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 스리랑카
보리수 나무 아래에서/ 왕은 어디에 /동굴 천장으로 올라가는 물 /갈레니언 사원의 보리수나무 / 머리카락 사원 /어디로 갈 것인가 /동굴호텔 / 캔디의 불치사 /공양/ 폐엽경과 알루비하라 사원
2. 중국. 베트남. 태국
지게 진 스님/그림이 주는 참회문/ 높은 곳을 향하여 /종소리 /레이디 붓다 /다낭의 역동성 /삶을 찾다 / 골든트라이앵글 부족을 찾아 /아유타야 부처님
3. 티베트. 네팔
만다라를 찾아서/ 고원의 눈빛/ 최라 공부법/ 검은 그릇/ 둥근 만다라/ 쿠마리 사원의 여자/ 룸비니 동산/ 쿠단과 카필라성
4. 미얀마.라오스.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밍글라바 사랑법/ 마하간디용 수도원에서/ 인레호수/새벽 탁발공양 친견/ 두 번째 찾은 앙코르와트
5. 인도
금강경 설법지를 찾아/나의 만다라/ 초전법륜지에서/ 다비장의 영혼과 달/ 아잔타 전망대에 오르며/ 지도 한 장/ 영축산에 울려 퍼진 법화경/ 찾아 나선 수행처/ 열반당을 찾아/ 꽃 등불/ 예쁜 여인/생각하는 남자
6. 불교방송 대담

이용현황보기

(발자취를 따라나선) 나의 만다라 : 고미선 포토기행 수필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3747 811.4 -25-10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63748 811.4 -25-108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생활속의 만다라 실천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 마하보디 대탑 안에서 나의 만다라를 찾았다. 장병에 효자 없다던 세월도 오랫동안 그려진 나의 만다라 한 장이다. 고개 들어 대탑을 올려 보았다. 별이 되기 위해 하늘 가까이 가는 환영이다. 한 달 사이로 떠나신 두 어머니는 나의 만다라였다. 효도도 생활 속의 만다라를 완성하는 길이다. -인도편 나의 만다라에서-

명상은 언어화과정이 끝난 모든 사고 과정이 멈춘 상태를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는 대상도, 주체도 없고, 마음을 제한하는 그 무엇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런 상태를 단순히 불교적 인식으로만 치부할 수 없다. 깊은 사유의 수필 공간에서도 우리가 체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한근 교수 월평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