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들어가며

chapter 01 초보 일러스트레이터를 위하여

Q01 초보자는 무엇부터 배우면 되는가?①
Q02 초보자는 무엇부터 배우면 되는가?②
Q03 무엇을 그려야 할지 모르겠다.
Q04 일러스트를 즐기면서 그리지 못한다.
Q05 일러스트를 완성할 수 없다.①
Q06 일러스트를 완성할 수 없다.②
Q07 어떻게 해도 잘 못 그리는, 되도록 피하고 싶은 모티브가 있다.①
Q08 어떻게 해도 잘 못 그리는, 되도록 피하고 싶은 모티브가 있다.②
Q09 정면 앵글의 캐릭터 얼굴을 좌우대칭으로 그리지 못한다.
Q10 나의 일러스트에 자신감이 없다.①
Q11 나의 일러스트에 자신감이 없다.②
Q12 자신의 일러스트를 시간을 두고 다시 보면 제대로 그리지 못한 부분이 눈에 띄어 실망한다.
Q13 일러스트를 그리려는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①
Q14 일러스트를 그리려는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②
Q15 일러스트 그리는 연습을 하겠다고 다짐해도 지속되지 않는다.①
Q16 일러스트 그리는 연습을 하겠다고 다짐해도 지속되지 않는다.②
Q17 일러스트 실력이 늘지 않는다.
Q18 전문적인 그림에 관한 공부는 독학으로 가능한가?
Q19 유행에 신경 쓰지 않고 좋아하는 것만 그리고 싶다.
Q20 일러스트 표현의 폭을 넓히려면 무엇을 해야 하나?
Q21 일러스트를 공개하는 것이 쑥스럽다. 어떻게 극복해야…①
Q22 일러스트를 공개하는 것이 쑥스럽다. 어떻게 극복해야…②
Q23 일러스트를 더 이상 그리고 싶지 않아졌을 때의 해결 방법은?①
Q24 일러스트를 더 이상 그리고 싶지 않아졌을 때의 해결 방법은?②

Column 프로 일러스트레이터가 선정한 일러스트 배우기 추천 도서 65

chapter 02 중급자가 상급으로 올라가기 위한 조언

Q25 일러스트레이터가 되려면 전문적인 공부를 해야 하나?①
Q26 일러스트레이터가 되려면 전문적인 공부를 해야 하나?②
Q27 일러스트레이터가 되기 위해 아날로그 소재로 그리는 경험이 필요한가?
Q28 디지털 페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것에 좀처럼
익숙해지지 않는다.
Q29 2차 창작은 얼마든지 그릴 수 있지만 오리지널 일러스트를 못 그린다.①
Q30 2차 창작은 얼마든지 그릴 수 있지만 오리지널 일러스트를 못 그린다.②
Q31 같은 패턴의 일러스트만 그리게 된다. 다양하게 변화를 주고 싶다.①
Q32 같은 패턴의 일러스트만 그리게 된다. 다양하게 변화를 주고 싶다.②
Q33 나만의 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일러스트를 그리고 싶다.①
Q34 나만의 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일러스트를 그리고 싶다.②
Q35 캐릭터의 디자인, 포즈 그리고 패션은 어떻게 아이디어를 내는가?①
Q36 캐릭터의 디자인, 포즈 그리고 패션은 어떻게 아이디어를 내는가?②
Q37 캐릭터를 매력적으로 보여 주는 포즈나 구도는 어떻게 배우면 되는가?①
Q38 캐릭터를 매력적으로 보여 주는 포즈나 구도는 어떻게 배우면 되는가?②
Q39 나의 작화 스타일이 유행과 맞지 않는다.
Q40 일러스트의 분위기나 스타일을 바꾸고 싶다.
Q41 일러스트가 매너리즘에 빠져 버린다.①
Q42 일러스트가 매너리즘에 빠져 버린다.②
Q43 슬럼프에 빠져서 그림을 못 그린다.
Q44 나보다 젊은 사람이 그림을 잘 그리면 질투가 난다.①
Q45 나보다 젊은 사람이 그림을 잘 그리면 질투가 난다.②
Q46 회사 일이 바빠서 일러스트를 그릴 시간이 없지만, 본업과 창작 활동을 병행하고 싶다.①
Q47 회사 일이 바빠서 일러스트를 그릴 시간이 없지만, 본업과 창작 활동을 병행하고 싶다.②

Column 프로 일러스트레이터의 작업 환경

chapter 03 일러스트레이터를 위한 SNS 활용법

Q48 다양한 SNS 중에서 어떤 것을 쓰면 되는가?
Q49 SNS에서 팔로워를 늘리고 싶다.①
Q50 SNS에서 팔로워를 늘리고 싶다.②
Q51 SNS에 투고한 일러스트의 반응을 더욱 늘리고 싶다.
Q52 잘 그렸다 싶었는데 SNS에서의 반응이 좋지 않았다.
Q53 2차 창작에 비해 오리지널 일러스트의 반응이 좋지 않다.①
Q54 2차 창작에 비해 오리지널 일러스트의 반응이 좋지 않다.②
Q55 SNS 팔로워의 반응에 너무 민감하다.
Q56 SNS에서 악플을 보고 기운이 떨어진다.
Q57 일러스트 의뢰를 받기 위해 SNS에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가?①
Q58 일러스트 의뢰를 받기 위해 SNS에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가?②

Column 이미지 생성형 AI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chapter 04 프로 일러스트레이터가 되고 싶다!

Q59 프로 일러스트레이터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Q60 상업적으로 의뢰를 받아 프로 일러스트레이터로 데뷔하고 싶다.
Q61 프로와 아마추어 중 어느 쪽에서 활동하는 게 좋은가?
Q62 어떤 방법으로든 꼭 일러스트레이터가 되고 싶다!
Q63 주변 사람들이 일러스트레이터가 되는 것을 반대한다.
Q64 일러스트 공부 이외에 프로 일러스트레이터가 되기 위해 해야 할 것이 있는가?
Q65 인하우스 일러스트레이터와 프리랜서 중 어느 쪽이 좋은가?
Q66 프리랜서로 독립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의뢰를 받아야 하는가?
Q67 직장 생활과 일러스트레이터를 겸업 중인데 균형 있게 병행하고 싶다.①
Q68 직장 생활과 일러스트레이터를 겸업 중인데 균형 있게 병행하고 싶다.②
Q69 프로 일러스트레이터는 어떻게 아이디어를 내는지 알고 싶다.
Q70 일러스트를 그리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싶다.①
Q71 일러스트를 그리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싶다.②
Q72 마감일과 제작 일정을 잘 지키기 위한 팁을 알고 싶다.①
Q73 마감일과 제작 일정을 잘 지키기 위한 팁을 알고 싶다.②
Q74 내가 그리고 싶은 일러스트와 요구받은 일러스트의 차이가 너무 심하다.
Q75 제출한 일러스트의 수정을 요청받을 때가 많다.①
Q76 제출한 일러스트의 수정을 요청받을 때가 많다.②
Q77 의뢰가 끊이지 않기 위해 무엇을 하면 되는가?①
Q78 의뢰가 끊이지 않기 위해 무엇을 하면 되는가?②
Q79 혼자서 그림을 그리다 보니 스트레스가 쌓인다.①
Q80 혼자서 그림을 그리다 보니 스트레스가 쌓인다.②
Q81 일러스트를 가족에게 공개하기가 부끄럽다.

일러스트레이터 인터뷰
lack
가오민
도시마

이용현황보기

일러스트레이터 고민상담실 : 초급·중급·고급 단계별 그리기 작업 Q&A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2069 741.6 -25-1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72070 741.6 -25-1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처음 그림을 그리는 사람도 이해하기 쉽게
사소한 고민들을 세세하게 풀어낸 Q&A 모음집!


그림 그리는 것에 재미를 느끼는 사람이 처음으로 일러스트에 도전한다고 생각해보자. 평소 시간이 날 때 그리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았더라도, 막상 정식으로 일러스트를 만들려고 하면 무엇을 먼저 배우고 생각해야 하는지 막막할 것이다. 독학으로 그림을 배울 수 있는지, 그림의 소재는 어떻게 정하는지, 작법서는 어떤 것을 골라야 하는지 고민이 될 수 있다. 처음에는 완성까지 끈기 있게 작업을 하는 이어가는 것과 자신감이 떨어질 때 마음을 가다듬는 것에도 격려가 필요하다. 새로운 자극을 얻고 사람들과 그림으로 소통하는 법까지 상세하게 알려줄 창구가 있다면 더없이 좋을 것이다. 『일러스트레이터 고민상담실』에서는 이 모든 것을 친절한 문답 형식으로 담았다. 아주 세세하게 다룬 질문들을 보며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이들에게 용기를 줄 것이다.

실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선배 일러스트레이터들의 현실 조언


질문을 하는 이는 오랜 시간 엔터테인먼트와 크리에이터를 취재해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었던 제넷이다. 현재 프로 일러스트레이터로 왕성히 활동하고 있는 세 일러스트레이터 lack, 가오민, 도시마와 함께 다양한 각도에서 일러스트로 활동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전문가가 되기 위한 레벨업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어떻게 나만의 작업 기준을 가지고 가는지, 매너리즘과 익숙한 패턴에서 벗어나 나만의 개성과 새로움을 추구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회사 일과 창작 활동을 병행하는 법이나 상업적으로 의뢰를 받아서 작업하는 요령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시간과 일정을 관리하고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이어가는 방법 등에 대해서도 함께 다룬다. 실제로 일을 해나갈 때 바로 적용해볼 수 있도록 업계의 선배들을 만나 차 한잔 마시며 들을 수 있는 이야기들을 담았다. 저자들의 따뜻한 지지와 격려를 받으며 독자들이 자신만의 세계를 무진하게 펼쳐가기를 응원한다.

일러스트레이터라면 누구나 고민하는 부분
칼럼으로 만나는 추천 도서와 작업 환경,
생성형 AI에 대한 생각까지!


매 챕터가 끝나는 곳에 유용한 꿀팁을 전하는 칼럼을 담았다. 추가적으로 더 참고해서 볼 수 있을 만한 추천 도서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일러스트레이터 각각의 작업 환경은 어떤지, 어떤 PD와 기기로,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작업하는지도 세세하게 정리했다. 한편 생성형 AI가 일러스트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일러스트레이터들이 그것을 바라보는 시선이 어떠한지도 알 수 있다.

또, 책의 말미에는 일러스트레이터로 진로를 정하고 작업해 온 궤적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다룬 인터뷰를 수록했다. 언제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는지, 그림 분야 중 왜 일러스트를 선택하게 되었는지, 전문학교에서 교육을 받거나 대학에서 그림을 전공한 적이 있는지. 일러스트로서 독립적으로 꾸준하게 활동하는 소감 등에 대해 물었다. 많은 일러스트레이터가 자신의 상황과 비교하며 그 이야기를 곱씹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을 그리다 막힌 순간에, 『일러스트레이터 고민상담실』이 작은 틈을 만들어줄 수 있기를 바란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34] 대부분의 일러스트레이터는 좌우대칭이 완벽한 얼굴을 표현할 수 없다. 인간의 얼굴은 좌우대칭이 아니기에 기본적으로 그렇게 그릴 필요조차 없다. 정면에서 자신의 얼굴을 찍고 좌우 반전해 보면 누구나 위화감을 느낀다.
[P. 53] 작법서나 강좌의 해설 내용을 접하면서 ‘이렇게 해야 한다.’라는 고정관념을 갖게 되는 것 또한 위험하다. 기본적으로 일러스트 제작에 100% 정답은 없다. 고정관념에 사로잡히면 오히려 그림을 제대로 그리지 못하게 될 우려도 있다.

작법서나 강좌의 해설은 ‘이런 방법도 있다.’ 정도로 받아들이며 자신의 선택지를 넓히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60] 페티시즘 묘사가 강조된 캐릭터 일러스트의 경우, 공개가 망설여지는 것이 당연하다. 일러스트에 자신의 페티시즘이 반영되므로 일러스트 공개는 자신의 페티시즘을 공개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나는 특히 가까운 사람들에게 일러스트를 거의 보여 주지 않는다. SNS에 올릴 때도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들키지 않도록 신경을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