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발간사
서문: 연대와 기억으로 보는 제주 4·3과 여순 10·19 | 강성호


1부 4·3, 10·19의 배경과 전개 과정

1장 제주 4·3사건의 진압 과정과 선무공작의 전개 양상 | 임송자
1. 머리말
2. 제주4·3 발발 후 군경의 대응과 선무공작
3. 정부수립 이후의 진압작전과 선무공작
4. 맺음말

2장 여순 10·19 이전 순천, 여수의 도시 변화 특징: 일제강점기 토지 이용을 중심으로 | 우승완
1. 머리말
2. 조선 후기 전통 성곽 도시 순천, 여수
3. 토지 이용 변화
4. 시기별 변화의 특징

3장 미군정기 경제상황과 여순사건의 사회경제적 배경: 순천지역을 중심으로 | 박광명
1. 머리말
2. 미군정의 경제상황과 경제통제
3. 미곡수집정책에 대한 대중 인식과 전남지역의 미곡수집 상황
4. 여순사건의 대중 참여와 성격: 순천지역
5. 맺음말


2부 4·3, 10·19의 표상

4장 4·3의 표상과 기억: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 김창후
1. 머리말
2. 제주4·3특별법 제정
3. 4·3위원회 구성
4. 4·3기획단의 진상조사 활동
5. 진상조사보고서 확정과 대통령 사과
6. 진상조사보고서 왜곡사건
7. 4·3특별법 ‘전부개정법률안’ 발의(마무리를 대신하여)

5장 여순 10·19 사건과 시(詩)적 형상화: 김영랑과 조기천을 중심으로 | 강진구
1. ‘박가 가족묘’와 반공주의
2. ‘여순 10·19 사건’의 재현과 반공체제
3. 김영랑과 조기천 시(詩)에 재현된 여순 10·19 사건
4. 맺음말

6장 고등학교 『국사』의 여순사건 서술 변천 과정 | 유상수
1. 머리말
2. 여순사건 서술의 등장(제2차 교육과정기)
3. 국정교과서 편찬과 반공주의의 강화(3차 교육과정기~5차 교육과정)
4. 반란에서 사건으로(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
5. 맺음말


3부 4·3, 10·19의 기억과 과제

7장 근대국가 기원 담론으로 본 제주4·3과 여수순천10·19
1. 머리말
2. 건국절 논란의 비판적 고찰
3. 근대국민/민족국가 구상과 제주4·3
4. 근대국민/민족국가 대한민국 출범과 여수·순천10·19
5. 맺음말

8장 ‘망각(忘却)’과 ‘비등(沸騰)’의 공존: ‘여순 10·19사건’ 이후 전남 동부 지역민들의 ‘기억투쟁’ 고찰 | 예대열
1. 머리말
2. ‘비국민’에서 ‘국민’이 되기 위한 진입로의 부재
3. 반역과 통곡의 세월, 잠들지 않았던 남도
4. 맺음말

9장 여순사건 관련 미국 자료의 국내 수집 현황과 과제 | 권오수
1. 머리말
2. 미국 자료 국내 수집 현황
3. 향후 과제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제주 4·3, 여순 10·19의 기억을 위한 연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7174 951.72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67175 951.72 -25-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순천대 인문학술원은 『제주 4·3 여순 10·19의 기억을 위한 연대』 연구총서를 펴내게 되었다. 『제주 4·3 여순 10·19의 기억을 위한 연대』는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제주 4·3사건과 여순 10·19 사건의 배경과 전개 과정을 다룬다. 2부에서는 여순 10·19 사건의 표상을 살펴본다. 3부에서는 제주 4·3사건과 여순 10·19 사건의 과제를 고민한다.
1부에서는 제주 4·3사건과 여순 10·19 사건의 배경과 전개 과정을 다룬다. 1부 1장에서 제주 4·3 사건의 진압과정과 선무공작의 전개 양상을 다루었다. 이 글은 제주 4·3 사건에서 정부가 강경진압 작전과 함께 선무공작을 전개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주 4·3 사건 발발부터 1949년 5·10 재선거 실시 기간 동안의 정부의 선무공작이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이글은 제주 4·3 사건 초기에는 선무공작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1948년 8월 정부 수립 이후 선무공작이 다각화하고 지속적으로 강화되면서 선무공작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고 분석하고 있다.
2부는 제주 4·3 사건과 여순 10·19 사건의 표상을 다룬다. 2부 4장에서 제주 4·3 사건 표상과 기억이 『제주4·3사건 진상보고서』를 중심으로 다루어졌다. 이 글은 제주 4·3 사건의 표상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인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가 나오기까지의 투쟁과 성과, 그 후 과제들을 살펴본다. 이어 제주 4·3특별법 제정, 4·3위원회 구성, 제주 4·3 기획단의 진상조사 활동, 진상보고서 확정과 대통령 사과, 진상보고서 왜곡사건, 4·3특별법 ‘전부개정법률안’ 발의 등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었다.
3부에서는 제주 4·3 사건과 여순 10·19 사건의 기억과 과제를 살펴본다. 3부 7장은 근대국가 기원 담론으로 본 제주 4·3 사건과 여순 10·19 사건을 분석한다. 이 글에서 건국절 논란의 비판적 고찰, 근대 국민·민족국가 구상과 제주 4·3 사건, 근대 국민·민족국가 대한민국 출범과 여순 10·19 사건 등이 다루어졌다. 결론에서 이 글은 대한민국의 기원 담론을 제주 4·3과 여수·순천10·19에 적용할 필요가 없다고 제안하고 있다. (서문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