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추천의 글
프롤로그_새로운 시도 앞에서 틀릴까 봐 망설이고 있다면
1장 로우 에고 프로페셔널리즘과의 첫 만남
ㆍ 스픽에서 만난 로우 에고 프로페셔널리즘
하이 에고의 시대 | 하이 에고의 매너리즘에서 벗어나 새로운 생존 방식을 만나다 | 로우 에고 프로페셔널리즘이란?
ㆍ 겸손한 천재들의 비밀
겸손한 천재들의 남다른 진짜 자신감 | ‘나의 틀림’을 인정하는 순간, 자유로움이 시작된다
ㆍ 로우 에고 프로페셔널리즘의 세 가지 열쇠
첫 번째 열쇠: 긍정적인 호기심 | 두 번째 열쇠: 문제 해결자 마인드셋 | 세 번째 열쇠: 힘 빼기 | 로우 에고 프로페셔널리즘이 궁극적으로 가져다줄 가치
2장 로우 에고 프로페셔널리즘의 생존 전략
[긍정적인 호기심이 전부다]
ㆍ 질문 없는 조직에 미래란 없다
쏟아지는 질문들 틈에서 자꾸만 작아지는 나 | 질문은 공격이 아니다 | 질문의 역할 ① 양질의 토론과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 질문의 역할 ② 팀원이 미처 생각지 못한 부분을 고민하게 한다 | 질문의 역할 ③ 앞으로 발생할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줄여준다
ㆍ 고객에게 질문하라
제품을 완성하기 전에 질문하라 | 많은 돈을 쓰기 전에 질문하라 | 왜 안 쓰는지 질문하라 | 고객에게 귀 기울일 때 해결책이 선명해진다
ㆍ 비즈니스 세계에서 당연한 것은 없다
근본을 흔드는 질문에 답이 있다 | 당연함을 부수는 질문 ① 퍼널은 꼭 따라야 할까? | 당연함을 부수는 질문 ② 그게 최선이라고 어떻게 확신하는가?
ㆍ 실리콘밸리의 ‘일잘러’들은 어떻게 회의하는가?
모든 내용은 사전에 준비한다 | 목적 중심의 회의를 한다 | 토론 중심의 회의를 한다 | 회의는 여럿이 모여 의논하는 것, 그 이상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 되자]
ㆍ 작지만 위대한 팀을 만드는 마인드셋
문제 해결자 마인드셋이란? | 오너십, 문제 해결력의 핵심 | 팀원들에게 오너십을 심어주려면
ㆍ 퍼즐형 인재로 경계 없이 일하려면
이제는 T자형 인재 대신 퍼즐형 인재 | 게시글 하나에서 시작된 ‘천하제일 변명 대회’ | 퍼즐형 인재들로 팀 구성하기
ㆍ 장처취장(長處取長), 잘하는 것을 잘하기
잘하는 것을 잘할 때 팀의 팔자가 바뀐다 | 각자의 강점에 집중하자 생긴 놀라운 변화 | 잘하는 것을 잘하기 위한 전제 조건
ㆍ 일의 순도를 높여라
순도가 낮은 일 | 순도가 높은 일 | 일의 순도를 측정하는 법
[힘 빼기의 기술을 연마하라]
ㆍ 안전한 실패를 반복하라
불확실성을 딛고 일단 해보는 것의 의미 | 똑똑하게 실패하면 다시 일어설 수 있다 | 세상에 완벽한 준비란 없다 | ‘아니면 말고’ 정신으로
ㆍ 경쟁의 링에서 내려와 안전지대로
그는 당신이 잘하길 바란다 | 안전지대가 곧 성장 지대다
ㆍ 만드는 사람이 재밌어야 사용자도 재미있다
아이디어의 채택 기준, 재미 | 아이디어도 생애 주기가 있다
ㆍ 잡담의 힘을 믿는다
수많은 기획이 ‘그 소파’에서 시작됐다 | 절대 작지 않은 ‘스몰 토크’의 힘 | 건강하고 효율적인 스몰 토크를 하려면
3장 로우 에고 프로페셔널리즘의 성장 전략
[탁월성]
ㆍ 탁월성은 타협하지 않음에서 나온다
물러서지 않아야 성장한다 | 목표와 타협하지 않는 법 | 채용에서 타협하지 않는 법
ㆍ 탁월성은 플래닝에서부터 시작된다
달이 커야 그 조각도 크다? | 좋은 기세를 만드는 탁월한 플래닝 | 팀의 성공은 플래닝에서부터 결정된다
ㆍ 탁월한 플래닝의 모든 것
플래닝의 큰 틀, 목표 설정과 전략 설정 | 전략 플래닝의 디테일 ① 문제 설정 | 전략 플래닝의 디테일 ② 이니셔티브 설정과 액션 아이템 | 전략 플래닝의 디테일 ③ 역순 검토
ㆍ 목표 달성을 위한 영점 조준, 지표 설정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스픽 지표의 역사 | 성장을 위한 지표, YOY | 생물처럼 끊임없이 변화하는 지표
[확실성]
ㆍ 해보지 않은 일을 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
테스트를 통해 불확실성을 소거하라 | 스픽의 ‘가테시스’ 사이클 | 반복, 최선의 정답을 향한 가장 빠른 지름길 | 이터레이션 정신 | 제일 중요한 것은 일단 시작하는 것
ㆍ 목표가 와닿지 않을 때의 해결책
목표를 잘게 나누기 | 매출 경로에 따라 나누기 | 사용자 타입에 따라 나누기 | 마케팅 채널에 따라 나누기
ㆍ 모르는 것을 예측해야 할 때의 해결책
가정과 추정만이 미래로 나아가게 한다 | 가정과 추정을 토대로 시나리오 세우는 법
ㆍ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측정해야 할 때의 해결책
믿음만으로 할 수 있는 캠페인은 없다 | 상관관계가 높은 선행 지표를 찾아라
[가시성]
ㆍ 일 잘하는 팀은 가시성이 높다
업무의 가시성은 기준의 통일에서부터 | 가시성으로 완성되는 프레임워크 | 가시성이 확보되면 따라오는 놀라운 혜택
ㆍ 가시성을 높이는 툴, 대시보드
좋은 대시보드의 조건 ① 일관성 | 좋은 대시보드의 조건 ② 실시간성 | 좋은 대시보드의 조건 ③ 목적성
ㆍ 내가 한 일의 가시성을 높이는 리뷰 문화
리뷰의 시스템화는 꼭 필요하다 | 리뷰에 가장 직관적인 틀, 신호등 트래킹
4장 로우 에고 프로페셔널리즘의 실전 문서 템플릿
ㆍ 플래닝 템플릿
ㆍ 프로젝트 문서 템플릿
ㆍ 분기 리뷰 템플릿
ㆍ AB 테스트 문서 템플릿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169157 | 650.1 -25-47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169158 | 650.1 -25-47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0003177387 | 650.1 -25-47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테마코너 (자료실내 이용) |
|
0003177388 | 650.1 -25-47 |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이용가능 | |
B000120129 | 650.1 -25-47 |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사회과학자료실(208호) / 서가번호: 27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