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4

1. 연구 개요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범위 및 연구조사 방법 10

3. 연구진행 흐름도 10

2. 사업환경 검토 11

1. 덕적도 일반환경 12

2. 사업지 현황 14

3. 기존 대안 도출 19

1. 기존 해수침투방지 공법 20

2. 실시설계 개선 해수침투방지 공법 23

3. 실시설계 이슈 식별 27

4. 개선 대안 도출 31

1. 개선 대안 도출 개념 32

2. 차수벽 설치 개념 33

3. 배수시설 설치 개념 40

4. 저류지 설치 개념 42

5. 결론 및 정책제언 50

1. 대안별 비교검토 51

2. 연구 한계 및 정책 제언 56

참고문헌 57

판권기 58

표목차 5

[표 2-1] 조위도(덕적도) 12

[표 2-2] 조류(덕적도) 13

[표 2-3] 지형 및 지질도 13

[표 2-4] 해수침투 피해현황 14

[표 2-5] 해수침투방지 공사이력 14

[표 2-6] 조사 위치도 15

[표 2-7] 지층분포 현황 16

[표 2-8] 지층별 지반정수 16

[표 2-9] 호안구간 현황 17

[표 2-10] 도로구간 현황 17

[표 2-11] 배수시설 현황 18

[표 3-1] 해수침투공사 추진 현황 20

[표 3-2] 해수침투 피해원인 21

[표 3-3] 해수침투 피해원인 분석결과 21

[표 3-4] 침투안정성 검토결과 22

[표 3-5] 주입방식에 따른 차수방법 분류 23

[표 3-6] 주입재료에 따른 차수방법 분류 23

[표 3-7] 해수침투방지 공법 고압분사+CJM 사례 24

[표 3-8] 고압분사 차수검토 결과 25

[표 3-9] 실시설계 업체 VS 주민 대안 비교 26

[표 3-10] 침수피해 발생시 기상현황 28

[표 3-11] 침수 피해 현황(2024.08.21.) 28

[표 3-12] 침수 및 누수 현황(2024.09.19.) 29

[표 4-1] 그라우팅 및 시트파일 비교 34

[표 4-2] 개선 대안 도출 34

[표 4-3] 광폭U형 Sheet Pile 개요 35

[표 4-4] 광폭U형 Sheet Pile 제작 및 시공절차 35

[표 4-5] 광폭U형 Sheet Pile 시공사례 35

[표 4-6] 국내 광폭 U형 Sheet Pile 시공사례 36

[표 4-7] Sheet Pile 수량 (700X160X10t, 80.1kg/m) 37

[표 4-8] 배수 시설별 설계빈도 40

[표 4-9] 측구 설치방안 검토 41

[표 4-10] 설계유량 산정 44

[표 4-11] 저류지 규격 결정 44

[표 4-12] 강우, 대조기 시 저류지 대응 능력 검토 44

[표 4-13] 설치 예정지 45

[표 4-14] (현재)Pump Station System 49

[표 5-1] 대안별 비교 52

[표 5-2] 검토안2 총사업비 53

[표 5-3] 검토안2 공시지가 보상배율 53

[표 5-4] 검토안2 공사비 산정 54

그림목차 7

[그림 2-1] 연구진행 흐름도 10

[그림 2-1] 시추 단면도 15

[그림 2-2] 배수시설 현황도 18

[그림 3-1] 조위변화 그래프 22

[그림 3-2] 침수 및 누수 개념도 30

[그림 4-1] 차수공 종평면도(1/2 BH1 및 BH2) 38

[그림 4-2] 차수공 종평면도(2/2 BH3) 39

[그림 4-3] 인천지역 I.D.F(Intensity Duration Frequency) 40

[그림 4-4] 우수처리 방안(물양장→저류지#1) 42

[그림 4-5] 배수유역도 43

[그림 4-6] 저류시간 산정 44

[그림 4-7] 마이애미 비치 인근의 워싱턴 애비뉴 및 브리켈베이 드라이브의 홍수 47

[그림 4-8] (기존)Gravity System 48

[그림 4-9] 마이애미비치의 폭풍우 성공사례(Sunset Harbour)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