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1. 2024년 남북통합지수 총괄 8

2. 영역별 요약 12

가. 경제 12

나. 정치 14

다. 사회문화 16

3. 남북통합지수로 본 2023년 한반도: 평가와 전망 19

가. 남북통합지수로 본 2023년 한반도 평가 19

나. 향후 전망 20

1장. 구조통합지수 23

1. 경제 24

가. 지수구성 24

나. 제도통합지수 25

다. 관계통합지수 29

라. 종합 43

2. 정치 51

가. 지수구성 51

나. 제도통합지수 52

다. 관계통합지수 59

라. 종합 83

3. 사회문화 86

가. 지수구성 86

나. 제도통합지수 88

다. 관계통합지수 98

라. 종합 115

2장. 의식통합지수 120

1. 지수구성 121

2. 영역별 지수 124

가. 경제 124

나. 정치 132

다. 사회문화 146

3. 종합 161

3장. 남북통합지수 165

판권기 175

표목차 4

〈표 2-1〉 경제영역 변인들의 분류와 배점 24

〈표 2-2〉 경제분야 법제도화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27

〈표 2-3〉 제도통합지수 종합 28

〈표 2-4〉 교역부문 상대점수 30

〈표 2-5〉 투자부문 상대점수(UN 명목소득 기준) 33

〈표 2-6〉 노동부문 상대점수 35

〈표 2-7〉 무역자유화 부문 상대점수 37

〈표 2-8〉 제도장치 확립부문 상대점수 39

〈표 2-9〉 소득수준 수렴부문 상대점수(UN 명목소득 기준) 41

〈표 2-10〉 2022년/2023년 경제영역 구조통합지수 변화부문 지수 비교 43

〈표 2-11〉 경제영역 구조통합지수 종합(UN 명목소득 기준) 44

〈표 2-12〉 투자부문 상대점수 (구매력 평가소득 기준) 46

〈표 2-13〉 소득수준 수렴부문 상대점수(구매력평가 소득 기준) 48

〈표 2-14〉 경제영역 구조통합지수 종합(구매력평가 소득기준) 49

〈표 2-15〉 정치영역 변인들의 분류와 배점 51

〈표 2-16〉 정치영역 제도적 통합의 지표와 배점 53

〈표 2-17〉 북한 정치관련 법제화 정도 55

〈표 2-18〉 북한 정치관련 법제의 실효성 정도 55

〈표 2-19〉 남북한 공동법제화 수준 56

〈표 2-20〉 정치영역 제도통합지수 종합 58

〈표 2-21〉 실무정치회담 연도별 개최 횟수 및 점수 59

〈표 2-22〉 고위급 정치회담 연도별 횟수 및 점수 61

〈표 2-23〉 군사분야 회담 연도별 개최 횟수 및 점수 62

〈표 2-24〉 의회회담 연도별 개최 횟수 및 점수 63

〈표 2-25〉 정당교류 정치단체 교류 관련 점수 64

〈표 2-26〉 정치분야 공동행사 65

〈표 2-27〉 매개제도의 구성과 활동 부문 점수 66

〈표 2-28〉 대화ㆍ회담의 정례화 수준 평가 방법 (2010년 수정) 68

〈표 2-29〉 대화ㆍ회담의 정례화 부문 점수 68

〈표 2-30〉 국제사회에서 외교군사적 협력 횟수 및 점수 69

〈표 2-31〉 남북한의 연도별 병력 수 및 병력감축 수준 부문 점수 70

〈표 2-32〉 군사적 긴장완화 및 신뢰구축의 배점 (2010년 신설) 73

〈표 2-33〉 군사적 긴장완화 및 신뢰구축 부문 점수 74

〈표 2-34〉 2021년 군사적 긴장완화 및 신뢰구축 부문 내용 77

〈표 2-35〉 상호체제인정 정도(법 개정) 80

〈표 2-36〉 남북한의 상호체제인정 부문 점수 81

〈표 2-37〉 2022/2023년 정치영역 관계통합지수 변화부문 지수 비교 83

〈표 2-38〉 정치영역 구조통합지수 종합 84

〈표 2-39〉 사회문화영역 변인들의 분류와 배점 87

〈표 2-40〉 사회문화영역 제도적 통합의 지표와 배점 88

〈표 2-41〉 사회문화영역 남북한 제도 단일화 변인에 대한 점수 92

〈표 2-42〉 사회문화영역 남북한 법제화 정도 94

〈표 2-43〉 사회문화영역 남북한 법제화 전문가 설문조사 연도별 추이 94

〈표 2-44〉 북한의 사회문화 자유화 법제의 실효성 95

〈표 2-45〉 남북한 사회문화 법제화 변인에 대한 점수 96

〈표 2-46〉 사회문화영역 제도통합지수 종합 97

〈표 2-47〉 사회문화영역 관계적 통합 지표와 배점 98

〈표 2-48〉 인적왕래 변인 상대점수 100

〈표 2-49〉 공동행사 변인 상대점수 102

〈표 2-50〉 사회문화 교류협력기금 변인 상대점수 104

〈표 2-51〉 이산가족 상봉 변인 상대점수 106

〈표 2-52〉 인적 이동 자유화 변인 상대점수 108

〈표 2-53〉 언론ㆍ방송의 자유화 변인 지표와 배점 109

〈표 2-54〉 언론ㆍ방송의 자유화 변인 점수 109

〈표 2-55〉 주요 국제대회 공동개최·단일팀 구성 변인 상대점수 111

〈표 2-56〉 사회문화 교류협력 당국자 회담 상대점수 112

〈표 2-57〉 사회문화 교류협력 정례화 및 공동협의기구 변인 종합점수 113

〈표 2-58〉 사회문화영역 구조통합지수 종합 115

〈표 2-59〉 사회문화영역 구조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117

〈표 2-60〉 2022/2023년 사회문화 구조통합지수 변화부문 지수 비교 118

〈표 3-1〉 의식통합지수 변인과 배점 121

〈표 3-2〉 경제영역 의식통합 변인과 배점 124

〈표 3-3〉 통일이 남한과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정도에 대한 응답률과 상대점수 125

〈표 3-4〉 남한 주민의 남북 경제교류에 대한 평가 126

〈표 3-5〉 대북 지원의 선호 정도에 대한 응답률과 상대점수 128

〈표 3-6〉 경제분야 의식통합지수 종합 130

〈표 3-7〉 정치영역 의식통합 변인과 배점 132

〈표 3-8〉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률과 상대점수 133

〈표 3-9〉 남북 정치제도의 동질성에 대한 응답률과 상대점수 135

〈표 3-10〉 상대방의 무력도발 가능성 "없음"에 대한 응답률과 상대점수 136

〈표 3-11〉 상대방에 대한 긍정인식 응답률과 상대점수 138

〈표 3-12〉 상대방 인지도에 대한 응답률과 상대점수 140

〈표 3-13〉 정치분야 의식통합지수 종합 142

〈표 3-14〉 사회문화영역 의식통합 변인과 배점 146

〈표 3-15〉 상대방의 사회문화에 대한 인지 수준 응답률과 상대점수 147

〈표 3-16〉 상대방에 대한 수용의식 응답률과 상대점수 149

〈표 3-17〉 상대방에 대한 적대감 해소 응답률과 상대점수 151

〈표 3-18〉 남북 사회문화양식의 동질성 응답률과 상대점수 153

〈표 3-19〉 통일 이후의 사회평등 기대수준 응답률과 상대점수 155

〈표 3-20〉 사회문화영역 의식통합지수 종합 158

〈표 3-21〉 남북의식통합지수 연도별 변화 163

〈표 4-1〉 2010~2023년 남북통합지수와 백분율 167

〈표 4-2〉 영역별 구조통합지수 시계열적 추이와 단계 변화 172

그림목차 7

〈그림 1-1〉 영역별 남북통합지수 추이 9

〈그림 1-2〉 경제영역 구조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12

〈그림 1-3〉 정치영역 구조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14

〈그림 1-4〉 사회문화영역 의식통합지수 남북한 상대점수 연도별 추이 16

〈그림 1-5〉 사회문화영역 구조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17

〈그림 2-1〉 개성공단 고용 북한노동자와 생산액 추이 34

〈그림 2-2〉 경제영역 구조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45

〈그림 2-3〉 정치영역 구조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86

〈그림 2-4〉 사회문화영역 구조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119

〈그림 3-1〉 사회문화영역 의식통합지수 (2008~2023) 157

〈그림 3-2〉 의식통합지수 2010~2023년 변화 추이 164

〈그림 4-1〉 2010~2023년 남북통합지수 추이 170

〈그림 4-2〉 최근 3년 간의 제도, 관계, 의식, 종합지수 비교 171

〈그림 4-3〉 영역별 구조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173

〈그림 4-4〉 영역별 제도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174

〈그림 4-5〉 영역별 관계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174

〈그림 4-6〉 영역별 의식통합지수 연도별 추이 174

이용현황보기

(2024) 남북통합지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6251 통일 320.158 -25-19 서울관 독도·통일자료실(의정관3층)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