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4

PART 1. 개요 8

01. 작성 배경 9

02. 목적 10

03. '삶의 질'이란 11

04. 프레임워크 12

05. 지표 선정 기준 13

06. 최근 추세 판정기준 13

07. 지표 관리 절차 14

08. 지표 체계 15

09. 최근 추세 판정 결과 요약 16

PART 2. 영역별 측정 결과 19

01. 가족ㆍ공동체 20

독거노인 비율 22

가족관계 만족도 23

지역사회 소속감 24

사회단체 참여율 25

사회적 고립도 26

02. 건강 27

기대수명 29

건강수명 30

스트레스 인지율 31

주관적 건강상태 32

비만율 33

자살률 34

신체활동 실천율 36

03. 교육 37

유아교육 취원율 39

교육비부담도 40

학교교육의 효과 41

학교생활 만족도 42

대학졸업자 취업률 43

고등교육 이수율 44

04. 고용ㆍ임금 46

실업률 48

고용률 49

월평균 임금 51

저임금근로자 비율 52

근로시간 53

일자리 만족도 54

05. 소득ㆍ소비ㆍ자산 55

1인당 국민총소득 57

가구중위소득 58

소득만족도 59

소비생활 만족도 60

가구순자산 61

가계부채비율 62

상대적 빈곤율 63

06. 여가 64

문화여가 지출률 66

여가시간 67

여가시간 충분도 68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횟수 69

1인당 여행일수 70

여가생활 만족도 71

07. 주거 72

자가점유가구 비율 74

주택임대료 비율 75

1인당 주거면적 76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77

통근시간 78

주거환경 만족도 79

08. 환경 80

1인당 도시공원 면적 82

미세먼지 농도(PM2.5) 83

농어촌 상수도 보급률 84

대기질 만족도 85

수질 만족도 86

토양환경 만족도 87

소음 만족도 88

녹지환경 만족도 89

기후변화 불안도 90

09. 안전 91

가해에 의한 사망률 93

범죄피해율 94

야간보행 안전도 95

산재사망률 96

화재 사망자수 97

도로교통사고 사망률 98

아동안전사고 사망률 99

안전에 대한 전반적 인식 100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102

10. 시민참여 103

선거투표율 105

정치적 역량감 106

기관신뢰도 107

부패인식지수 108

시민의식 110

자원봉사 참여율 111

대인신뢰도 112

11. 주관적 웰빙 113

삶의 만족도 115

긍정정서 117

부정정서 118

PART 3. 이슈 분석 119

01. 데이터로 본 청년의 불안과 원인 탐색: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120

1. 서론 120

2. 분석 방법 121

3. 분석 결과 123

4/3. 결론 129

참고문헌 129

02. 지난 20년간 국내 삶의 질 연구동향 분석 130

1. 서론 130

2. 자료수집 및 처리 130

3. 분석결과: 시기, 대상, 활용자료별 주요 결과 132

4. 분석결과: 키워드 분석 결과 136

5. 시사점 139

[부록 1] 지표정의서 141

[부록 2] 지표 자료출처 167

판권기 175

표 1. 연구대상 코딩 세부 내용 132

표 2. 연도별 삶의 질 관련 학술논문 수 및 비율 132

표 3. 분석대상별 삶의 질 관련 학술 논문 비율 133

01. 데이터로 본 청년의 불안과 원인 탐색: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122

그림 1. 단어의 빈도 분포 122

그림 2. 연관성 기준에 따른 그래프의 양상 123

그림 3. 연관성 기준 변화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 124

그림 4. 전체 그래프와 하위 커뮤니티 추출 결과 125

그림 5. 하위 커뮤니티의 단어 구성(군집 1) 125

그림 6. 하위 커뮤니티의 단어 구성(군집 2) 126

그림 7. 하위 커뮤니티의 단어 구성(군집 3) 127

그림 8. 하위 커뮤니티의 단어 구성(군집 4) 128

그림 9. 하위 커뮤니티의 단어 구성(군집 5) 128

02. 지난 20년간 국내 삶의 질 연구동향 분석 131

그림 1. 자료 선정 절차 131

그림 2. 연도별 삶의 질 관련 학술논문 수 133

그림 3. 삶의 질 관련 논문의 분석대상별 비율 134

그림 4. 특정대상별 논문 건수 134

그림 5. 양적 분석 중 개별조사 활용 비율 135

그림 6. 삶의 질 연구의 분석대상별 활용 통계 비율 136

그림 7. 시기별 워드클라우드 분석 결과 137

그림 8. 생애주기별 워드클라우드 분석 결과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