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Abstract 6
요약 8
Ⅰ. 밸류업 프로그램과 은행 및 보험회사의 PBR 9
1. PBR과 밸류업 프로그램 9
2. 한국의 상장은행 및 보험회사의 PBR 현황 11
Ⅱ. 은행 및 보험회사의 PBR에 대한 선행연구 15
1. PBR의 유용성에 대한 선행연구 15
2. PBR 결정요인 분석 선행연구 16
3. PBR 수준이 실질 자본적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21
Ⅲ. 한국의 상장은행 및 보험회사의 PBR에 대한 실증분석 및 검토 25
1. PBR과 관련지표의 추세 25
2. PBR 결정요인 분석 40
3. PBR 수준이 실질 자본적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 50
Ⅳ. 결론 및 시사점 59
1.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 관련 시사점 60
2. 건전성 감독 관련 시사점 67
참고문헌 69
판권기 72
〈그림 Ⅰ-1〉 코스피, KRX은행 및 KRX보험지수의 PBR 추이 12
〈그림 Ⅰ-2〉 코스피지수 PBR 대비 KRX은행 및 KRX보험지수의 PBR 비율 추이 13
〈그림 Ⅱ-1〉 G-SIB 및 주요 국제적 은행의 PBR 추이 17
〈그림 Ⅱ-2〉 미국 내 상위 20개 금융회사의 시가총액 비중 추이 20
〈그림 Ⅱ-3〉 바젤은행감독위원회의 신용리스크에 대한 필요자기자본비율 산출 원리 23
〈그림 Ⅲ-1〉 은행의 거시지표와 PBR 26
〈그림 Ⅲ-2〉 은행의 ROE와 PBR 27
〈그림 Ⅲ-3〉 은행의 자본규제강도(CapReg)와 PBR 28
〈그림 Ⅲ-4〉 은행의 자기자본비율과 PBR 29
〈그림 Ⅲ-5〉 은행의 자본경영버퍼(MBFR)와 PBR 30
〈그림 Ⅲ-6〉 은행의 부실채권비율(NPLR)과 PBR 31
〈그림 Ⅲ-7〉 은행의 배당률(PayOR)과 PBR 32
〈그림 Ⅲ-8〉 보험회사의 거시지표와 PBR 34
〈그림 Ⅲ-9〉 보험회사의 ROE, ROA와 PBR 35
〈그림 Ⅲ-10〉 보험회사의 지급여력비율(SR)과 PBR 36
〈그림 Ⅲ-11〉 보험회사의 가중부실여신비율(WNPLR)과 PBR 37
〈그림 Ⅲ-12〉 보험회사의 배당률(PayOR)과 PBR 38
〈그림 Ⅲ-13〉 보험회사의 레벨3자산비중(LVL3R)과 PBR 39
〈그림 Ⅲ-14〉 은행별 자기자본비율, 시가기준 자기자본비율 및 최저자기자본비율 추이 53
〈그림 Ⅲ-15〉 보험회사별 지급여력비율, 시가기준 지급여력비율 및 최저지급여력비율 추이 54
〈그림 Ⅲ-16〉 은행(지주회사) 및 보험회사별 부도거리(DTD)의 분포 58
〈그림 Ⅳ-1〉 소유형태별 은행, 보험회사의 평균 PBR 65
〈그림 Ⅳ-2〉 지배구조등급과 PBR의 분포 6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