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5
Part Ⅰ. 총론 18
제1장. 바이러스성출혈열 대응체계 19
1. 목적 19
2. 법적근거 19
3. 감염병 위기관리 체계 21
4.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별 대응 체계 22
5. 역학조사반 구성 및 운영 27
6. WHO IHR 통보 29
7. 권역별 질병대응센터 31
8. 기관별 대응 32
제2장. 바이러스성출혈열 사례정의 35
1. 사례정의(Case Definition) 35
2. 사례분류 38
3. 접촉자 정의 및 관리 40
제3장.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심 시 대응 44
1. 의심 사례 신고ㆍ보고 45
2. 의심 사례 기초역학조사 48
3. 의심 신고 사례분류 53
4. 의심 신고 사례관리 55
5. 접촉자 조사 및 관리 62
6. 검역단계에서 의심 사례 발생 시 단계별 조치사항 63
7. 지역사회에서 의심 사례 발생 시 단계별 조치사항 74
제4장. 바이러스성출혈열 확진 시 대응 81
1. 심층 역학조사 82
2. 확진환자 관리 85
3. 접촉자 추가조사 91
4. 접촉자 관리 95
5. 집중관리병원 관리 (의료기관 유행 시 조치) 108
6. 경유 의료기관 등 관리 115
7. 위험소통 116
제5장. 바이러스성출혈열 실험실 검사 119
1. 검사관리 체계 119
2. 검사절차 121
3. 검사결과 보고 및 환류 130
제6장. 자원관리 131
1. 격리병상 배정 131
2. 국고지원 장비 동원 133
3. 대응 인력 지원 134
Part Ⅱ. 각론 135
제1장. 바이러스성출혈열(Viral Hemorrhagic Fever) 136
1. 개요 136
2. 발생현황 138
3. 역학적 특성 139
4. 임상적 특징 141
5. 실험실 검사 141
6. 치료 141
7. 예방 142
제2장. 에볼라바이러스병(Ebola Virus Disease) 143
1. 개요 143
2. 발생현황 143
3. 역학적 특성 146
4. 임상적 특징 148
5. 실험실 검사 149
6. 치료 149
7. 예방 150
에볼라바이러스병(Ebola Virus Disease) 질병개요(Factsheet) 151
제3장. 마버그열(Marburg Hemorrhagic Fever) 153
1. 개요 153
2. 발생현황 153
3. 역학적 특성 158
4. 임상적 특징 158
5. 실험실 검사 159
6. 치료 159
7. 예방 160
마버그열(Marburg Hemorrhagic Fever) 질병개요(Factsheet) 161
제4장. 라싸열(Lassa Fever) 162
1. 개요 162
2. 발생현황 162
3. 역학적 특성 165
4. 임상적 특징 167
5. 실험실 검사 169
6. 치료 169
7. 예방 170
라싸열(Lassa Fever) 질병개요(Factsheet) 171
제5장. 크리미안콩고출혈열(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172
1. 개요 172
2. 발생현황 172
3. 역학적 특성 176
4. 임상적 특징 177
5. 실험실 검사 177
6. 치료 177
7. 예방 178
크리미안콩고출혈열(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질병개요(Factsheet) 179
제6장. 남아메리카출혈열(South American Hemorrhagic Fevers) 180
1. 개요 180
2. 발생현황 180
3. 역학적 특성 182
4. 임상적 특징 183
5. 실험실 검사 183
6. 치료 184
7. 예방 184
질병개요(Factsheet): 아르헨티나출혈열(Argentine hemorrhagic fever) 185
볼리비아출혈열(Bolivian hemorrhagic fever) 질병개요(Factsheet) 187
브라질출혈열(Brazilian hemorrhagic fever) 질병개요(Factsheet) 188
베네수엘라출혈열(Venezuelan hemorrhagic fever) 질병개요(Factsheet) 189
제7장. 리프트밸리열(Rift Valley Fever) 190
1. 개요 190
2. 발생현황 190
3. 역학적 특성 193
4. 임상적 특징 195
5. 실험실 검사 195
6. 치료 196
7. 예방 196
리프트밸리열(Rift Valley fever) 질병개요(Factsheet) 198
Part Ⅲ. 서식 199
[서식 1] 유행/위험지역 입국자 위험평가 및 모니터링 기록지 200
[서식 2] 감염병 발생ㆍ사망(검안) 신고서 203
[서식 3] 역학조사 사전 고지문 207
[서식 4-1] 에볼라 바이러스병 기초역학조사서 208
[서식 4-2] 마버그열 기초역학조사서 214
[서식 4-3] 라싸열 기초역학조사서 219
[서식 4-4] 크리미안콩고출혈열 기초역학조사서 224
[서식 4-5] 남아메리카출혈열 기초역학조사서 228
[서식 4-6] 리프트밸리열 기초역학조사서 232
[서식 5] 바이러스성출혈열 접촉자 명단 조사 양식 236
[서식 6] 바이러스성출혈열 접촉자 조사관리 양식 237
[서식 7] 바이러스성출혈열 자가 증상기록지 241
[서식 8] 입원ㆍ격리 통지서 242
[서식 9] 입원ㆍ격리 통지서(영문, Notice of admission and isolation) 243
[서식 10] 격리통지서(검역소용) 244
[서식 11] 검체시험의뢰서 245
[서식 12] 소독시행명령서(검역) 246
[서식 13] 퇴원환자안내문(예시) 247
[서식 14] 바이러스성출혈열 관련 입국자ㆍ접촉자 상황발생보고서 248
[서식 15] 시도 대책본부 추진상황 일일보고서 249
Part Ⅳ. 부록 257
[부록 1] 국내 감염병 대응 관련 법령 주요 내용 258
[부록 2] 개인보호구 종류 및 사용법 271
[부록 3] 환자 이송 277
[부록 4] 소독제 종류 및 사용법 281
[부록 5] 폐기물 관리 291
[부록 6] 에볼라바이러스병 검역관리지역 입국자 감시 안내(지자체용) 296
[부록 7] 입국자ㆍ접촉자 안내문자 297
[부록 8] 항공기에서 에볼라바이러스병 관련 대응 298
[부록 9] 음압격리병상 시설기준 302
[부록 10]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현황 304
[부록 11] 공동사용가능 국고지원 장비 보유 현황 305
[부록 12] 자가격리 및 입원치료의 방법 및 절차 314
[부록 13] 의료기관 감염관리 317
[부록 14] 의심 시 검사의뢰지침(의료기관용) 323
[부록 15] 의심 신고 시 점검목록(보건소용 Checklist) 324
[부록 16] 바이러스성출혈열 의심 시 말라리아 감별진단, 치료 326
[부록 17] 바이러스성출혈열 관련 자주 묻고 답하는 질문(FAQ) 331
[부록 18] 통역서비스 339
[부록 19] 검역감염병 대응 관련 국립검역소 연락처 340
판권기 341
〈그림 1〉 제1급감염병 신고 시 대응체계 14
〈그림 2〉 질병관리청 바이러스성출혈열 대책반 구성 22
〈그림 3〉 중앙ㆍ지자체 기관별 역할 모식(대책반 운영 시) 25
〈그림 4〉 바이러스성출혈열 발생신고 및 확인검사 의뢰ㆍ결과환류(흐름도) 59
〈그림 5〉 의심단계 접촉자 조사ㆍ관리 및 확진 시 접촉자 조사ㆍ관리 62
〈그림 6〉 검역단계에서 의심 사례 발생 시 대응 흐름 64
〈그림 7〉 지역사회에서 의심 사례 발생 시 대응 흐름 74
〈그림 8〉 항공기 내 환자 좌석(●) 기준 추적대상 좌석 범위 93
〈그림 9〉 바이러스성출혈열 관련 접촉자 관리 체계도(시ㆍ군ㆍ구) 96
〈그림 10〉 확진환자 접촉자 관련 상황 발생 시 조치 흐름 100
〈그림 11〉 유행 시 중앙사고수습본부(중앙방역대책본부) 진단분석단 구성 및 역할 120
〈그림 12〉 바이러스성출혈열 실험실 검사 절차(흐름도) 121
〈그림 13〉 카테고리 A 감염성물질 포장 방법(예시) 124
〈그림 14〉 차량 내 오염처리 및 안전 장비(예시) 126
〈그림 15〉 질병관리청 바이러스성출혈열 실험실 검사 체계 129
〈그림 16〉 주요 바이러스성출혈열 발생 지역 138
〈그림 17〉 아프리카 에볼라바이러스병 주요 발생지역(1976년~2023.3월 기준) 145
〈그림 18〉 에볼라 바이러스 146
〈그림 19〉 에볼라바이러스 자연사 및 주요 전파경로 147
〈그림 20〉 아프리카 마버그열 주요 발생지역 154
〈그림 21〉/〈그림 22〉 Multimammate rat 165
〈그림 22〉/〈그림 23〉 크리미안콩고출혈열 발생지역 분포 175
〈그림 23〉/〈그림 24〉 크리미안콩고출혈열 자연계 전파경로 176
〈그림 24〉/〈그림 25〉 매개설치류(Calomys musculinus) 서식 분포(점)와 아르헨티나출혈열 발생지역(빗금) 186
〈그림 25〉/〈그림 26〉 리프트밸리열 감염경로 194
〈그림 26〉/〈그림 27〉 개인보호구 착ㆍ탈의 일반적인 절차 272
〈그림 27〉/〈그림 28〉 격리의료폐기물 전용용기 및 내피비닐 291
〈그림 28〉/〈그림 29〉 격리의료폐기물 관리 절차 293
〈그림 29〉/〈그림 30〉 격리의료폐기물을 고압증기멸균기로 처리 후 배출 할 경우 처리 절차 29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