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장 응급상황
개를 다루고 보정(통제)하기 / 인공호흡과 심장 마사지 / 쇼크 / 급성 복통 / 골절 / 화상 / 추위에 노출됨 / 탈수 /익사와 질식 / 감전사고 / 열사병 / 중독 / 벌레 물림 / 뱀 / 상처

2장 위장관 기생충
강아지와 성견의 구충 / 회충 / 구충 / 촌충 / 편충 / 분선충 / 기타 기생충

3장 전염성 질환
세균성 질환 / 바이러스성 질환 / 곰팡이 감염 / 원충성 질환 / 리케차성 질환 / 항체와 면역 / 예방접종 / 접종 가능한 백신들

4장 피부와 털
털 / 털과 피부의 관리 / 빗질 이외의 관리 / 목욕 / 피부병의 분류 / 벼룩 / 다른 기생곤충 / 살충제의 사용 / 핥음 육아종(말단 소양성 피부염) / 알레르기 / 탈모 / 농피증(피부의 감염) / 자가면역성 및 면역매개성 피부 질환

5장 눈
개의 시각 / 개의 눈에 문제가 생겼다면 / 안구 / 눈꺼풀 / 3안검(순막, 셋째눈꺼풀) / 눈의 외부 / 눈물 / 각막 / 눈의 내부 / 망막 질환

6장 귀
기본적인 귀의 관리 / 귓바퀴 / 이도 / 중이 / 내이 / 난청

7장 코
코의 자극에 의한 증상 / 코 / 비강

8장 입과 목구멍
구강검사 / 입과 목구멍에 생기는 질병의 증상 / 입 / 치아와 잇몸 / 구강 관리 / 목구멍 / 침샘 / 머리

9장 소화기계
내시경 / 식도 / 위 / 구토 / 소장과 대장 / 설사 / 항문과 직장 / 간 / 췌장 / 음식급여와 영양

10장 호흡기계
비정상적인 호흡 / 후두 / 기침 / 기관과 기관지 / 폐

11장 순환기계
정상 심장 / 심장병 / 부정맥 / 울혈성 심부전 / 심장사상충 / 빈혈과 응고장애

12장 신경계
신경학적 평가 / 머리의 손상 / 뇌질환 / 뇌종양과 뇌농양 / 유전성 질환 / 발작장애 / 혼수 / 쇠약 및 마비 / 척수 질환 / 말초신경 손상

13장 근골격계
절뚝거림(파행) / 뼈와 관절의 손상 / 유전성 정형외과 질환 / 관절염 / 대사성 뼈 질환 / 비타민과 미네랄 보조제

14장 비뇨기계
요로기계 질환의 증상 / 요로기계 질환의 진단 / 방광과 요도의 질환 / 전립선비대 / 신장 질환

15장 성과 번식
유전학의 기초 / 개의 발정주기 / 수컷의 번식장애 / 암컷의 번식장애 / 상상임신 / 원하지 않는 임신 / 출산 제한 / 암컷의 생식기계 질환 / 수컷의 생식기계 질환

16장 임신과 출산
임신 / 출산 / 난산 / 출산 후 모견의 관리 / 출산 후의 문제 / 모성 결핍

17장 새끼 강아지
새끼 강아지의 관리 / 인공포육 / 새끼 강아지의 질병 / 이유(젖떼기) / 성장기 강아지의 급여 / 조기 사회화의 중요성 / 강아지 입양하기 / 강아지의 훈련을 위한 조언

18장 종양과 암
암을 유발하는 원인 / 종양과 암의 치료 / 흔한 체표면의 종양 / 연부조직 육종 / 방광의 이행세포암종 / 골종양 / 생식기계 종양 / 유선종양 / 백혈병

19장 나이 든 개, 노령견
노령견을 위한 확인 사항 / 노령견에서 위험한 증상 / 행동의 변화 / 신체적인 변화 / 기능적인 변화 / 체중 변화 / 체온, 맥박, 호흡수 / 식단과 영양 / 호스피스 케어 / 안락사

20장 약물치료
마취제와 마취 / 진통제 / 항생제 / 약물 합병증 / 독성 /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

부록 A 개의 정상 생리학 수치
부록 B 개 나이 계산하기
부록 C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결과 이해하기
부록 D 반려견 관련 정보 사이트

이용현황보기

개 질병의 모든 것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4116 636.7089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64117 636.7089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3396 636.7089 -25-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40년간 4번의 개정판을 낸 개 질병 책의 바이블
질병의 예방과 관리·증상과 징후·치료법에 대한 해답을 완벽하게 찾을 수 있다


개를 키우는 보호자들이 40년 넘게 의지하는 책이다. 강아지부터 노견까지 모든 나이의 개를 돌보는 데 필요한 수의학 정보를 제공한다. 혹시 알아채지 못한 질병은 없는지 불안할 때, 개를 제대로 키우고 있는지 자신이 없고 병원을 다녀와도 수의사가 하는 말을 전부 이해하지 못해서 답답할 때 펼쳐보기 좋은 책이다. 개가 흔히 겪는 모든 문제의 해답을 이 책에서 찾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개 돌봄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수의학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어야 개를 건강하게 돌볼 수 있다. 특정 질환을 위한 유전자 검사, 최신 예방접종 스케줄, 각종 질환에 맞는 최신 약물, 영양 보조제, 암과 신장 질환 등 치료가 어려운 질환의 최신 치료법, 노견의 인지장애, 행동학적 문제, 홀리스틱 치료법, 생식 등 먹을거리의 최신 내용이 책에 설명되어 있다.
미국과 다른 우리나라의 개의 육아 환경이나 치료법에 대해서는 수의사인 번역자가 부족함 없이 보충했다.

밥을 왜 안 먹지? 걸음걸이가 이상한데? 심하게 긁는데?
건강할 때부터 이상 증상을 보일 때 등 모든 순간에 곁에 두고 봐야 할 건강 백과


보호자의 마음은 개가 20살 넘게 건강하게 장수하기를 바한다. 하지만 제대로 키우고 있는 건지, 혹시 알아채지 못한 질병은 없는지 늘 불안하다. 이럴 때 펼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책이다. 밥을 왜 안 먹지? 걸음걸이가 이상한데? 심하게 긁는데? 갑자기 물을 많이 마시는데? 개가 흔히 겪는 모든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이 책의 특징 중 하나는 엄청나게 세세한 목차와 찾아보기, 증상별 찾아보기다. 개의 이상 증상이나 질병 이름, 치료법 등 어떤 것이 궁금하든 여러 경로를 통해서 답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질병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개의 신체 구조와 각 기관의 역할 등을 자세히 소개했다.
부록으로 개의 정상 생리학 수치와 나이 계산법과 함께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결과 읽는 법 등을 제공한다. 검사 후 수치의 의미를 정확히 모르면 수의사와 대화가 어려우므로 각종 검사 결과를 이해하는 건 중요하다. 깊이 있고 중요한 수의학적 지식과 정보를 담고 있는 책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78] 예방접종은 많은 전염병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P. 98] 기온 상승으로 인해 국내 개에게서 바베시아증 발생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때문에 빈혈 환자에서 바베시아 감염 검사는 필수 항목이 되었다.
[P. 218] 중이염의 초기 증상은 외이염과 같다. 그러나 중이가 감염되면 통증이 극적으로 심해진다. 개는 종종 귀가 아픈 쪽으로 머리를 기울이고, 움직임을 최소로 하고, 머리를 건들거나 입을 벌릴 때 통증을 호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