경을 그려 보게 한다. 특히 마지막에는 네 편의 북한소설 서평을 담아, 잘 알려지지 않은 북한 사람들의 생활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2부에서는 저자가 경험하고 깨달은 것을 다시 곱씹어 정리한 칼럼 등 7편의 글을 실었다. 3부는 ‘어떤 연구자가 될 것인가’라는 제목의 강연으로, 문학연구와 텍스트 해석에 관한 내용을 포함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도 저자가 풀어낸 의미를 전복시켜 자신만의 해석을 기입해 보고, 텍스트를 다시 써보면서 현명한 ‘해석적 주체’가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