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6

요약 4

제1장 연구 개요 1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2

1. 연구 배경 12

2. 연구 목적 13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4

1. 연구 범위 14

2. 연구 방법 14

제2장 지역 인구정책에서의 여성친화 개념 15

제1절 국내외 여성ㆍ가족진화 정책동향 16

1. 해외 정책동향 16

2. 국내 정책동향 20

제2절 "여성친화 경북"의 개념 26

1. "여성친화 경북" 대두 배경 26

2. "여성친화 경북" 개념 정의 28

제3절 소결 32

제3장 경북 인구 저출생 현황과 문제점 33

제1절 경상북도 인구 현황과 특징 34

1. 경북 인구증감 추세 34

2. 경북 인구구조 및 공간적 분포 36

3. 인구 자연증가를 이끄는 출생 선행지표 37

4. 인구 사회적 증가를 결정하는 지역 간 이동 40

제2절 남초사회 경북 42

1. 경북 여성 유출 및 성비 불균형 42

2. 경북 여성 경제활동 43

제3절 소결 53

제4장 대응방향 및 전략과제 55

제1절 기본구상 56

1. 기본 인식과 지향점 56

2. "여성친화 경북" 전략 방향 58

제2절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59

1. 청년여성친화적 산업구조 재편 59

2. 경북 여성 경력이음 및 재취업 61

3. 경북형 미니잡(Mini Job) 거래소 운영 및 사회안전망 구축 63

제3절 가족 형성을 응원하는 경북 65

1. 청년들을 위한 결혼만남 기회 대폭 확대 65

2. 다문화 및 외국인이민자 가족의 성공적 정착 67

제4절 청년 리턴 경북 68

1. 경북 지역유형별 전략 설계(안) 68

2. 구미시 사례분석 : "지역 대표 산업도시 유형" 74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84

제1절 요약 및 결론 85

제2절 정책 제언 86

판권기 88

표목차 8

[표 3-1] 경상북도 권역별ㆍ성별 청년 취업자 현황(2023년 상반기) 49

[표 3-2] 경상북도 권역별 여성 청년(19~39세) 취업자 현황 (2023년 상반기) 52

그림목차 9

[그림 2-1] 여성친화도시와 기존 도시정책과의 차이 20

[그림 2-2] 경상북도 "저출생과 전쟁" 정책홍보 포스터 27

[그림 3-1] 전국 광역시도별 인구(2023년) 34

[그림 3-2] 경상북도 인구증감 중장기 추이(1983~2023년) 35

[그림 3-3] 경상북도 인구증감 최근 추이(2011~2023년) 36

[그림 3-4] 경상북도 시군별 총인구(2023년) 36

[그림 3-5] 전국 광역시도별 인구구조(2023년) 37

[그림 3-6] 전국 광역시도별주출산연령대(25-39세) 인구 비중(2023년) 38

[그림 3-7] 주출산연령대(25-39세) 인구 비중(2000~2023년): 전국 및 경상북도 38

[그림 3-8] 경북 주출산연령대 여성인구 및 유배우 여성인구 변화: 2000년 vs. 2020년 39

[그림 3-9] 결혼의향: 전국 및 경상북도(2010년, 2022년) 40

[그림 3-10] 전국 광역시도별 순이동자 수(2023년) 40

[그림 3-11] 경상북도 시군별 순이동자 수 및 순이동률(2023년) 41

[그림 3-12] 전국 광역시도별 20-39세 남녀성비(2023년) 42

[그림 3-13] 경상북도 성별 X 연령대별 순이동자 수 및 청년층 성별 순이동(2023년) 43

[그림 3-14] 청년의 교육정도 43

[그림 3-15] 청년 소득 만족도 44

[그림 3-16] 청년 소비생활 만족도 45

[그림 3-17] 청년의 전반적인 일자리 만족도 45

[그림 3-18] 청년의 고용률 및 실업률 46

[그림 3-19] 여성취업자 지역별 경력단절 비율 47

[그림 3-20] 여성 취업자의 경력단절 사유 48

[그림 4-1] 경북 저출생 극복을 위한 3대 핵심방향 58

[그림 4-2] 통합공공임대주택 사례: 과천지식정보타운지구 72

[그림 4-3] 통합 공공임대주택 커뮤니티 시설과 생활SOC 시설 복합화 72

[그림 4-4] 구미시 vs. 전국: 인구 피라미드 비교(2023년) 74

[그림 4-5] 구미시민들의 구미 거주 사유 75

[그림 4-6] 구미시 청년층 결혼의향 및 기혼자 자녀 현황 75

[그림 4-7] 경상북도 시부(10개 시) 연령대별 순이동자 수(2023년) 76

[그림 4-8] 구미시 연령대별 순이동률(2023년) 77

[그림 4-9] 구미시 지역별 생활권 78

[그림 4-10] 구미시민들이 바라는 장기 정주 요건 78

[그림 4-11] 구미시 미래인구정책 9대 프로젝트 79

[그림 4-12] 구미시 "인재가 모이는 청년활력도시": 세부과제(안) 80

[그림 4-13] 구미시 "여성친화도시": 세부과제(안) 81

[그림 4-14] 구미시 "미래 노동력 감소 대응": 세부과제(안) 81

[그림 4-15] 구미시 "신도시-구도심 간 브릿지 강화": 세부과제(안) 82

[그림 4-16] 구미시 "지역특색 여가문화관광 자원 개발": 세부과제(안)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