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제1편 보조 8
1. 보조금 교부대상에 해당하는지 9
사례 1. 보조금 교부대상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지방재정법」 제17조제1항제1호 해당) 11
사례 2. 보조금 교부대상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상위법령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본 사례) 13
사례 3. 보조금 교부대상인지 판단기준을 제시한 사례(「지방재정법」 제17조제1항제4호 관련) 16
사례 4. 보조금 교부대상에 해당하는지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 사례(「지방재정법」 제17조제1항제4호 관련) 18
2. 운영비 지원에 관한 사항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21
사례 5. 운영비를 지원하는 내용을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23
사례 6. 보조금을 교부할 수 없는 운영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사례 25
3. 조건을 붙여서 보조금을 교부하도록 하는 내용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27
사례 7. 보조금 교부조건을 규정할 수 있다고 본 사례 28
사례 8. 보조금 교부조건에 관한 판단기준을 제시한 사례 30
제2편 공유재산 35
1. 행정재산인 공공시설의 이용관계에서 사용료 감면 등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36
사례 9. 사용료 감면 규정을 둘 수 있다고 본 사례(질의 가) 37
사례 10. 공공시설 이용료를 확정 금액이 아닌 최고액ㆍ최저액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본 사례(질의 가) 40
2. 행정재산의 관리위탁을 수의계약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43
사례 11. 수의계약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본 사례 45
사례 12. 수의계약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본 사례(「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시행령」 제19조의5제1항제1호 관련) 49
사례 13. 수의계약 대상에 일부 해당한다고 본 사례(질의 나,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시행령」 제19조의5제1항제2호 관련) 51
제3편 재정ㆍ회계ㆍ기금 55
1. 특별회계 간 통합ㆍ운용 등에 관한 사항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56
사례 14. 특별회계 간 통합ㆍ운용을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57
사례 15. 특별회계 간 통합ㆍ운용을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59
사례 16. 서로 다른 특별회계를 하나의 통합조례에 규정할 수 있다고 본 사례 61
2. 특별회계의 존속기한을 조례에 규정해야 하는지 63
사례 17. 존속기한을 규정해야 한다고 본 사례 64
사례 18. 존속기한을 규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본 사례(질의 다) 67
3. 금고지정 기준 등에 관한 사항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72
사례 19. 별도의 평가항목을 추가하고 감점 배점하는 형식으로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74
사례 20. 금고로 지정할 수 있는 금융기관의 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고 본 사례 76
사례 21. 금고지정 기준의 입법형식 선택에 관한 기준을 제시한 사례 78
4. 기금의 존속기한이 경과하면 기금 설치ㆍ운영을 위한 조례가 실효되는지 80
사례 22. 기금과 관련된 규정만 실효된다고 본 사례 82
사례 23. 조례 전체가 실효된다고 본 사례 84
5. 기금으로 융자를 지원받은 자에 대한 융자금 감면 등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86
사례 24. 융자금이나 그 연체금 채권에 대한 감면 등을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88
사례 25. 융자금의 이자 및 연체이자의 감면은 상위법령의 범위에서 가능하다고 본 사례 91
제4편 지방의회 93
1. 지방의회의원의 발의로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 내용인지(지방자치단체의 장의 고유권한 침해 여부) 94
사례 26.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본 사례(질의 가) 96
사례 27.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본 사례 99
사례 28.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집행권한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본 사례(질의 나) 101
사례 29.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집행권한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본 사례 106
사례 30.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인사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본 사례 109
사례 31.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조직편성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본 사례 112
2. 지방의회의 동의 또는 지방의회에 대한 보고에 관한 사항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114
사례 32. 업무협약 등의 체결에 관한 사전 또는 사후 보고를 규정할 수 있다고 본 사례 115
사례 33. 예산 전용 사유에 관한 사전 보고 및 동의를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119
사례 34. 민간위탁 시 지방의회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본 사례 122
사례 35. 지방공사의 정관 변경 시 지방의회의 동의를 받도록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125
제5편 위원회 127
1. 조례로 설치ㆍ운영할 수 있는 위원회인지 128
사례 36. 기관위임사무에 관한 심의위원회 설치ㆍ운영 조례를 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질의 가) 130
사례 37. 자치사무에 관한 자문위원회의 설치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고 본 사례(질의 가) 135
2. 위원회의 심의ㆍ의결사항의 범위 및 효력 138
사례 38. 법령에 따라 설치된 자문위원회에서 법령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을 심의할 수 있다고 본 사례(질의 가) 139
사례 39. 자문위원회의 심의ㆍ의결에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 본 사례 142
3. 위원의 자격ㆍ구성 등에 관한 사항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144
사례 40. 법령에서 정한 내용 외에 주민지원협의체의 구성원 등의 자격을 제한하는 내용을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145
사례 41. 법령에 따라 설치된 심의회의 구성원 등에 관한 사항을 법령과 달리 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149
제6편 지방자치단체 출자ㆍ출연기관 등 153
1. 지방자치단체 출자ㆍ출연기관 등의 정관 기재사항 및 정관 제정ㆍ개정과 관련한 보고ㆍ동의를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154
사례 42. 지방연구원의 정관 기재사항을 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 사례 156
사례 43. 지방자치단체 출자ㆍ출연기관의 정관을 제정ㆍ개정하려는 경우 지방의회의 사전동의를 받도록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질의 가) 159
사례 44. 지방자치단체 출자ㆍ출연기관의 정관의 제정ㆍ개정과 관련한 협의사항을 지방의회에 보고하도록 할 수 있다고 본 사례(질의 가) 164
2. 지방자치단체 출자ㆍ출연기관의 지도ㆍ감독에 관한 사항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171
사례 45. 출자ㆍ출연기관의 사업계획과 예산안에 대한 군수의 사전 승인에 관한 사항을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174
사례 46. 출자ㆍ출연기관의 결산서를 소관 상임위 등에 제출하도록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질의 가) 177
제7편 위탁ㆍ대행 182
1.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위탁 대상ㆍ범위에 해당하는지 183
사례 47. 공공단체에 대한 자치사무 위탁으로서 조례에 규정할 수 있다고 본 사례 184
사례 48. 법령상 수탁기관이 아닌 지방공단에 대한 사무 위탁을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187
2. 지방자치단체 사무 대행의 근거 또는 의회 동의에 관한 사항을 조례에 규정할 수 있는지 190
사례 49. 법령의 근거 없이 사무 대행에 관한 사항을 규정할 수 없다고 본 사례 191
사례 50. 법령에 따라 사무를 대행하게 하는 경우 민간위탁조례에 따른 지방의회의 동의를 받지 않아도 된다고 본 사례 193
판권기 19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