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13
요약문 4
Ⅰ. 개요 23
1. 추진배경 및 목표 24
2. 연구내용 및 방법 25
Ⅱ.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 도출 주요 내용 27
1. 주요 환경변화 분석 28
2. 정책 이슈 후보군 발굴 및 설문조사 30
3. 정책 이슈(안) 도출 32
Ⅲ. 10대 과학기술혁신 정책 아젠다 33
1. 디지털 전환기 전략적 대응을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 34
가. 논의 배경 34
나. 현황 및 문제점 40
다. 지역의 디지털전환(DX) 현황분석 44
라. 지역 디지털전환 지원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현황 및 분석 61
마. 정책방향 및 제언 78
참고문헌 82
2. 혁신도전형 R&D 맞춤형 지원 및 성과활용 체계 85
가. 논의 배경(과제의 필요성) 85
나. 현황 및 국내외 사례 조사 87
다. 정책적 대응방향 104
참고문헌 112
3. 사회문제해결R&D 성과의 시장 진입ㆍ창출 다양성 확보 방안 113
가. 논의 배경 113
나. 문제해결 시장 창출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 114
다. 국내ㆍ외 사례 분석 116
라. 정책적 대응 방향(안) 137
참고문헌 138
4. AX 시대, AI 융합인재 양성 현황의 진단과 제언 139
가. 논의 배경(과제의 필요성) 139
나. 현황 및 문제점 140
다. 정책방향 및 주요 과제(안) 163
참고문헌 166
5. 데이터 기반 과학기술정책의 과학화 167
가. 논의 배경 167
나. 현황 및 문제점 170
다. 주요 정책 과제(안) 185
참고문헌 186
6. 국가적 문제해결을 위한 공공연구기관 협력체계 활성화 187
가. 논의 배경 187
나. 현황 및 문제점 188
다. 정책방향 216
참고문헌 220
7. 지역 주도 R&D 정착을 위한 정부R&D투자시스템 개선방향 - 지역R&D 전담기관 등을 중심으로 222
가. 논의 배경 222
나. 현황 및 주요 쟁점 224
다. 발전방향(안) 233
참고문헌 235
8. 개방ㆍ협력을 위한 혁신주체 간 유동성 제고 237
가. 논의 배경 237
나. 현황 및 문제점 240
다. 혁신 주체 간 유동성 관련 해외 사례 248
라. 정책적 대응 방향 257
참고문헌 259
9. 글로벌 고급 인재 허브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 방안 모색 261
가. 논의 배경 261
나. 현황 및 문제점 263
다. 향후 정책방향 286
참고문헌 289
10. 민간 주도 과학기술혁신정책 구현 방안 292
가. 논의 배경(과제의 필요성) 292
나. 현황 및 문제점 293
다. 심층인터뷰 305
라. 결론 및 정책방안 제안 315
참고문헌 318
Ⅳ. 결론 및 시사점 319
1. 10대 정책 이슈별 정책방향 및 과제 320
2. 정리 및 향후 계획 329
[별첨] 과학기술혁신이슈 모니터링ㆍ분석ㆍ결과 확산체계 구축 및 운영 331
판권기 2
〈표 Ⅰ-1〉 최근 5년간 정책과제 발굴 추진내용 25
〈표 Ⅰ-2〉 정책과제 선정 시 주요 고려사항 26
〈표 Ⅱ-1〉 주요국의 주요 과학기술혁신 정책 키워드 29
〈표 Ⅱ-2〉 정책 이슈 후보(안) 30
〈표 Ⅲ-1〉 국내 디지털전환 관련 정책별 주요 내용 35
〈표 Ⅲ-2〉 디지털 전환 개념의 진화 37
〈표 Ⅲ-3〉 산업별 디지털 전환 적용기술 38
〈표 Ⅲ-4〉 글로벌 주요기관의 디지털 전환 수준 및 성숙도 관련 연구 43
〈표 Ⅲ-5〉 DX관련 조사 변수 및 자료 형태 45
〈표 Ⅲ-6〉 지난 3년간(2019-2021) DX 도입 혹은 향후 도입계획 여부 47
〈표 Ⅲ-7〉 DX 미도입 사유 48
〈표 Ⅲ-8〉 DX 도입으로 거둔 성과 또는 기대하는 성과 49
〈표 Ⅲ-9〉 기업이 빅데이터 기술에 영향을 받는 정도 50
〈표 Ⅲ-10〉 기업이 인공지능(AI) 기술에 영향을 받는 정도 50
〈표 Ⅲ-11〉 기업이 사물인터넷(IoT) 기술에 영향을 받는 정도 51
〈표 Ⅲ-12〉 기업이 클라우드 기술에 영향을 받는 정도 51
〈표 Ⅲ-13〉 기업이 로봇공학 기술에 영향을 받는 정도 52
〈표 Ⅲ-14〉 기업이 3D프린팅에 기술에 영향을 받는 정도 53
〈표 Ⅲ-15〉 기업이 모바일(5G) 기술에 영향을 받는 정도 53
〈표 Ⅲ-16〉 기업이 증강/가상현실 기술에 영향을 받는 정도 54
〈표 Ⅲ-17〉 기업이 블록체인 기술에 영향을 받는 정도 55
〈표 Ⅲ-18〉 DX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우선순위(1순위) 56
〈표 Ⅲ-19〉 DX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우선순위(2순위) 56
〈표 Ⅲ-20〉 DX 촉진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1순위) 57
〈표 Ⅲ-21〉 DX 촉진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2순위) 58
〈표 Ⅲ-22〉 DX 전담조직 보유 여부 58
〈표 Ⅲ-23〉 DX 대응 수준 59
〈표 Ⅲ-24〉 실증분석 대상사업 목록(22개) 62
〈표 Ⅲ-25〉 과제수 기준 실증분석 활용 자료의 구성 63
〈표 Ⅲ-26〉 국가연구개발사업 5대 성과분야(중분류) 64
〈표 Ⅲ-27〉 종속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분산 66
〈표 Ⅲ-28〉 샤피로-프란시아 검정(Shapiro-Francia method test) 결과 68
〈표 Ⅲ-29〉 기술통계량 70
〈표 Ⅲ-30〉 기술통계량 71
〈표 Ⅲ-31〉 디지털전환사업 논문성과의 음이항 회귀분석 결과 72
〈표 Ⅲ-32〉 디지털전환사업 특허성과의 음이항 회귀분석 결과 74
〈표 Ⅲ-33〉 디지털전환사업 기술료 수입성과의 음이항 회귀분석 결과 75
〈표 Ⅲ-34〉 디지털전환사업 사업화 매출액 성과의 허들모형 분석 결과 76
〈표 Ⅲ-35〉 디지털전환 수준 진단을 위한 종합 프레임워크 79
〈표 Ⅲ-36〉 혁신도전형 R&D의 개념 87
〈표 Ⅲ-37〉 연구주제 선정/연구관리 방식으로 구분한 혁신도전형 R&D 88
〈표 Ⅲ-38〉 혁신도전형 R&D 테마 사례 91
〈표 Ⅲ-39〉 다중파생형, 기술융합형 개념 93
〈표 Ⅲ-40〉 ARPA-E 프로젝트 유형 지원 내용 95
〈표 Ⅲ-41〉 자회사(SPRIN-D Subsidiary)가 설립된 프로젝트 98
〈표 Ⅲ-42〉 스케일업팁스 지원 내용 100
〈표 Ⅲ-43〉 산업기술혁신펀드 자금결성 현황 102
〈표 Ⅲ-44〉 국내 벤처필란트로피 현황 116
〈표 Ⅲ-45〉 사회문제 관련 모태펀드 현황('22. 12. 기준) 117
〈표 Ⅲ-46〉 국외 벤처필란트로피 현황 118
〈표 Ⅲ-47〉 아산나눔재단 프로그램 현황 119
〈표 Ⅲ-48〉 현대차 정몽구 재단 사업전략 및 현황 121
〈표 Ⅲ-49〉 '24년 사회문제해결 R&D 우수성과 현장적용단계별 현황 132
〈표 Ⅲ-50〉 2024년 사회제해결 R&D 우수성과 컨설팅 수요 및 분야별 현황 132
〈표 Ⅲ-51〉 2024년 사회문제해결 R&D 우수성과 연구 종료 시점별 현황 133
〈표 Ⅲ-52〉 2024년 사회문제해결 R&D 우수성과 문제분야 및 영역별 현황 134
〈표 Ⅲ-53〉 AI 후방산업(공급 부문)의 세부 분류 141
〈표 Ⅲ-54〉 AI 전방산업(수요 부문)의 주요 업종 141
〈표 Ⅲ-55〉 AI 전ㆍ후방 산업에서 AI 융합인재의 범위 142
〈표 Ⅲ-56〉 (참고) AI 후방산업(AI 공급부문)의 10개 직무 143
〈표 Ⅲ-57〉 AI 후방산업의 AI 관련 직무별 인력 현황(2021~2023년) 144
〈표 Ⅲ-58〉 AI 후방산업의 AI 관련 직무별 기업당 인력 현황(2023년) 145
〈표 Ⅲ-59〉 AI 후방산업의 AI 관련 직무별 인력수요(채용예정인력) 추이(2021~2023년) 145
〈표 Ⅲ-60〉 국내 AI 기업의 AI 도입률(2022년 기준) 146
〈표 Ⅲ-61〉 AI 전방산업 AI 도입기업의 AI 활용 분야 147
〈표 Ⅲ-62〉 AI 전방산업 AI 도입기업의 AI 도입경로 147
〈표 Ⅲ-63〉 AI 전방산업 AI 도입기업의 AI 도입 및 활용과정에서의 애로사항 148
〈표 Ⅲ-64〉 국내 AI 도입기업의 AI 전담인력 보유 현황 148
〈표 Ⅲ-65〉 글로벌 AI 정책 이슈 및 우리나라 주요 AI 정책 150
〈표 Ⅲ-66〉 「AI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 중 〈AI 융합〉 관련 프로젝트 151
〈표 Ⅲ-67〉 「산업 AI 내재화 전략」 중 AI 융합 관련 과제 152
〈표 Ⅲ-68〉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중 AI 융합인재 양성 과제 153
〈표 Ⅲ-69〉 정부의 AI 융합인재 양성사업의 유형 155
〈표 Ⅲ-70〉 AI 대학원 및 융합혁신대학원 내용 155
〈표 Ⅲ-71〉 인공지능중심산업융합집적단지조성사업-AI 융합 인력양성사업 내용 156
〈표 Ⅲ-72〉 산업맞춤형 혁신바우처 지원사업 내용 157
〈표 Ⅲ-73〉 국내 기업 및 출연연의 재직자 대상 AI 교육 사례 158
〈표 Ⅲ-74〉 美 NSF의 과학기술정책의 과학화 관련 지원 프로그램 개요 169
〈표 Ⅲ-75〉 日 SciREX 사업 개요 169
〈표 Ⅲ-76〉 日 SciREX 사업 구성 172
〈표 Ⅲ-77〉 日 SciREX 사업 내 공진화 실현 프로그램 3단계 채택 프로젝트('23.10~'26.3) 172
〈표 Ⅲ-78〉 日 SciREX 사업 내 기반적 연구ㆍ인재육성 거점 지원 개요 173
〈표 Ⅲ-79〉 美 NSF SoS:DCI 프로그램 지원과제 현황 174
〈표 Ⅲ-80〉 美 NSF SoS:DCI 프로그램 지원과제 분류 항목별 개요 174
〈표 Ⅲ-81〉 美 NSF SoS:DCI 프로그램 지원과제 세부 분류 체계 175
〈표 Ⅲ-82〉 美 NSF SoS:DCI 분류 항목별 지원과제 세부 현황 176
〈표 Ⅲ-83〉 연구 데이터 수집 및 검색 시스템 개발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77
〈표 Ⅲ-84〉 연구 데이터 시각화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77
〈표 Ⅲ-85〉 기타 과학기술 데이터 분석 방법론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78
〈표 Ⅲ-86〉 과학자들의 연구 활동과 지식생산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78
〈표 Ⅲ-87〉 기업의 R&D 활동과 혁신에 관한 연구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79
〈표 Ⅲ-88〉 과학기술의 사업화와 기업가 정신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79
〈표 Ⅲ-89〉 사회경제적 요인이 과학, 공학 연구에 미치는 영향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80
〈표 Ⅲ-90〉 협동연구 프로세스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80
〈표 Ⅲ-91〉 글로벌 지식의 공유와 협력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81
〈표 Ⅲ-92〉 과학정책이 과학의 발전과 사회적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81
〈표 Ⅲ-93〉 과학 정보가 정책 결정에 적용되는 맥락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82
〈표 Ⅲ-94〉 연구개발 성과평가 개선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82
〈표 Ⅲ-95〉 과학의 대중 커뮤니케이션 항목 내 주요 지원과제 예시 183
〈표 Ⅲ-96〉 과학기술 정책의 수립ㆍ추진ㆍ성과 등에 대한 주요 지원과제 예시 183
〈표 Ⅲ-97〉 연구연합별 주요 내용 190
〈표 Ⅲ-98〉 공공연구기관 R&D 혁신방안 중 협력 관련 추진과제와 관련 문제 196
〈표 Ⅲ-99〉 출연연의 R&D 생태계 역동성 활성화 추진 방안 중 협력 관련 추진과제와 관련 문제 198
〈표 Ⅲ-100〉 공공연구기관 관리제도 개선 주요 내용 200
〈표 Ⅲ-101〉 공공연구기관 내부 인력운영 및 평가제도 개선 주요 내용 201
〈표 Ⅲ-102〉 협력 중심 공공연구기관 관리 거버넌스 체계 개선(안) 201
〈표 Ⅲ-103〉 TF 구성(안) 207
〈표 Ⅲ-104〉 국립연구기관 협의회 추진 현황 211
〈표 Ⅲ-105〉 지역R&D사업의 투자유형(내역사업 기준) 226
〈표 Ⅲ-106〉 지역R&D사업의 투자유형(내역사업 기준) 226
〈표 Ⅲ-107〉 지역R&D 전문기관 등의 구분 229
〈표 Ⅲ-108〉 주요 부처 소관 지역R&D 사업관리기관 230
〈표 Ⅲ-109〉 지역별 자체R&D 기획ㆍ관리주체(응답지역에 한함) 232
〈표 Ⅲ-110〉 2023 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네트워크' 항목의 연도별 순위 240
〈표 Ⅲ-111〉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흐름도(2022년) 241
〈표 Ⅲ-112〉 정부 R&D(일반/국방)사업 공동ㆍ위탁연구 현황 242
〈표 Ⅲ-113〉 2022년도 산학협력단 연구수익 현황 243
〈표 Ⅲ-114〉 세계혁신지수(GII) '사업성숙도' 부문 개별 지표 순위 243
〈표 Ⅲ-115〉 주체ㆍ학위별 과학기술분야 연구원 현황(2022년) 244
〈표 Ⅲ-116〉 두뇌유출 및 해외 고급인재 유치 매력도 245
〈표 Ⅲ-117〉 공공연, 대학의 기술이전 수입료('18~'22년) 246
〈표 Ⅲ-118〉 공동출원 네트워크 유형별 비중 247
〈표 Ⅲ-119〉 크로스 어포인트먼트, 겸업, 공동연구의 차이점 249
〈표 Ⅲ-120〉 크로스 어포인트먼트의 추진 절차 개요 251
〈표 Ⅲ-121〉 대학 등의 크로스 어포인트먼트 제도 도입 현황 251
〈표 Ⅲ-122〉 인력 교류ㆍ협력 관련 정책/프로그램 사례 252
〈표 Ⅲ-123〉 정보ㆍ지식 협력 네트워크 관련 정책/프로그램 사례 255
〈표 Ⅲ-124〉 IMD 세계 인재 순위 구성요소 264
〈표 Ⅲ-125〉 시스템 부문 정책 제언 269
〈표 Ⅲ-126〉 테마 부문 정책제언 269
〈표 Ⅲ-127〉 인재 지수 프레임워크의 다양한 영역과 지표 271
〈표 Ⅲ-128〉 매력있는 글로벌 인재 허브가 갖춰야 할 요소 273
〈표 Ⅲ-129〉 주요국의 항목별 특징 종합 283
〈표 Ⅲ-130〉 우리나라 진단 및 문제점 285
〈표 Ⅲ-131〉 전문가 심층 인터뷰/단기자문 추진 현황 286
〈표 Ⅲ-132〉 민간 주도 관련 부처별 주요 추진사항 293
〈표 Ⅲ-133〉 과학기술 분야 대표 법령 중 민간 주도 관련 내용 295
〈표 Ⅲ-134〉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중 민간 주도 관련 내용 296
〈표 Ⅲ-135〉 120대 국정과제 중 민간 주도 관련 내용 297
〈표 Ⅲ-136〉 시기별 과학기술정책 체제의 변화 양상 298
〈표 Ⅲ-137〉 역대 정부별 국가과학기술 자문ㆍ심의기구 변화(1) 299
〈표 Ⅲ-138〉 역대 정부별 국가과학기술 자문ㆍ심의기구 변화(2) 299
〈표 Ⅲ-139〉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외부 전문가 채용 및 연구사업 위탁 기획 현황('22) 301
〈표 Ⅲ-140〉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신규사업 기획 배경('22) 302
〈표 Ⅲ-141〉 연구관리 전문기관별 중간 진도 컨설팅 시행 현황('22) 303
〈표 Ⅲ-142〉 심층인터뷰 대상 전문가 정보 305
〈표 Ⅲ-143〉 정책 과정의 5단계 306
〈표 Ⅲ-144〉 국가연구개발사업(과제) 추진의 5단계 307
〈표 Ⅲ-145〉 과학기술혁신 정책 맥락에서 참여의 사다리 프레임 적용 309
〈표 Ⅲ-146〉 심층인터뷰 결과 - 정책 단위에서 민간참여 활동 내용 및 수준 310
〈표 Ⅲ-147〉 심층인터뷰 결과 - 국가연구개발사업(과제) 단위에서 민간참여 활동 내용 및 수준 313
[그림 Ⅱ-1] 정책 아젠다 후보들의 파급효과 및 시급성 31
[그림 Ⅱ-2] 5대 정책방향에 따른 10개 정책 이슈 32
[그림 Ⅲ-1] 디지털 전환 관련 주요 기관 선정 핵심기술 39
[그림 Ⅲ-2] 디지털 전환 확산 정도 예측 프로세스 39
[그림 Ⅲ-3] 산업별 디지털 전환 수준 41
[그림 Ⅲ-4] DX와 기업혁신 설문조사 주요 결과 요약 46
[그림 Ⅲ-5] 실증분석 모형 65
[그림 Ⅲ-6] 실증분석 모형 66
[그림 Ⅲ-7] 커널 밀도 추정(kernel-density estimation) 결과 67
[그림 Ⅲ-8] 지역 주력산업 현황 80
[그림 Ⅲ-9] 혁신도전형 R&D 핵심 요소 87
[그림 Ⅲ-10] 혁신도전형 R&D 투자영역 88
[그림 Ⅲ-11] 기술성숙도로 구분한 혁신도전형 R&D 유형 89
[그림 Ⅲ-12] 연구개발 추진과정에서 나타나는 3가지 장벽 90
[그림 Ⅲ-13] 딥테크의 특징 : DBTL 주기 및 사례 92
[그림 Ⅲ-14] 사업화 구간의 갭(gap) 94
[그림 Ⅲ-15] X-prize 재단의 상금 규모 96
[그림 Ⅲ-16] 지분투자(투자형기술개발(R&D)) 작동 구조 100
[그림 Ⅲ-17] 딥테크챌린지프로젝트 구조 및 지원규모 101
[그림 Ⅲ-18] 혁신도전형 R&D 개편방향 105
[그림 Ⅲ-19] 출연/투자/융자형 R&D와 이를 연계한 혼합형 R&D 예시 106
[그림 Ⅲ-20] 기술성숙도, 시장성숙도에 따른 유형 구분 107
[그림 Ⅲ-21] 필란트로피의 패러다임 변화 114
[그림 Ⅲ-22]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 115
[그림 Ⅲ-23] 사회문제해결 R&D 성과 확산의 제약요인 115
[그림 Ⅲ-24] 덴마크의 공공('22년) 및 민간('21년) 총 연구 재원 비율 123
[그림 Ⅲ-25] 사회적 임팩트 창출을 위한 9대 원칙 124
[그림 Ⅲ-26] SDG 달성을 위한 세부 지표(게이츠 재단ㆍ골키퍼스) 126
[그림 Ⅲ-27] SDG 일부 세부 지표별 타겟 대비 현황('15~'22) 127
[그림 Ⅲ-28] 사회문제해결R&D 컨설팅 분야별 수요('24) 133
[그림 Ⅲ-29] 사회문제해결R&D 10개 분야 43개 영역별 성과 비율('24) 134
[그림 Ⅲ-30] 사회문제해결 R&D 가치사슬 도식 136
[그림 Ⅲ-31] 산업 맞춤형 혁신바우처 추진 프로세스 157
[그림 Ⅲ-32] 정부의 AI 융합인재 양성사업 유형별 특성 비교 160
[그림 Ⅲ-33] (예시) 기술개발 난이도ㆍ범위에 따른 AI 융합인재 양성사업 포트폴리오 165
[그림 Ⅲ-34] 데이터 기반 과학기술인재정책 고도화 전략(안)('24) 추진 방향 167
[그림 Ⅲ-35] 미 교육부 데이터 전략('23) 체계 168
[그림 Ⅲ-36] 미 노동부 전사적 데이터 전략('22) 168
[그림 Ⅲ-37] 기술주권 평가 프레임워크 및 구성요소들의 관계 184
[그림 Ⅲ-38] 프랑스 공공연구기관 체계와 보건 및 생명과학분야 연맹 구성 189
[그림 Ⅲ-39] 통상적 공공연구기관 범위 및 분류 194
[그림 Ⅲ-40] 협력유형별 협력연구 집행액 추이, 2020-2022 195
[그림 Ⅲ-41] 협력적 문제해결시스템으로 전환 199
[그림 Ⅲ-42] 공공연구기관 주요 관리요소 중심 및 운영제도 개선 200
[그림 Ⅲ-43] 협력 중심 공공연구기관시스템 전환 체계 202
[그림 Ⅲ-44] 융합연구사업의 사업별 목적 및 연계도 204
[그림 Ⅲ-45] NTC 도입 전/후 비교(2024년 1월 기준) 205
[그림 Ⅲ-46] 분야별 기관별 협력체계도 205
[그림 Ⅲ-47] 분야별 협력체계(NTC 5, 생기연 사례) 206
[그림 Ⅲ-48] 감염병 연구기관협의체(안) 212
[그림 Ⅲ-49] 감염병 연구기관협의체 위기 시 대응 체계(안) 214
[그림 Ⅲ-50] 지역혁신역량지수(y축='19-'23 연평균증감률, x축='23) 223
[그림 Ⅲ-51] 지역R&D사업 기획ㆍ관리 거버넌스 224
[그림 Ⅲ-52] 일반적인 매칭형 R&D사업의 투자구조 228
[그림 Ⅲ-53] 지역 주도 R&D사업 투자구조(의무매칭사업) 234
[그림 Ⅲ-54] IMD 국가경쟁력 순위 238
[그림 Ⅲ-55] 세계혁신지수(GII) 순위 239
[그림 Ⅲ-56] 참여기관 유형별 공동ㆍ위탁연구 추이(2020~2022) 242
[그림 Ⅲ-57] EU 회원국 및 세계 주요국의 두뇌 유출 추세 245
[그림 Ⅲ-58] Cross Appointment 기본 구조 248
[그림 Ⅲ-59] Cross Appointment 운용 형태 249
[그림 Ⅲ-60] EIT의 목표 254
[그림 Ⅲ-61] COI-NEXT Program 체계도 255
[그림 Ⅲ-62] 핀란드 정부(2021), 교육 기반 및 일 기반 이민 로드맵 내 정책 조합 262
[그림 Ⅲ-63] IMD(2024), IMD 인재경쟁력 우리나라 부문별 순위변화 263
[그림 Ⅲ-64] 해외 직업을 적극적으로 찾는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 265
[그림 Ⅲ-65]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해외 이직 결정한 사람들의 이주/비이주 이유 265
[그림 Ⅲ-66] 직업 이주 원하는 사람의 희망 국가 순위 변화(2014~2023) 266
[그림 Ⅲ-67] 직업 질에 기반한 국가 선택 이유 267
[그림 Ⅲ-68] 인재 이동에 있어 고용주와 정부의 역할 267
[그림 Ⅲ-69] EU 인재 허브의 시스템과 테마 부문 항목 268
[그림 Ⅲ-70] 잠재 이민자에게 OECD 국가 매력도(고급 노동자) 270
[그림 Ⅲ-71] 국가별 소기업 고급인재 비중 275
[그림 Ⅲ-72] 정책 과정 및 연구사업(과제) 추진의 5단계 307
[그림 Ⅲ-73] Arnstein(1969)의 '시민 참여의 사다리' 308
[그림 Ⅳ-1] 지역R&D사업 기획ㆍ관리체계 개선방향 325
별첨표목차 336
〈표 별첨-1〉 2024 KISTEP 아카데미 개최 현황 336
별첨그림목차 334
[그림 별첨-1] 2024 KISTEP 뉴스클리핑 334
[그림 별첨-2] 2023 KISTEP 연차보고서 334
[그림 별첨-3] KISTEP 카드뉴스 335
[그림 별첨-4] KISTEP 뉴스앤이슈 335
[그림 별첨-5] 2024 KISTEP(+DREAM) 아카데미 행사 모습 336
[그림 별첨-6] 미래정책전략 포럼 모습 34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