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 문 5

제1장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장애인 인권 이해
Ⅰ. 인권 및 장애인 인권  13
Ⅱ. 성인권 개념과 장애인 지원  26
Ⅲ. 평생교육 현장과 성인권 지원  33
연습문제 1  43

제2장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Ⅰ. 자기결정의 개념  51
Ⅱ. 자기결정의 특성과 구성 요소  53
Ⅲ. 발달장애인과 자기결정  61
Ⅳ.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지원방안  63
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사례  70
연습문제 2  76

제3장 미래의 평생교육 트랜드와 장애인 평생교육강사
Ⅰ. AI 시대의 평생교육  83
Ⅱ. 평생교육 법령변화와 추세  93
Ⅲ. 지속 가능한 평생교육  100
Ⅳ. 장애인 평생교육강사  107
연습문제 3  122

제4장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Ⅰ.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요  129
Ⅱ.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  134
Ⅲ.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원리, 절차 및 방법  139
Ⅳ.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자의 철학/역할  150
Ⅴ.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태 및 현황  155
Ⅵ.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요약 및 실습  159
연습문제 4  166

제5장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서 작성법 및 시연 워크숍
Ⅰ.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  173
Ⅱ.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서  176
Ⅲ. 장애인 평생교육 강의 기획서 작성 실습  180
Ⅳ. 장애인 평생교육 강의 기획서 시연 워크숍  186
연습문제 5  190

제6장 행복한 평생교육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Ⅰ. 평생교육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197
Ⅱ. 긍정적 행동지원의 개념  198
Ⅲ. 기능적 행동 평가  203
Ⅳ. 행동지원계획 수립  208
연습문제 6  213

제7장 발달장애인과 관계맺기
Ⅰ. 사회적으로 명명된 발달장애  221
Ⅱ. 발달장애인이 알려주는 발달장애  227
Ⅲ. 동등하게 의사소통하기  232
Ⅳ. 발달장애인과 관계맺기  243
연습문제 7  254

제8장 장애인 의사소통 및 프로그램 운영 전략
Ⅰ. 의사소통과 언어의 이해  261
Ⅱ. 장애인 의사소통 및 교수학습 지도 방법  268
연습문제 8  289

제9장 장애인의 사회성 증진 지도
Ⅰ. 사회성 정의 및 특성  297
Ⅱ. 인간의 사회성 발달  301
Ⅲ. 장애 유형별 사회성 특성  304
Ⅳ. 장애인의 사회성 교육 방안  308
Ⅴ. 장애인의 사회성 증진 지도 사례  317
연습문제 9  325

제10장 장애 유형별 신체활동 지원 전략
Ⅰ. 장애인 신체활동의 개념  331
Ⅱ. 장애인 신체활동을 위한 일반적인 지원 전략  336
Ⅲ. 세부 장애 영역별 신체활동을 위한 실제적인 지원 전략  350
Ⅳ. 응급상황 대처요령  363
연습문제 10  368

제11장 정서 및 행동장애의 이해 및 교육적 지원
Ⅰ. 정서 및 행동장애의 개념  373
Ⅱ. 정서 및 행동장애의 특성  381
Ⅲ. 정서 및 행동장애의 교육적 지원  384
연습문제 11  413

장애인 학습자 지원 가이드북  419

이용현황보기

장애인 평생교육강사 양성과정 1급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4390 371.9 -25-2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74391 371.9 -25-2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최근 국가와 지자체에서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사업이 조금씩 늘어나고, 장애인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받은 지자체가 늘어나면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장애 성인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평생학습의 기회를 누릴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양적 성장뿐 아니라 질적 성장도 반드시 함께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강사의 전문성 함양이 필수적이라 하겠습니다. 아무리 제도나 환경이 바뀌어도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존재는 결국 강사이기 때문입니다.
장애 성인들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이 프로그램의 내용 및 목적에 이어 프로그램 강사의 전문성이라는 것은 여러 선행연구에 의해 밝혀진 바 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강사의 장애인 교육 전문성 부족을 우려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장애인 평생교육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강사는 장애의 유형과 정도에 따른 특수한 교육적 요구는 물론, 장애 유형별 의사소통 방법이나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방법 등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교육 전문성을 갖출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장애인 평생교육 기회 확대 및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함양을 위해서는 평생교육강사들이 장애인의 특성과 교육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강사 양성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한국장애인평생교육연구소는 2019년 2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장애인평생교육강사 1급, 2급」 민간자격을 등록하고 지방자치단체들과 협력하여 전문적인 장애인 평생교육강사를 양성해 오고 있습니다. 그간 서울시를 비롯하여 안산시, 안성시, 시흥시, 오산시, 의정부시, 포천시, 구리시, 양평군, 남양주시, 춘천시, 서산시, 공주시, 당진시, 음성군, 군산시, 전주시, 상주시, 부산 연제군 등 여러 지자체와 함께 장애인 평생교육강사 2급 양성과정을 운영해 왔으며, 그 결과 2019년 72명, 2020년 252명, 2021년 350명, 2022년 453명, 2023년 651명의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 강사들을 배출하였습니다.
장애인 평생교육강사 2급 양성과정이 장애 유형별 특성과 교육방법에 관한 이론적 기틀을 다지는 데 주력했다면, 장애인 평생교육강사 1급 양성과정은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방법 및 기획서 작성법, 장애 유형별 의사소통 및 프로그램 운영 전략 등 실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갖추기 위한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과정을 이수한 강사들은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의 방과후강사, 장애인야학이나 장애인복지시설 등 다양한 장애인 평생교육 현장에서 강사로 활동하게 될 것입니다.
장애인 평생교육강사의 활동은 향후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 및 학습자의 프로그램 만족도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특히 평생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 활성화를 유도해 장애 성인들이 일반 평생교육기관에서 자유롭고 손쉽게 평생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장애인 평생학습도시를 만드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우리 한국장애인평생교육연구소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기 위해 전문성을 갖춘 장애인 평생교육강사를 양성하는 일에 열과 성을 다할 것입니다.

대표저자 한국장애인평생교육연구소 소장
김 두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