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인간과 공동체 1. 인간의 요람 공동체ㆍ14 2. 자아실현의 장으로서의 공동체 ㆍ21 3. 영원히 멸할 수 없는 가치를 실현한 사람들ㆍ23 디트리히 본회퍼·24/ 안중근 의사·27/ 테레사 수녀·31 마리안느와 마가렛 수녀·33
Ⅱ. 공동체개념과 기능 1. 공동체의 개념ㆍ36 2. 공동체 기능ㆍ45 인간존재기반으로서의 공동체·45/ 인간존재방식으로서의 공동체·46 인간존재의미로서의 공동체·47 3. 현대사회의 공동체 위기와 개인의 정체성ㆍ47
Ⅲ. 기독교 공동체 1. 이스라엘의 민족 공동체ㆍ54 2. 예수가 실현하려던 ‘하늘나라’ 공동체ㆍ57 3. ‘하늘나라’의 특성ㆍ60 지금 여기 나와 너·60/ 자유와 해방·62/ 공평한 인간중심사회·65 현실초월적 생활세계로서의 하늘나라·67 4. 예수의 ‘하늘나라’의 공동체 특성ㆍ70 유혹극복의 광야수련·73/ 인간에 대한 절대가치·74 지위가 아닌 인간을 만나다·76/ 겸손의 지혜·77/ 양심질서·77 포도원의 품꾼·79/ 하늘나라 공동체에서의 일인자·80 일곱 번의 일흔 번까지도 용서하라·81/ 참다운 이웃·81
Ⅳ. ‘하늘나라’ 공동체의 사상적 배경 1. 천지와 인간창조ㆍ85 2. 유교의 태극도설ㆍ89 3. 창세기의 공동체 시사점들ㆍ92 창조와 변화·92/ 균형과 조화·93/ 인간의 생존기반 생태계·96 자율과 해방·99/ 인간의 불완전성·102
Ⅴ. 기독교 공동체의 변천사 1. 초기 공동체(30-33)ㆍ108 2. 사도 공동체(33-100)의 역동성ㆍ114 3. 박해와 황제의 마차를 탄 기독교 (100-313)ㆍ118 4. 삼위일체방위벽을 쌓은 기독교 (313-590)ㆍ125 5. 로마교회의 성장과 확산(590-1073)ㆍ134 6. 르네상스와 로마교회의 분열(1073-1517)ㆍ136 7. 계몽사상확산과 종교개혁 (1517-1789) ㆍ138 8. 근대의 포스트모던 생활방식(1789-현재)ㆍ144 9. 생존기반의 위기(생태환경의 진노)ㆍ149 10. 기독교공동체역사의 시사점ㆍ155
Ⅵ. 하늘나라 공동체 실현 1. 현대 한국 사회의 공동체ㆍ160 2. 하늘나라 실현현장 한국교회ㆍ166 3. 하늘나라 접근의 장애와 극복방안 ㆍ171 당연시습관·177/ 복음서 정독·184/ 성찰적 기도·187
Ⅶ. 겟세마네의 샛길 1. 인간 예수의 길ㆍ192 2. 언덕길의 번민ㆍ197 3. 겟세마네의 기도ㆍ202 4. 영생의 강을 건너는 예수ㆍ206
이용현황보기
겟세마네의 샛길 : 사회학자가 들려주는 신앙 이야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119444
261 -25-2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왜 예수는 영원한 하늘나라를 위해 겟세마네의 샛길을 선택한 것일까? 오랫동안 사회학을 강의했던 저자의 신앙적 고뇌가 함축된 이 책을 통해 우리 모두 예수와 함께 겟세마네 순례길을 떠나보자.
1장은 예수 공동체 <하늘나라((Kingdom of Heaven)> 실현을 이해하기 위한 단계적 접근으로 공동체 의미와 개념 이해에서 출발한다. 2장은 기독교 공동체의 의미와 기능을 소개하고 있다. 3장은 이스라엘의 공동체와 예수의 하늘나라 공동체의 특성을 소개하고 있다. 4장은 하늘나라 공동체가 창세기 천지창조로부터 유래하고 있음을 분석하였고 그러한 하늘나라 공동체 개념은 계시록의 천년왕국까지 이른다. 5장은 교회사를 공동체적 관점에서 점검하였. 6장에서는 예수가 제시한 하늘나라 공동체가 한국교회에서는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7장은 겟세마네의 샛길은 이 글의 핵심이며 결론으로 예수는 최후의 상황에서 “영원히 멸할 수 없는 가치”로 “하늘나라”를 선택하는 것을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