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시인의 말

1부
백로│내 마음 가는 길│홀로서기│우연은 필연처럼 오지│문자│사랑과 고독│나목│못길│바닷가 외딴집│독방│오롯한 그늘

2부
하얀 기도│아르바이트│버릇│집으로 가는 길│정년│혼잣말│별거│몸이 후회다│빨래방│눈물, 눈물│때늦은 반성│이해할 수 없는 이해│실연│불온한 생각│단시短詩│갈등│등에 대한 단상 1│등에 대한 단상 2│오늘은 별 보고 웃는다

3부
겨울 강가에서│대궁밥│꽃의 가출│설화│거미집│봄날은 가고│어머니의 유산│입관│빈소殯所│작은 그림자│정월대보름│울음은 소리 속에 있다

4부
눈밭에 새소리│이름대로 산다는 것│의문│술내│사관│기방 찾아가는 한량처럼│서울에 가고 싶다│날개│앉은 자리│우울한 하루│폭설暴說│꿈 이야기 1│꿈 이야기 2│첫사랑│경칩│대설│돌탑│나무와 새

해설 _ 홀로서기와 열매 │ 이홍섭

이용현황보기

우연은 필연처럼 오지 : 김영삼 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9685 811.15 -25-40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69686 811.15 -25-400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내 삶의 주인 되기와 홀로서기
― 김영삼 시집 『우연은 필연처럼 오지』

2011년 강원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래 강릉에서 시작 활동을 하고 있는 김영삼 시인이 7년 만에 두 번째 시집 『우연은 필연처럼 오지』(달아실 刊)를 펴냈다. 달아실시선 83번으로 나왔다.

첫 시집 『온다는 것』을 냈을 때 시인 문태준은 이렇게 얘기했다.

“김영삼 시인은 감각이 아주 예민하다. 특히 씨앗 고르듯이 소리를 잘 감별한다. 목련 피었다 지는 열흘의 일을 상세하게 알아 시를 쓰고, 한 척의 배처럼 세파에 일렁이다 시를 쓴다. 김영삼 시인의 시는 바람의 속살을 살살 만져 해풍의 염도를 잴 줄 아는 구룡포 할머니처럼 연륜이 느껴진다. 파도가 모래 속으로 사르르 스며들 듯이 세정(世情)이 가슴속으로 스며들었다. 그리하여 눈물이 굳어 막돌이 된 거진댁을 노래할 때에는 더할 수 없이 뭉클하다.”

그리고 시인 박제영은 또 이렇게 얘기했다.

“1959년생이니, 우리 나이로 오십구 세다. 오십삼 세에 등단을 해서 이제 낼모레면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에 첫 시집을 내는 것이니, 이삼십 대 젊은 시인들에 비하면 늦어도 한참 늦었다. 그렇다고 오해하지 마시라. 시에도 소위 근육이 있는 법인데, 그의 시적 근육은 젊은 시인들의 그것보다 힘이 세면 셌지 결코 약하지 않다. 시에도 소위 탄성이 있는 법인데, 그의 시는 젊은 시인들의 그것보다 훨씬 더 팽팽하다.
김영삼 시인은 풀잎에 맺힌 아침이슬 그 작은 물방울 같은 삶을 꿈꾼다. 가당키나 한 일까 싶지만, 그는 그런 삶을 꿈꾼다. 아무래도 그는 식물성의 사람이다. 식물이 살아가는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고 삶을 사는 사람이다. 서쪽… 서쪽… 서쪽… 하며 우는, 한 이름만 부르다 부르다가 고요해지는, 소쩍새의 곡절을 들려주는, 그는 천생 곡비다. 그의 눈물방울이 또르르 달려가 기꺼이 네 슬픔을 껴안는다. 그가 울어주는 만큼 그가 슬픔을 껴안는 만큼 그만큼 세상의 몽리면적이 조금은 넓어진다.”

이번 두 번째 시집 『우연은 필연처럼 오지』은 첫 시집에서 보여준 김영삼 시인만의 서정을 고스란히 담아내면서, 조금은 더 단단해진 느낌이다.

김영삼 시인의 첫 시집에 이어 두 번째 시집의 해설도 이홍섭 시인이 썼는데, 이번 시집에 대해 이홍섭 시인은 “홀로서기와 열매”라는 제목으로 이렇게 얘기한다.

“김영삼 시인은 ‘시는 왜 쓰는가, 시는 어떻게 진화하는가’라는 질문에 모범적 답을 찾아가는 시인이다. 첫 시집에서 ‘허수아비’의 삶을 건너기 위해 ‘주인 되기’를 선택했던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홀로서기’의 힘든 여정을 보여 준다. 세상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이해’를 안고 살아온 시인이 시 쓰기를 통해 ‘이해’를 갱신하고, ‘홀로서기’를 해 나가는 과정은 진지하고도 치열하다. 시 「백로」의 표현을 빌리면 그 과정은 <산다는 것에 대한 질문이 많은지/ 온몸이 ‘?’>이다가 <가끔 큰 답을 얻었는지 목을 길게 쭉 내뽑아/ 온몸이 ‘!’표>인 길이다. 시인의 이러한 행로는 이 시의 마지막 구절 ‘홀로 묻고 홀로 답하며 홀로 가는 몸이 눈부시다’라는 구절을 시인에게 고스란히 되돌려 주고 싶게 만든다.”

너를 보내려고
수평선 너머로 아주 떠나보내려고

바닷가에 왔다

한때 너는 나의 종교여서
온갖 말씀과 믿음으로 두툼해진 경전
차마, 통째로 던질 수는 없고

한 장 한 장 뜯어내어
종이배로 띄워 보내야 하는데

저 멀리 흘러가다가는 제자리서
갈매기 떼처럼 둥둥 떠서 일렁거리고

나는 마음 약해질까 애타고 조급하여
네가 넘어가야 할 먼 경계선만 바라보는데

철-썩, 철-썩

띄워 보냈던 것이 언제 밀려와
발밑에 축축한 종잇장이 하얗게 깔렸다
― 「홀로서기」 전문

시인은 말한다. “누구나 마침내 자기 삶의 주인이 되어야 하고, 누구나 마침내 홀로서기를 해야 한다”고. 지금 나는 과연 내 삶의 오롯한 주인으로 살고 있는지, 나는 과연 홀로서기를 하고 있는지 자기를 되돌아보고 싶다면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