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2
요약 3
Ⅰ. 서론 6
1. 연구 배경 및 목적 7
2. 연구 범위 및 방법 8
Ⅱ. 전남 유배문화의 현황 12
1. 유배형에 대한 이해 13
2. 전남의 유배 관련 통계 15
1) 양순필, 「제주유배한시연구」 15
2) 장선영, 「조선시기 유형과 절도정배의 추이」 15
3) 김경옥, 「섬과 바다의 사회사」(2012) 17
4) 김대현ㆍ김미선, 「호남유배인의 문헌자료와 문화콘텐츠」 17
5) 김만호, 전라남도 유배인 현황(2024) 19
Ⅲ. 유배문화의 활용 사례 25
1. 타 지역의 유배문화 활용 사례 26
1) 제주특별자치도와 추사 김정희 26
2) 경상남도 남해군와 서포 김만중 28
3) 경상북도 포항시와 우암 송시열 30
4)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과 단종 32
5) 인천광역시 교동도 유배문화관, 연산군 유배지 33
2. 전남 유배문화 자원 및 활용 사례 34
1) 순천시와 조철산, 김굉필 34
2) 나주시와 정도전(鄭道傳) 37
3) 담양군과 이서(李緖) 38
4) 고흥군과 이건명(李健命) 39
5) 화순군과 조광조(趙光祖) 40
6) 장흥군과 민정중(閔鼎重) 42
7) 강진군과 정약용(丁若鏞) 43
8) 영암군과 김수항(金壽恒) 46
9) 진도군과 노수신(盧守愼) 47
10) 신안군과 정약전, 최익현, 조희룡, 김평묵 49
3. 시사점 53
Ⅳ. 전남 유배문화 활용을 위한 제언 56
1. 기본 방향 57
1) 유배문화 관련 스토리 발굴 및 콘텐츠화를 통한 브랜딩 57
2) 유배지에 대한 복원 및 역사공원화 57
3) 유배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육ㆍ전시 공간 조성 58
4) 유배문화와 관광프로그램 연계 58
2. 주요 추진과제 59
1) 전남 유배 문화에 대한 종합적 연구 59
2) 유배문화 관련 문화콘텐츠화 60
3) 유배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유배역사박물관 조성 62
4) 유배문화를 활용한 관광프로그램 발굴 63
[별첨] 전라남도 유배인 현황 66
참고문헌 102
판권기 10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