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I 편 일본 고대사의 논점 고대 총론 20 01 조몬시대 - 언제 시작되었는가, 농경은 이루어졌는가, 격차는 있었는가 29 02 야요이시대의 열도 사회 - 야요이 문화란 어떠한 것이었나 32 03 야마타이국 - 어떻게 야마토 정권이 되었는가 35 04 고분시대와 야마토 정권 - 고대국가는 어떤 방식으로 성립했는가 38 05 야마토 정권과 한반도 - 임나란 무엇이었는가 41 06 왜 5왕 - 동아시아에서의 위치는 어떤 것이었는가 44 07 이와이의 난 - 왜국의 지배체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47 08 베민제 - 야마토 정권의 지배는 어떻게 성립, 전개되었는가 50 09 불교 전래 - 왜국은 불교를 어떻게 수용하였는가 53 10 소가씨 - 어떤 정치를 폈는가 56 11 다이카 개신 - 고대 최대의 개혁은 있었나 59 12 동아시아의 소제국 - 고대 일본에 소제국주의는 있었는가 62 13 임신의 난 - 고대 최대의 내란은 왜 일어났는가 65 14 율령국가론 - 고대국가는 율령제 국가인가 68 15 고대의 여제 - 임시로 세워진 중계자였나 71 16 고대 장원 - 초기장원이란 무엇인가 74 17 국가불교와 교키 - 교키는 변절한 것인가 77 18 고대 가족론 - 고대 사람들의 생활을 어떻게 볼 것인가 80 19 군사 - 재지수장제론은 성립하는가 83 20 목간에 보이는 고대 일본 - 나가야 왕가 목간으로 무엇을 알 수 있는가 86 21 덴지계와 덴무계 - 고닌 ·간무의 시대는 전환기인가 89 22 헤이안 불교 - 사이초 ·구카이는 무엇을 가져왔는가 92 23 고대의 사회 - 토지 매권으로부터 무엇이 보이는가 95 24 10세기의 반란 - 다이라노 마사카도의 난,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난이란 무엇이었나 98 25 아형 사건 - 우다 천황과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의 정쟁이었나 101 26 수령 - 어떤 역할을 했는가 104 27 신불습합 - 신과 부처를 결합하는 사상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107 28 국풍문화 - 섭관기의 문화는 어떠한 것이었는가 110 29 4원사와 6승사 - 섭관기와 원정기는 어떤 관계였는가 113 30 헤이안 후기의 불교 - 북송 ·요 불교는 현밀불교에 영향을 주었는가 116 31 무사론 - 무사는 어떻게 출현하였는가 119
제 II 편 일본 중세사의 논점 중세 총론 123 01 세계에서 본 일본 중세 왕권의 특질 - 일본 중세 왕권은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특수한가 140 02 세계 속의 일본 중세 종교 - 그 특색은 어떠한 것인가 143 03 섭관정치와 원정 - 원정은 섭관정치를 부정하였는가 146 04 장원제의 성립 - ‘입장론’과 그 과제 149 05 헤이안 후기 ·가마쿠라기의 승려 네트워크 - 어떻게 이동하여 무엇을 가져왔나 152 06 지쇼 ·주에이 내란 - 왜 일어났고, 무엇을 초래했는가 155 07 가마쿠라 막부의 전국 지배 - 가마쿠라막부는 어떻게 전국을 지배했는가 158 08 가마쿠라기 ·남북조기의 조정과 공가사회 - 어떻게 변화했으며 무엇을 지향했나 161 09 가마쿠라기의 불교 - 가마쿠라기 불교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164 10 중국 송 ·원 문화의 수용 - 일본 사회에 준 영향은 무엇인가 167 11 남북조 동란의 의의 - 일본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170 12 무로마치 막부와 전국질서 - 중세 후기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173 13 무로마치기의 장원제 - 무로마치시대는 장원제의 시대였는가 176 14 무로마치기의 유통 - 사람 ·물건은 열도에서 어떻게 움직였는가 179 15 남북조 ·무로마치기의 불교 - ‘조사’ 없는 시대의 사회와 종교 182 16 오닌의 난의 의의 - 역사의 전환점 185 17 무로마치 ·전국시대의 천황과 조정 - 어떠한 사회적 역할을 했는가 188 18 전국시대 기나이 지역의 정치와 권력 - 기나이 정치사를 어떻게 묘사할 것인가 191 19 중세 후기 동국 지방의 정치와 사회 - 가마쿠라부에서 전국시대에 이르는 동국사를 어떻게 묘사할 것인가 194 20 전국다이묘의 권력과 문예 - 지역권력과 교토는 어떠한 관계에 있었는가 197 21 중세 신분제와 차별 - 중세의 신분과 차별을 어떻게 볼 것인가 200 22 중세의 도시 - 그 특질과 실태를 어떻게 그릴 것인가 203 23 중세의 촌락과 신앙 ·의례 - 사람들에게 신앙 ·의례란 무엇이었나 206 24 중세의 신기와 신도 - 중세인에게 신이란 무엇인가 209 25 중세 사료의 다양성 - 전체를 묘사할 소재의 확장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212 26 중세의 문자 문화 - 문장 ·문체에서 중세 사회의 어떠한 점을 알 수 있는가 215 27 중세의 전투 - 어떻게 이루어졌고 어떻게 변화했는가 218 28 중세 성관의 기능과 특질 - 중세 성관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221 29 중세의 ‘이에’와 여성 - 중세사회를 특징짓는 것 224 30 환경사에 참가하기 - 중세사 연구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227
제 III 편 일본 근세사의 논점 근세 총론 231 01 쇼쿠호 정권 - 근세의 성립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239 02 에도 막부의 전국통치 - 막부는 어떻게 여러 다이묘를 통합하고 있었는가 242 03 무라와 백성 - 왜 근세의 인구의 8할은 백성인가 245 04 막번권력의 도시지배 - 도시의 지배에 조닌은 어떻게 관여했는가 248 05 해금 ·일본형 화이질서 - 대외관계를 어떻게 칭할 것인가 251 06 에도 막부에 의한 조정의 위상 - 막부는 근세의 조정에 무엇을 바랐을까 254 07 막번권력의 사사 지배 - 막부는 어떻게 사사를 지배했는가 257 08 기리시탄과 과학 전래 - 선교사는 왜 서양과학을 소개했으며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260 09 에도 막부의 법 - 막부는 어떻게 법을 정비 ·운용했는가 263 10 참근교대 - 참근교대는 어떻게 형해화되어 갔는가 266 11 막번 관계 - 막부와 번은 어떻게 정치 교섭하고 있었는가 269 12 번 재정 - 다이묘는 ‘파산’하는가 272 13 유교 의례의 실천 - 유학자는 어떻게 유교 의례를 실천했는가 275 14 쌀시장 - 쌀은 어떻게 매매되었을까 278 15 지방 상인의 상거래 - 지방 상인은 어떻게 거래했을까 281 16 에도의 조닌 사회 - 과밀하고 불안정한 조닌 사회가 어떻게 존속할 수 있었을까 284 17 지주와 소작인 - 지주는 어떻게 소작인과 소작계약을 맺었을까 287 18 부담과 구제 - 백성은 납득하고 있었을까 290 19 근세 후기의 무라 사회 - 근세 후기의 무라는 어떤 모순을 안고 있었을까 293 20 환경변화와 농업 ·어업 - 왜 어비는 등귀했는가 296 21 토목기술 - 제방은 어떻게 구축되었는가 299 22 무사의 대도 - 대도는 무사의 특권인가 302 23 피차별신분 - 히닌의 정보망 305 24 근세인의 불교신앙 - 불교를 신앙으로서 믿고 있었는가 308 25 여행과 관광 - 근세의 여행자와 지역은 어떠한 관계에 있었는가 311 26 지의 형성 - 민중은 어떻게 지식을 형성 ·계승하였는가 314 27 여성의 역할 - 육아와 돌봄은 여성의 역할인가 317 28 오시오 사건 - 오시오 헤이하치로는 왜 들고 일어났는가 320 29 막말의 기나이 사회 - 정치의 중심지가 된 기나이 사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었는가 323 30 막말의 정치이념 - 근세의 정치이념은 어떻게 재편되었는가 326 31 막말의 세계정세와 일본 - 외국선은 왜 일본에 왔는가 329 32 막말의 천황 ·조정을 논하는 방법 - 근세 후기와 막말을 어떻게 이을 것인가 332
제 IV 편 일본 근현대사의 논점 근현대 총론 336 01 개국 - ‘서양의 충격’을 일본은 어떻게 받아들였나 348 02 메이지유신 - 왜 ‘유신’에 이르렀는가, 무엇을 가져왔는가 351 03 문명개화 - ‘서양화’와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받아들여졌는가 354 04 조약개정과 청일전쟁 - 근대 일본의 형성 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357 05 자유민권운동 - ‘민중’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360 06 근대천황제 - 그 ‘근대’성이란 무엇인가 363 07 ‘무사’의 근대 - 다이묘나 무사는 어떻게 근대 사회에서 다시 태어났는가 366 08 초기의회의 전개 - 의회는 어떻게 정착했으며 무엇을 바꾸었는가 369 09 러일전쟁과 국제사회 - 국제정치에 미친 영향은 372 10 근대도시의 성립 - 도시를 만들고 변화해나간 역학이란 375 11 ‘지방’의 성립 - 어떻게 ‘중앙-지방’ 관계가 형성되었는가 378 12 하층사회와 빈곤 -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였는가 381 13 교통의 근대화 - 철도는 사람들의 생활과 사고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384 14 학교교육 - ‘취학’과 그 경험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 387 15 아이누와 오키나와인의 근대 - 민족의 정체성을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390 16 이민과 제국 일본 - 사람들은 왜 이민하였으며, 이민은 일본의 팽창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393 17 신문 ·잡지 미디어 - 사회 안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396 18 내셔널리즘 - ‘일본’은 어떻게 상상됐는가 399 19 자본주의의 발달 - 그 일본적 특질이란 무엇인가 402 20 젠더와 근현대 - ‘성’으로부터 근현대사를 어떻게 다시 읽을 것인가 405 21 근대가족 - ‘일가 단란’상은 언제 구축되었는가 408 22 식민지 대만 - ‘대만사’란 누구의 역사인가 411 23 식민지 조선 - 그 ‘근대화’와 ‘황민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414 24 피차별 부락 - ‘부락’은 근대에 어떻게 만들어져 변용되었는가 417 25 종교와 근대사회 - 구시대의 유물인가 420 26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 그 이념이 가져온 가능성과 문제는 무엇인가 423 27 근대과학 - 진화론에서 우생학으로 426 28 노동운동 - 노동자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429 29 제국헌법하의 정당정치 - 전전의 일본은 민주화되었는가 432 30 다이쇼 데모크라시 - 왜 ‘민본주의’가 주창되었으며 어떻게 확산되었는가 435 31 대중소비사회 - 사람들은 어떻게 ‘소비자’가 되었는가 438 32 질병 ·의료와 사회 - 근대화는 ‘병’과 의료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441 33 근대의 농촌 - 지주-소작 관계는 어떻게 형성 ·변화되었는가 444 34 국가신도 - 전전, 전쟁기의 신사나 신직은 어떠한 역할을 해냈는가 447 35 전간기의 동아시아 국제관계 - 워싱턴체제는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왜 불안정했나 450 36 쇼와 천황과 궁중 -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했는가 453 37 근현대의 관료와 정당 - 전전 ·전후를 관통하는 관료와 정당의 관계란 456 38 군부와 정치 - 육군 ·해군은 어떻게 정치와 연관되었는가 459 39 병사의 경험 - 병사들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싸웠는가 462 40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으로 - 왜 일본의 침략은 확대되었는가 465 41 재해와 근현대 일본 - 재해를 기억하고 기록한다는 것은 468 42 대동아공영권 - 아시아의 해방인가 지배인가 471 43 미일 개전 - ‘대동아건설’인가 ‘자존자위’인가 474 44 전시하의 사회 변용 - 억압인가 평준화인가 477 45 미국의 점령정책 - 왜 해방이라고 받아들여졌는가 480 46 상징천황제 - 천황은 어떻게 ‘상징’이 되었는가 483 47 55년 체제와 자민당 지배 - 자민당 정권은 왜 성립하고 장기화되었는가 486 48 주일 미군 기지 - 왜 오키나와에 집중되었는가 489 49 원자력과 핵 - 전후에 왜 원자력이 정착했는가 492 50 재일코리안 - 식민지주의의 억압, 사회적 배제 속에서 어떻게 살아왔는가 495 51 고도경제성장 - 장기 경제성장은 어떻게 발생했으며 사회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498 52 전후사회와 젠더 - 전후 시기에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501 53 전후 학교 교육의 전개 - 교육의 ‘대중화’는 무엇을 가져왔는가 504 54 평화운동의 전전 ·전후 - 그 논리와 담당 주체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507 55 전후의 문화 운동 - 사회운동에서 왜 문화가 중요시되었는가 510 56 냉전 하의 외교 - 미일안보체제는 어떻게 일본외교를 규정했는가 513 57 동아시아의 전후처리 - 왜 화해는 어려운가 516 58 공문서와 근현대사 연구 - 무엇이 기록 ·보존되는가 519 59 청취 ·구술사 - 우리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어떻게 들어 왔는가 522 60 환경문제 - ‘문제’는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가 525 61 미국의 일본사 연구 - ‘근대화론’을 둘러싸고 어떤 논의가 진행되어왔는가 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