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01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해 1. 머리글 2.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200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배경 핵심역량과 내용 체계 ‘깊이 있는 학습’의 이해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전략 학습자 주도성을 길러주는 교육과정 3.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해 이해중심 교육과정이란? 전통적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차이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깊이 있는 학습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에서 중요한 것 이해중심 교육과정 속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 핵심질문 essential questions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설계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
PART 2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이해중심 교육과정 수업의 실제 1. 배움이 깊은 국어과 수업 만들기 -마음을 표현하며 대화하는 즐거움- 1) 수업을 디자인하기에 앞서 무엇을 할 수 있게 할 것인가? 할 수 있다는 것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삶의 경험을 엮어 배움을 설계하다. 아이들을 들여다보다. 2) 수업을 디자인하다. 3)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수업의 여정들 핵심질문과 수행과제가 있는 수업의 출발 이해를 위한 디딤돌을 놓다 ‘마음을 표현하는 말’ 확장하기 연습으로 이해에 가까이, 더 가까이 필요한 기능이나 지식은 교과서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제 삶을 수업에 담다 담임선생님께 전하는 마음 이야기 놀이 같은 수행과제로 배움의 행복이 가득! 우리 아이들은 어떤 마음으로 얼마만큼 자란 걸까? 4) 교육과정과 수업으로 나를 성찰하다. 수업을 마치며 생각하는 아쉬움 그럼에도 이해중심 교육과정으로!
2. 배움이 깊은 통합교과 수업 만들기 -우리는 주변의 모든 가족과 관계를 맺어요- 1) 수업을 디자인하기에 앞서 수업은 재미있기만 하면 된다?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통합교과 수업, 어떻게 할까? 다양한 가족의 모습을 어떻게 이해시킬까? 2) 수업을 디자인하다. 3)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수업의 여정들 ‘가족’이란 낱말에서 아이들은 무엇을 떠올릴까? 너무나 가까운, 우리 가족부터 살펴보자! 조금 더 넓게, 이웃 가족을 살펴보자! 조금 더, 다른 모습의 가족도 살펴보자! 가족은 새롭게 만들어지기도 해요. 다양한 가족들을 한눈에, 모둠 가족 지도로 살펴보자! 우리 집에선 엄마가 하는 일, 다른 집에선 누가 할까? 우리 가족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내가 생각하는 가족은 이래요. 4) 교육과정과 수업으로 나를 성찰하다. 아이들에게 가족은 어떤 의미일까? 통합교과도 탐구할 수 있는 수업으로 만들어 보자!
3. 배움이 깊은 과학과 수업 만들기 -‘작은 생명들’에 대한 이야기- 1) 수업을 디자인하기에 앞서 과학 수업의 고민을 안고 무엇을 이해하게 될까? 이해한 내용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학습 경험은 어떻게 구성할까? 2) 수업을 디자인하다. 3)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수업의 여정들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에서는 무엇을 배울까요? 세균이 없는 세상은 어떻게 될까요? 균류가 없는 세상은 어떻게 될까요? 원생생물이 없는 세상은 어떻게 될까요? 무엇이 더 궁금하나요? 단원을 공부하고 어떻게 달라졌는지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4) 교육과정과 수업으로 나를 성찰하다. 아이들에게 전한 이야기 이해중심 교육과정으로 단원을 다시 실천한다면 나의 수업 속 이해중심 교육과정
4. 배움이 깊은 영어과 수업 만들기 -아이들의 삶 속에서 키워가는 ‘영어 자신감’ 이야기- 1) 1학기 수업을 디자인하기에 앞서 “교과서대로 수업해 주세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실마리를 찾아보자.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기를 바라니? 2) 수업을 디자인하다. 3)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수업의 여정들 핵심질문으로 생각의 문을 두드리자. 영어 의사소통 기능 연습은 영어 놀이로! 학생들의 아이디어로 프로젝트 준비하기 놀면서 배우는 Our Class Play Festival 놀이 속에서 영어 자신감이 한 뼘 성장하다. 4) 교육과정과 수업으로 나를 성찰하다. 148명의 학생 모두에게 전하는 이야기 이해중심 교육과정으로 단원을 다시 실천한다면… 5) 2학기 수업을 디자인하기에 앞서 여름방학 끝! 2학기 영어 수업은 어떻게 시작하지? 2학기 첫 프로젝트의 순조로운 출발 배워야 할 것들이 많네. 우선순위를 정해보자. 이해 Understanding에 도달했음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6) 2학기 수업을 디자인하다. 7)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2학기 수업의 여정들 우리도 핵심질문을 만들 수 있어요. 두려움을 도전 의식으로 바꾸는 수행과제 News에 우리의 경험을 담으려면 이렇게! 우리 힘으로 News를 만들었어요. 친구들의 News 함께 나누어요. 핵심질문의 정답 찾기를 넘어서 8) 2학기 교육과정과 수업으로 나를 성찰하다. 프로젝트는 성장이다. 학생들의 삶 속으로 두 발 더 들어가기 위해 이해중심 교육과정으로 단원을 다시 실천한다면…
이용현황보기
교사, 깊이 있는 학습을 말하다 :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수업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