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고구려사의 전개와 역사적 성격 / 임기환 1. 고구려사의 시간·공간 범위 2. 고구려사의 시기구분 3. 고구려사의 역사적 성격
2 고구려사 연구동향 2장 조선 후기~1970년대, 고구려사 연구의 태동 / 이정빈 1. 근대적 연구의 여명과 광개토왕비 발견 2. 기원·종족 계통 및 시공간의 탐색 3. 발전단계론을 중심으로 한 역동적 변화상 탐구
3장 1980~1990년대, 새로운 장을 연 고구려사 연구 / 김현숙 1. 정치체제와 정치사 연구 2. 초기 왕계 연구 3. 건국신화, 기원, 주민 구성 연구 4. 광개토왕비 연구의 새로운 국면 5. 대외관계, 유민 및 기타 연구 6. 1980~1990년대 연구의 특징과 한계
4장 2000년대 이후, 고구려사 연구의 비약적 성장과 심화 / 정호섭 1. 사료 연구 2. 정치사 연구 3. 지방통치와 관방체계 연구 4. 대외관계와 영역 변천 연구 5. 도성과 왕릉 연구 6. 종교와 문화 연구 7. 천하관과 기타 연구 8.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인식 논쟁
3 고구려사 연구자료 5장 국내 문헌사료 / 임기환 1. 『삼국사기』 고구려 관련 기사 2. 『삼국유사』 고구려 관련 기사 3. 『동명왕편』, 『제왕운기』, 『해동고승전』의 고구려 관련 기사
6장 국외 문헌사료 / 이성제 1. 『한서』·『후한서』·『삼국지』 고구려 관련 기사 2. 고구려 중기사 관련 사서 3. 고구려 후기사 관련 사서
7장 금석문과 문자자료 / 여호규 1. 금석문·문자자료의 현황과 문자문화 2. 고분 묵서와 무덤 주인공의 성격 3. 광개토왕릉비와 집안고구려비 4. 충주고구려비의 구성 내용과 건립시기 5. 고구려 유민묘지명의 현황 6. 의의와 과제
8장 고고·미술자료 / 양시은 1. 도성과 성곽 2. 고분과 벽화 3. 유물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고구려 통사. 총론 편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3421
951.32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63422
951.32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3382
951.32 -25-1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고구려사 연구성과와 방법론을 담은 지침서
고구려사는 한국고대사에서 지난 10년간 가장 큰 변화상을 보였던 분야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초기 기사를 적극 활용하여 고구려사 연구의 방향과 방법론이 새롭게 모색되었으며, 정치사와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연구주제가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고고학에서는 북한의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개설적인 정리를 시도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중국에 남아 있는 고구려 고고자료가 소개되고 임진강 이남의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고구려 유적에 대한 조사가 늘어나면서 고분벽화·고분·토기 등 여러 분야에서 독자적인 연구성과물이 나오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고구려통사』 발간은 이러한 고구려사 연구성과를 충실하게 정리하여 학계와 일반에게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막 입문한 이들에게는 고구려사 연구의 지침서가 되고, 역사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는 고구려의 새로운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