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3

국문요약보고서 7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1

1. 연구 배경 11

2. 연구 필요성 13

3. 연구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범위와 연구 체계 14

1. 연구 범위 14

2. 연구 체계 14

3. 연구 방법 15

제2장 이론적 검토 17

제1절 개념과 이론적 고찰 17

1. 이주배경 아동ㆍ청소년 개념 및 쟁점 17

2. 이론적 고찰 21

제2절 선행연구 검토 24

1. 이주배경 아동ㆍ청소년, 다문화 교육 관련 기존 연구 24

2. 이주배경 아동ㆍ청소년 교육환경 26

제3장 국내외 정책 및 사례 29

제1절 해외 사례 분석 29

1. 이주배경에서의 학업성취도와 변화상: OECD국가의 변화상을 중심으로 29

2. 주요국의 이주배경 아동ㆍ청소년 교육 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 34

제2절 국내 정책 41

제3절 경기도 정책 현황 54

1. 경기도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 54

2. 경기도 외국인 주민 지원 조례 54

3. 경기도 이주배경청소년 지원에 관한 조례 55

4. 경기도 내 시ㆍ군 조례 56

제4절 경기도 광역 이주배경 아동ㆍ청소년 지원 환경 현황 66

1. 경기도교육청 66

2. 경기 다문화교육지원센터 70

3. 경기도 다문화가족지원 71

4.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가족센터 73

5. 경기도 레인보우스쿨 74

6. (가칭)경기안산국제학교 설립 안 74

제4장 현황 및 실태조사 75

제1절 국내 이주배경 아동ㆍ청소년 현황 75

제2절 교육권보장 실태조사 83

1. 정책 현장 전문가 FGD 83

2. 교육 현장 전문가(교사) 인터뷰 92

3. 현장전문가(정책, 교육) 조사결과 종합 97

제3절 정책당사자 수요 및 인식조사 100

1. 조사 방법 100

2. 분석 결과 103

제5장 결론 및 제언 140

제1절 경기도 이주배경아동청소년 교육권 보장 방안 140

제2절 정책 제언 및 실행 방안 149

1. 실질적 교육권 보장을 위한 정책 방향 149

2. 지속 가능한 운영 및 평가 방안 149

3. 조례 제 개정안 151

참고문헌 152

표목차 4

[표 1-2-1] 본 연구의 범위 14

[표 1-2-2] 본 연구의 연구체계도 14

[표 2-1-1] 이주배경아동청소년 개념 및 전달체계 18

[표 2-1-2] 이주배경 아동ㆍ청소년의 학업 회복탄력성 OECD 조사결과 20

[표 3-2-1] 이주배경아동청소년 전달체계 요약 41

[표 3-2-2] 다문화교육 정책 학교 구조 50

[표 3-2-3] 다문화교육 연구학교 연구 주제 50

[표 3-2-4] 중앙 및 지역 다문화교육지원센터 역할 50

[표 3-3-1] 경기도 시군별 조례 현황 56

[표 3-4-1] 2024년 경기도 다문화 특별학급 및 한국어학급 운영 현황 68

[표 3-4-2] 2024년 경기도 다문화교육 운영 현황(한국어공유학교, 정책연구학교, 이중언어운영교 등) 69

[표 3-4-3] 경기 다문화교육지원센터 핵심 과제 및 세부 추진과제 70

[표 3-4-4] 교육과정 연계 다문화 감수성 교육 학습 단계 71

[표 3-4-5] 경기도 다문화가족정책 과제 71

[표 4-1-1] 학제별 현황(전국) 75

[표 4-1-2] 이주배경 형태별 현황 76

[표 4-1-3] 외국인 주민 자녀 전국(광역) 현황 76

[표 4-1-4] 경기도 이주배경 아동ㆍ청소년 현황(초, 중, 고. 2023 기준) 77

[표 4-1-5] 경기도 지역별 이주배경 학생 수 현황(2023 기준) 78

[표 4-2-1] 정책 현장 실무전문가 토의 내용 83

[표 4-2-2] 정책 현장 실무자 대상 사전 설문지 응답 내용 84

[표 4-2-3] 정책 현장 실무자 FGD 분석 결과 84

[표 4-2-4] 서면질문지 응답내용 92

[표 4-2-5] 교육현장 실무전문가 1:1 인터뷰 내용 94

|표 4-2-6] 현장전문가 응답 일치도 분석 98

[표 4-3-1]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 101

[표 4-3-2] 진술문 요인분석 결과-최대적재량 및 요인분류 결과 103

[표 4-3-3] 요인 점수화 결과 105

[표 4-3-4] 군집 중심값 분석 결과 106

|표 4-3-5] 최종 군집화 결과 106

[표 4-3-6] 군집별 응답자 특성 탐색 107

[표 4-3-7] 응답자 특성별 요인 점수 108

[표 4-3-8] 응답자 특성과 요인점수 상관관계 분석 109

[표 4-3-9] 요인 1 학교 내 상호작용 만족 110

[표 4-3-10] 요인 2 학습환경 만족 113

[표 4-3-11] 요인 3 진로개발과 자아정체감 형성 115

[표 4-3-12] 요인 4 언어문화적응 117

[표 4-3-13] 군집별 응답 평균과 군집간 차이 120

[표 4-3-14] 진술문 요인분석결과-최대적재량 및 요인분류 결과 122

[표 4-3-15] 군집화 결과 초기중심값 및 최종중심값 123

[표 4-3-16] 응답자 특성별 군집 분류 124

[표 4-3-17] 응답특성별 요인점수 상관성 125

[표 4-3-18] 요인 1 포용적 학습환경과 문화적 적응 127

[표 4-3-19] 요인 2 학습권 보장과 진로지원 필요성 129

[표 4-3-20] 요인 3 참여와 권리증진 132

[표 4-3-21] 요인 4 가정연계지원 필요성 135

[표 4-3-22] 중학생 군집별 응답점수의 문항별 평균점수 차이 138

[표 5-1-1] 관련 법령 현황 140

[표 5-1-2] 조례 개정 및 신규 제정(안)_1 141

[표 5-1-3] 조례 개정 및 신규 제정(안)_2 143

[표 5-2-1] SMART 성과지표에 대한 지침 150

[표 5-2-2] 추진실적 평가지표(안) 150

[표 5-2-3] 종합 조례 제ㆍ개정(안) 151

그림목차 6

[그림 1-1-1] 이주배경 아동ㆍ청소년 학생 수 현황 12

[그림 3-1-1] PISA 2012~2022 10년간 이주배경학생 변화율 30

[그림 3-1-2] 이민자 배경을 가진 학생 비율과 수학 평균 성취도 31

[그림 3-1-3] 이주배경학생 중 사회경제적 열악한 위치의 학생 비율 32

[그림 3-1-4] 사회경제적 상황 및 가정 내 이주국 언어 사용여부를 반영한 학업성취도 격차 33

[그림 3-1-5] 이민자 배경을 가진 학생 비율과 수학 평균 성취도 33

[그림 3-2-1] 교육부 2023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45

[그림 3-2-2] 이주배경학생 인재양성 비전 및 정책방향 46

[그림 3-2-3] 중앙 및 지역 다문화교육지원센터 추진 체계 51

[그림 3-2-4] 이주배경 가족 지원 체계 52

[그림 3-2-5] 건강가정지원센터 추진 체계 53

[그림 3-4-1] 2024 경기 다문화교육 추진 계획 66

[그림 3-4-2] 2024 경기 다문화교육 추진과제 및 추진체계 67

[그림 4-1-1] 전국 및 경기도 배경문화권별 이주배경청소년 현황 79

[그림 4-1-2] 경기도 다문화 밀집학교 수 80

[그림 4-1-3] 교육지원서비스 경험율 80

[그림 4-1-4] 경기도 이주배경아동ㆍ청소년 지원정책 필요성 및 경험률 81

[그림 4-1-5] 자녀의 학교적응정도인식 81

[그림 4-1-6] 자녀의 학교적응정도인식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