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RE:SPECT MEDIA ART OF KOREA SINCE 2000 시대의 관찰자, 행위자, 예언자로서의 미디어 아티스트 노소영
강이연 첫 번째 순간: 〈BETWEEN〉 두 번째 순간: 〈CASTING〉 세 번째 순간: 《CONNECT BTS》 네 번째 순간: 《ANTHROPAUSE》 다섯 번째 순간: 〈ORIGIN〉 여섯 번째 순간: 교육과 연구 FROM RCA TO KAIST
권병준 첫 번째 순간: 밴드, 인디레이블 두 번째 순간: 만남 세 번째 순간: 유학, 스타임(STEIM) 네 번째 순간: 새로운 가족 다섯 번째 순간: 첫 번째 개인전, 《클럽 골든 플라워》(2018)
김윤철 첫 번째 순간: 물질과 트랜스매터 두 번째 순간: 가스통 바슐라르의 철학 세 번째 순간: 나를 바꾼 책들 네 번째 순간: 매체의 심원한 시간 다섯 번째 순간: 작품 활동
김현주EX-MEDIA 첫 번째 순간: 출발점 - 전파상, 공대, 게르브와, 건축, 컴퓨터 아트 두 번째 순간: 시라큐스 - 신체와 기술사회, 아트미디어연구 세 번째 순간: 매사추세츠 - 확장미디어, 로보틱 아트 협업, 나노사이언스 네 번째 순간: 서울 - 스마트폰/SNS, 실제와 가상의 도시, 정체성, 관계, 경험 다섯 번째 순간: 쉬어가기 - 죽음, COVID-19, NEGANTHROPOCENE, 기계적 시선, 돌봄
노진아 첫 번째 순간: 1995년, 약지와 소지- 가상의 공간과 현실의 공간 두 번째 순간: 2004년, 질투하는 사이보그들 - 마른 기계 만들기 세 번째 순간: 2005년, 젖은 기계의 탄생 - 〈그들이 생명을 알까?〉 네 번째 순간: 2010년, 『기계 속의 생명』 - 인공생명체 다섯 번째 순간: 2019년, 《표면의 확장》, 그 이후
민세희 첫 번째 순간: 아티스트를 위한 프로그래밍 두 번째 순간: 실시간 데이터(2005-2010) 세 번째 순간: 데이터와 창의성(2010-2015) 네 번째 순간: 머신 러닝(인공지능) 시각화(2016-2020) 다섯 번째 순간: 데이터 사실주의에서의 인공지능 초현실주의(2021- )
박제성 첫 번째 순간: 첫 번째 질문 - 순수 미술 두 번째 순간: 두 번째 질문 - 디지털 차원 세 번째 순간: 세 번째 질문 - 나의 몸 네 번째 순간: 네 번째 질문 - 코로나19 팬데믹 다섯 번째 순간: 다섯 번째 질문 - 인공지능
방앤리 RE 다시 1년 전 추석 첫 번째 순간: 〈초월 - 월성으로의 초대〉 두 번째 순간: 〈나의 영토는 어디인가?〉 세 번째 순간: 〈FRIENDSHIP IS UNIVERSAL〉(우정은 보편적/우주적이다) 네 번째 순간: 〈액트제로〉 다섯 번째 순간: 〈어둠 속의 예언자〉 0번째 순간 ACT 0
송호준 첫 번째 순간: SNOWBOARDING & MEDIA LAB 두 번째 순간: COMPUTING CULTURE & DESIGN NOIR 세 번째 순간: SATELLITE & POOMBA 네 번째 순간: ALPHA GO 다섯 번째 순간: GOODBYE LAND YACHT CLUB
신승백 김용훈 첫 번째 순간: 코모도 64, 재믹스, MSX2, 애플II 플러스, IBM PC XT, 펜티엄 그리고 컴퓨터 두 번째 순간: 컴퓨터와 예술 세 번째 순간: 컴퓨터와 인간 네 번째 순간: 컴퓨터와 지능 다섯 번째 순간: 컴퓨터와 몸 여섯 번째 순간: 컴퓨터와…
양민하 첫 번째 순간: 다른 길 두 번째 순간: 알고리즘 - 미시적 신호 교란, 인공생명 알고리즘 세 번째 순간: 아트센터 나비와의 만남 - 자유로운 작업과 기술의 남용 네 번째 순간: 인공지능의 불완전함 그리고 억지스러운 협업 - 시각적 생경함, 레디메이드 발견, 게으름 다섯 번째 순간: 포기로부터 시작한 확장
양아치 첫 번째 순간: 1G 1984-1999 두 번째 순간: 2G 1991-2012 세 번째 순간: 3G 1998-현재 네 번째 순간: 4G 2011-현재 다섯 번째 순간: 5G 2019-현재 그리고 웹 3.0
이진준 첫 번째 순간: 시인의 마음, 조각 두 번째 순간: 연극과 무대, 경계 공간 세 번째 순간: 그들, 우리는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가? 네 번째 순간: 자연, 그리고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들 다섯 번째 순간: 총체성, 그 궁극의 환희(LIMINOID)
지하루 & 그라함 웨이크필드 첫 번째 순간: 시작점 두 번째 순간: 인공 자연 계보도와 첫 전시 세 번째 순간: TOO BEAUTIFUL 네 번째 순간: 뉴 미디어 & 살아 있는 계, 몰입적 공유 현실 다섯 번째 순간: 미지의 숲
최승준 첫 번째 순간: 8비트 퍼스널 컴퓨터 키드의 생애 두 번째 순간: 입자 세 번째 순간: 입자 인생 네 번째 순간: 나의 기원 다섯 번째 순간: 메타버그 세계관
태싯그룹 첫 번째 순간: 데뷔 @ 쌈지 스페이스(2008) 두 번째 순간: 팸스초이스(PAMS CHOICE, 2010) 세 번째 순간: 대통령 기록관(2019) 네 번째 순간: 코로나19(2020) 다섯 번째 순간: 코로나19 이후(2023)
팀보이드 첫 번째 순간: 스튜디오 시작 두 번째 순간: 시스템 에스테틱스 세 번째 순간: LIGHT WAVE 네 번째 순간: 로봇 팔 다섯 번째 순간: 현재
후니다 킴 첫 번째 순간: 소리 두 번째 순간: 장치 세 번째 순간: 번역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네 번째 순간: 네오 프로덕트 매니페스토 / 사용하는 미술 다섯 번째 순간: 이식(IMPLANT)되는 감각
발문 미디어 아트는 없다?! 일상이 된 예술의 새로운 지도 그리기 허대찬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리:스펙트 한국 미디어 아트 2000년 이후 = Re:spect media art of Korea since 2000 : 시대의 관찰자, 행위자, 예언자로서의 미디어 아티스트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0684
709.05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60685
709.05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23742
709.05 -25-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Re:spect Media Art of Korea since 2000 시대의 관찰자, 행위자, 예언자로서의 미디어 아티스트
이제는 작가의 시대이다. 미술관이나 갤러리, 또는 유명 큐레이터보다는 작가 개인이 예술적 지평을 열어가는 시대이다. 미디어 아트의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기술과 예술을 균형감 있게 이해하고 맥락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관 종사자나 큐레이터에게서 찾기는 쉽지 않다. 그만큼 기술의 발전이 빠르고 또한 그 적용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소위 융복합 시대, 미디어 아티스트들은 우리를 새로운 감각과 지각의 세계로 이끄는 선견자들이다. 아트센터 나비는 2000년에 개관하여 지난 25년간 다양한 활동들을 전개해왔다. 창작활동, 전시, 공연, 그리고 교육 등 이 모든 활동의 중심에는 항상 미디어 아티스트들이 있었다. 때로는 연금술사 같은 모습으로, 때로는 날카로운 비판자로, 또 때로는 친근한 교육자의 모습으로 드러났지만, 언제나 그들은 기술, 예술과의 씨름을 멈추지 않았다. 기술을 예술가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해체하고 분해하고 또 재조립하며 가지고 놀았다. 그로 인해 드러나는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은 언제나 놀라움과 기쁨을 선사해왔다. 이 책에 등장하는 18팀의 작가들은 때론 구도자 같은 숭고함도, 또 때론 연금술사 같은 광기도 보이지만, 모두가 한마디로 ‘덕후’들이다. 기술과 예술, 이질적인 영역이 만났을 때 가끔씩 타오르는 그 스파크의 황홀함에 다른 모든 것을 내던져버리고 마는 덕후들이다. 2023년 5월부터 10월까지 아트센터 나비에서 우리는 이 덕후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지난 20여 년간 한국의 미디어 아트 씬을 대표하는 18팀의 작가들의 〈아티스트 토크〉는 청중을 매료시키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우리는 작가들에게 작업의 여정에서 특별한 영감을 주었거나 계기가 된 〈다섯 가지의 결정적인 순간(계기) 5 Decisive Moments〉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했다. 앨리스온 허대찬 편집장의 이 제의는 작가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었다. 그들의 작업과 인생을 동시에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다. 그 결과 어디서도 들을 수 없는 작가들의 삶과 작업에 관한 진솔하고 풍성한, 주옥같은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일상의 순간에서 발현된 그들의 번뜩이는 통찰은 시대의 관찰자로서, 행위자로서, 그리고 예언자로서 미디어 아티스트가 지니는 가치와 의미를 가감없이 보여주었다. 그것은 단순한 작가 개인의 이야기를 넘어, 예술과 기술의 접점에서 우리의 지난 세대를 함께 살펴보고, 다가오는 다음 세대를 그려보는 담론의 장이었다. 이 책이 여타의 미디어 아트 관련 도서 및 학술연구와 구별되는 점은 바로 동시대 한국 미디어 아트의 흐름을 작가들의 생생한 목소리로, 그들의 의식과 생활 속에서 일어난 크고 작은 사건들의 궤적으로 그려냄으로써, 거대서사에서 자칫하면 소외될 수 있는 미시적 순간들에 주목했다는 데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디어 아티스트 아카이브 프로젝트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일반 독자들에게도 나비효과처럼 파동을 일으키는 시선의 전환을 끌어낼 것으로 기대한다. 순서에 상관없이, 마음에 끌리는 작가들의 다섯 가지 순간을 먼저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옴니버스 영화처럼 동시대를 살아간 이들이 남긴 시간의 조각들을 맞춰갈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미디어 아티스트 18팀의 ‘다섯 가지 결정적인 순간’ 한국 미디어 아트 씬에 대한 생생한 증언이자 한 시대의 기록 인간 근원의 정체성에 관한 끊임없는 고민과 실천 담아
《리:스펙트 한국 미디어 아트 2000년 이후》는 ‘아트센터 나비’와 ‘앨리스온’이 공동 주최한 프로젝트로, 일반화되거나 왜곡되어 고정되어가는 오늘날의 미디어 아트가 펼친 인식의 풍경을 ‘작가의 여정’을 중심으로 재고하기 위해 기획한 아카이브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이 프로젝트에는 강이연, 권병준, 김윤철, 김현주ex-media, 노진아, 민세희, 박제성, 방앤리, 송호준, 신승백 김용훈, 양민하, 양아치, 이진준, 지하루 & 그라함 웨이크필드, 최승준, 태싯그룹, 팀보이드, 후니다 킴까지, 10여 년 이상 흥미롭고 의미 있는 관점을 투사하며 족적을 남기고 있는 대한민국 미디어 아트 대표 창작자들이 참여했다. ‘아티스트 토크’ 형식으로 진행된 이 자리를 통해 작가들은 20년의 시간선을 두고 그들이 걸어온 시간과 각자의 관점이 투영된 동시대 풍경을 다섯 가지의 인상적이고 의미 있는 사건을 중심으로 연결하며 관객과 함께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작가 스스로가 선정한 ‘다섯 가지 결정적인 순간’에는 작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나 첫 전시, 기술의 충격, 관점을 바꾼 서적 등, 개인의 작업세계에서 중요한 사건들이 포함되었으며, 기억과 상황에 대한 회고, 그리고 각자의 관점이 담긴 이야기를 마주하며 공시적-통시적 축의 씨줄과 날줄이 엮인 장면 담기를 시도했다. 이를 기반으로 작가와 관객 모두가 다양한 관점에서 미디어 아트를 마주하며 개인, 집단, 현실, 나아가 가능성으로의 연결에 닿기까지를 시도하며 모두의 기억과 관점, 의미를 공유했다. 그 과정을 통해 작가와 진행자의 문화·사회·기술적 시선을 가시화하고 연결하여 의미의 풍부화를 시도하며, 나아가 공시적 연결과 통시적 펼침을 통해 상황을 입체적으로 직조하여, 우리의 미디어 아트에 대한 시선과 이해를 풍부하게 마주할 수 있는 포인트를 조성하려고 했다. 참여한 작가들은 대부분 1970-1980년대에 출생한 40대로, 디지털 이민 세대(digital immigrant)라 칭하는, 디지털 기술 보급 전에 태어나 삶의 과정 중 컴퓨터와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환경과 기술에 접촉하며 경험을 형성해온 사람들이다. 아날로그적 삶과 사회와 디지털 세계 모두를 접촉하고 살아온 세대이며, 그중에서도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디지털의 변화와 메시지를 감각하고 체화한 애호가이기도 하다. 이들은 디지털 기술을 통해 펼쳐진 세계가 그 이전의 세계를 확장하며 강화하고 때로는 교란하며 우리의 삶에 깊은 영향을 끼치는 과정을 직접 겪으며 걸어왔다. 원자로 구성된 물리세계에 비트로 구축된 디지털 세계가 연결되고 이들이 함께 실제가 되며, 가상과 현실이 서로 얽히며 실재로서 부딪쳐오는 오늘을 살아왔다. 미디어 아트의 경계는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그에 반응하는 아이디어, 예술적 표현 방식이 연결되며 본질적으로는 끊임없이 유동한다. 미디어 아트는 이렇게 새로운 기술에 반응하는 한편 다양한 예술적 관행과 형식을 통합하는 학제 간 연결을 통한 하이브리드적 모습을 고유하게 간직한다. 여기에서 기술은 용매로서 다가오거나 용매로써 다루어지며 그 이전에는 연결하고 담아낼 수 없었던 많은 것을 포용한다. 이러한 순환 속에서 미디어 아트 작가 및 창작자는 유희자(player), 관찰자(observer), 해석자(interpreter), 제안자(proposer), 혁신가(innovator) 등의 다양한 행위자로서 활동한다. 그들은 기술, 기술적 도구, 기술적 현상을 즐겁고 흥미로운 자극이자 대상으로 마주하며 소개된 기능과 맥락과는 다른 새로운 가능성과 의미를 잡아내고 이것을 사유한다. 그들은 기술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창출해내는 전문가는 아닐지언정 이해를 기반으로 기술을 다루어내며, 이를 작품세계와 메시지에 연결해낼 수 있는 매개자이자 이해자이다. 그들은 사회, 기술, 문화의 변화를 주시하고 그 현실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을 세우고 관찰하고 이를 자신의 작업에 담아낸다. 해당 변화와 현상, 복잡한 기술이나 사회적 상황과 관계 등 추상적 개념을 시각화하거나 청각화하며 때로는 이들을 함께 묶음으로써, 사유와 동시에 감각을 접촉시킨다. 신체와 정신, 이성과 감각을 모두 두드리는 그들의 메시지는 실존에 닿는다. 이러한 여정이 펼쳐졌던 2023년 아트센터 나비에서의 《리:스펙트 한국 미디어 아트 2000년 이후》가 여기, 기록으로 정리되었다. 다시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자리에서 오늘 우리의 미디어 아트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한다. (발문에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