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2 한국의 환경정책 SECTION 01 한국 환경정책의 전개과정 289 1. 환경정책의 태동기(1953년~1979년) _ 290 2. 환경정책의 형성기(1980년대) _ 291 3. 환경정책의 발전기(1990년대 이후) _ 293 SECTION 02 한국 환경정책의 특징 294 1. 한국 환경법 _ 294 2. 한국 환경정책의 기구 및 예산상의 구조 _ 295 3. 한국 환경정책의 구조 _ 299 ■참고문헌 _ 306
CHAPTER 14 편익분석을 위한 기본이론 SECTION 01 가격변화의 후생효과 335 1. 통상수요와 소비자잉여 _ 335 2. 보상수요 _ 339 3. 보상변화와 동등변화 _ 342 SECTION 02 수량 혹은 질 변화의 후생효과 349 SECTION 03 환경편익의 분류 359 1. 환경 이용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_ 360 2. 환경 이용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경우 _ 361 3. 환경편익의 종류 _ 371 SECTION 04 환경편익의 통합 376 부록 간접효용함수, 지출함수, 후생변화 380 ■연습문제 _ 384 ■참고문헌 _ 387
CHAPTER 15 환경개선의 편익분석 1: 시장적 방법과 회피행위모형 SECTION 01 환경재의 가치평가 방법 390 1. 재화와 서비스의 구분 _ 390 2. 환경재의 가치평가방법 _ 391 SECTION 02 시장적 방법 395 SECTION 03 현시선호방법의 이론적 기초 397 SECTION 04 회피행위모형을 이용한 건강 편익의 추정 412 1. 환경질 변화의 한계편익 _ 413 2. 비한계적 오염도 변화의 편익 _ 418 부록 01 약보완성과 약대체성 420 부록 02 회피행위와 환경질 변화의 한계편익 421 ■연습문제 _ 423 ■참고문헌 _ 425
CHAPTER 16 환경개선의 편익분석 2: 휴양수요분석법과 특성가격법 SECTION 01 여행비용법 427 1. 분석 절차 _ 428 2. 시간비용의 처리 _ 431 3. 방문자료의 특이성 _ 433 4. 자연생태계 특성변화의 가치 _ 434 SECTION 02 확률효용모형 436 1. 분석 절차 _ 436 2. 휴양지 선택과 방문 횟수 선택의 동시 분석 _ 443 SECTION 03 특성가격법 446 1. 분석 절차 _ 446 2. 특성가격법의 몇 가지 문제와 해결 방안 _ 451 3. 균형소팅모형 _ 455 SECTION 04 특성임금분석 460 부록 통계적 생명의 가치 464 ■연습문제 _ 467 ■참고문헌 _ 468
CHAPTER 17 환경개선의 편익분석 3: 진술선호법 SECTION 01 가상가치평가법의 역사와 특징 471 1. 가상가치평가법의 역사 _ 471 2. 가상가치평가법의 특징 _ 473 SECTION 02 가상가치평가법의 질문 형태와 타당성 477 1. 설문조사 방법 _ 477 2. 질문 형태 _ 477 3. 가상가치평가법의 타당성에 관한 논의 _ 486 4. CVM의 타당성 검증 _ 492 SECTION 03 선택실험법과 가상행위평가법 495 1. 선택실험법 _ 495 2. 가상행위평가법 _ 500 SECTION 04 모의시장 분석과 실험 및 행동경제학 501 SECTION 05 편익이전 503 ■연습문제 _ 505 ■참고문헌 _ 506
CHAPTER 18 비용분석 SECTION 01 환경정책비용의 종류 509 SECTION 02 직접비용의 계측방법 510 1. 공학적 방법 _ 511 2. 설문조사법 _ 512 3. 생산경제학모형 _ 512 SECTION 03 간접비용 515 1. 자원 이용의 효율성 증대 _ 515 2. 생산성 변화 _ 516 3. 환경정책이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 _ 521 4. 오염규제와 독점화 _ 524 부록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환경정책비용의 분석 524 ■참고문헌 _ 528
PART 05 국제무역, 경제발전과 환경 CHAPTER 19 국제무역과 환경 SECTION 01 국제무역과 환경의 통합적 관리: 코웁랜드-테일러 일반균형모형 532 SECTION 02 개방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541 SECTION 03 새로운 무역이론과 환경문제: 이론과 실증분석 545 ■참고문헌 _ 555
CHAPTER 20 경제발전과 환경,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SECTION 01 경제발전과 환경 558 1. 경제발전과 환경: 횡단면분석 _ 558 2. 경제발전과 환경: 시계열분석 _ 560 3. 지속가능한 발전 _ 562 SECTION 02 환경쿠즈네츠곡선의 이론적 근거 564 1. 부존자원 변화 _ 565 2. 소득증가의 효과 _ 565 3. 임계치효과 _ 566 4. 저감기술의 규모수익증가 _ 566 5. 온실가스 배출량의 EKC 현상 _ 567 6. 환경-솔로우 모형 _ 570 SECTION 03 개발도상국의 환경관리 575 1. 개발도상국 환경정책의 비용-편익분석 _ 575 2. 기존 경제정책의 반환경적 요소 제거 _ 576 3. 개방자원문제의 해결 _ 576 4. 인구통제 _ 578 5. 비공식적 수단을 사용한 오염규제 _ 583 6. 경제적 유인제도와 직접규제 _ 583 7. 선진국의 역할 _ 584 SECTION 04 녹색 국민소득계정 585 1. 국민소득계정 _ 585 2. 녹색 국민소득계정: 이론적 문제 _ 588 3. 세계은행의 ANNI와 ANS _ 589 ■연습문제 _ 592 ■참고문헌 _ 593
CHAPTER 21 전 지구적 차원의 환경문제 SECTION 01 환경문제에 관한 국제협력의 어려움 595 SECTION 02 오존층 파괴 603 1. 오존층 파괴의 원인과 피해 _ 603 2. 오존층 보존을 위한 노력 _ 604 SECTION 03 생물다양성 605 1. 문제의 원인과 성격 _ 605 2.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조치 _ 606 ■참고문헌 _ 608
CHAPTER 22 기후변화의 경제학 SECTION 01 지구온난화 과학 609 1. 온실가스와 기온, 기온상승의 영향 _ 609 2. 미래 전망 _ 611 SECTION 02 기후변화 대응 616 1. 배출저감 _ 616 2. 기후변화적응 _ 617 3. 국제적 노력 _ 619 SECTION 03 통합평가모형과 탄소의 사회적 비용 621 SECTION 04 할인율 선택 논쟁 625 부록 불확실성과 할인율 630 ■참고문헌 _ 632
『환경경제학』 제5판은 두 부분에서 제4판과는 두드러진 차이를 가진다. 첫 번째는 거시 및 동태분석 부분이다. 제22장 “기후변화의 경제학”이 완전히 새로 작성되었으며, 기후변화 진행 상황, 대처방안, 새로이 대두되는 논점들에 대한 설명이 늘어났다. 아울러 제20장 “경제발전과 환경,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에서도 경제성장과 오염물질 배출이 상호 연계하여 동태적으로 변하는 문제에 대한 이론설명과 현실 자료 분석이 새로 도입되었다. 두 번째 부분은 환경편익 관련 내용들이다. 편익 분석에 자연환경 보존의 불확실성과 비가역성을 반영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이 많이 개선되었다. 그리고 건강과 통계적 생명의 가치 분석이론도 보완되었다. 이 내용들은 제14장~제16장에 포함되어 있다. 이 두 부분 외에도 다수의 장에서 내용의 개선과 확장이 있었으며, 본문이나 보론, 혹은 부록에 새로 추가되거나 상당한 정도 수정된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자원환경 이용에 있어 시장실패 사례(제4장) ∎ESG 경영과 민간의 자발적 환경개선 노력(제4장) ∎통합배출기준 설정 방법(제6장)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제8장) ∎한국 배출권거래제 동향(제8장) ∎각국의 탄소저감 경제적 유인제도(제8장) ∎준옵션가치와 실물옵션가치(제14장) ∎상품의 특성과 가격이 함께 변할 때의 후생 변화(제15장) ∎가계생산함수와 회피행위(제15장) ∎통계적 생명가치(제16장) ∎환경정책 비용분석과 CGE모형(제18장) ∎온실가스 배출량의 EKC현상(제20장) ∎환경-솔로우 모형(제20장) ∎인구변동 이론의 실증분석(제20장) ∎탄소의 사회적 비용(제22장) ∎불확실성과 할인율 선택(제22장)
이상의 내용보완에도 불구하고 전체 분량은 오히려 조금 줄어들도록 조절되었다. 저자는 제4판까지도 남아 있던 어색한 문장들은 찾아서 수정하였으며, 적지 않은 수의 최근 연구성과물을 참고문헌에 추가하였다. 강원대학교의 이혜진 박사와 대한상공회의소의 박경원 박사는 제5판의 원고도 읽고 불명확하거나 매끄럽지 못한 문장들을 지적해주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의 용희원, 김호범 두 학생은 출판사 편집본을 원고와 대조하고 여러 중요한 문제들을 찾아내었다. 박영사의 배근하, 전채린 두 분 차장님은 이번에도 편집 작업을 대단히 효과적으로 진행해주었다. 이 분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개정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했을 것이기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