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심선언|676 ▶ 나는 무죄이다|701 ▶ 창조적 통일을 위하여 -‘로터스상’수상 연설|722 ▶ 생명의 세계관 확립과 협동적 생존의 확장|729 ▶ 개벽과 생명운동|816 ▶ 깊이 잠든 이끼의 샘|880 ▶ 생명평화선언|932 ▶ 화엄개벽의 모심|978
● 김지하 시인의 삶 |1028 ● 작품 목록|1035 ● 필자 소개와 짧은 회고|1040
이용현황보기
김지하를 다시 본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5196
811.15092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65197
811.15092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김지하를 다시 본다』는 2023년 5월 6일~7일 김지하 추모 1주기에 열린 《김지하 추모 학술 심포지엄》 토론 자료를 정리하고, 다시 꼭 읽어야 할 김지하의 글을 모아 만든 1056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책이다.
1부에는 염무웅, 이부영, 유홍준, 임진택, 임동확, 김사인, 홍용희, 정지창, 채희완, 심광현 등 30여명이 「김지하의 문학・예술과 생명사상」이라는 큰 주제아래 〈김지하의 문학 예술과 미학〉 〈김지하의 그림과 글씨〉 〈민주화 운동과 김지하〉 〈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으로 나누어 주제 발표와 토론을 한 후 정리한 내용과 종합토론을 한 내용을 단행본에 맞게 정리해 놓았다.
2부에는 「김지하가 남긴 글과 생각-생명의 길・개벽의 꿈」이라는 제목으로 김지하가 남긴 수많은 글 중에서 꼭 다시 읽어봐야 할 글을 골라 실었다. 암울한 시대에 수많은 젊은이를 위로하고 힘주었던 글 「양심선언」, 「나는 무죄이다」, 로터스상 수상 연설인 「창조적 통일을 위하여」, 환경오염과 기후 위기 등 현시대의 문제점들을 수십 년 앞서서 말하고 방법을 제시한 「생명의 세계관 확립과 협동적 생존의 확장」, 「개벽과 생명운동」, 김지하가 자신의 문학에 대해 쓴 「깊이 잠든 이끼의 샘」, 김지하가 남긴 생명사상을 살필 수 있는 「생명평화선언」, 「화엄개벽의 모심」 등 진지하게 김지하를 다시 보고 다시 만났으면 좋겠다.
책속에서
엮은이의 글 중에서
그는 횔덜린과 달리 정치투쟁의 일선에서 네 차례나 감옥을 경험하고 죽음의 위험을 통과한 뒤에야 영성과 생명이라는 결정적 화두에 이르렀다. 그 지난한 과정에는 오랜 시간의 가혹한 독방과 치열한 독서와 건곤일척의 사색이 있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 염무웅 (문학평론가,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일본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오에 겐자부로 선생은 기회 있을 때마다 자신이 아니라 김지하 시인이 노벨문학상을 받았어야 했다고 술회했다. 분단 한국에서 조선의 문화적·이념적 전통을 잇고 새롭게 해석하면서 투쟁을 벌인 김지하야말로 인류 보편적 문화·예술을 대표한다고 보았다. -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명예이사장)
김지하는 결국 흰 그늘이 서린 모란꽃을 화사한 채색화로 그리다 세상을 떠났다. 묵란으로 시작하여 묵매로, 그리고 달마도로, 또 수묵산수화와 채색 모란도로 화제를 옮기며 생애 후반, 붓을 놓지 않은 김지하는 실로 위대한 현대 문인화가였다. - 유홍준( 미술평론가 명지대학교 석좌교수)
단언하건대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제반 상황들, 생명 경시·환경 파괴·기후 위기·전염병 창궐·핵전쟁 위기를 보면 김지하의 예언은 맞았다. 이에 대한 대안과 처방을 김지하는 40년 전부터 이미‘타는 목마름으로’ 갈구했고, 모색했고, 제안했고, 실험했고, 행동했고, 그리하여 기진할 때까지 절규했다. - 임진택 (창작판소리 명창, 마당극 연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