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제1장 사업의 개요 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0

1. 사업의 배경 및 필요성 10

2. 사업의 목적 12

제2절 사업의 중장기 전략 13

제3절 연차별 사업성과 및 평가 14

제4절 2024 주요사업 내용 18

제2장 교통 ODA 정책 지원 20

제1절 우리나라 교통 ODA 동향분석 21

1. 우리나라 ODA 정책 동향 21

2. 우리나라 교통 ODA 동향 27

제2절 교통ODA 중점협력국가별 협력수요 파악 32

1. 중점협력국가별 협력수요 파악 목적 32

2. 중점협력국가별 협력수요 조사방법 35

3. 중점협력국가별 협력수요 조사 결과 37

제3절 교육연수자료 개발 51

1. 배경 및 필요성 51

2. 기 교육연수자료 검토 52

3. 기존 연구 분석 54

4. 향후 시행 방안 57

제3장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글로벌 DB 구축 59

제1절 글로벌 교통분석용 DB 구축 60

1. 글로벌 교통DB 구축배경 및 목적 60

2. 2024년 글로벌 교통DB 구축 63

제2절 글로벌 인적네트워크 DB 구축 66

1. 기구축 DB자료 수집 66

2. 신규 자료 수집 67

3. 구축결과 및 향후 추진 계획 67

제3절 글로벌 DB 웹사이트 구축 68

1. 웹사이트 구축 목적 및 배경 68

2. 2024년 글로벌 교통DB 웹사이트 구축 내용 69

3. 향후 글로벌 교통DB 웹사이트 운영 계획 72

제4장 국제기구 및 해외 유관기관의 협력 및 지식공유활동 74

제1절 기관별 협력활동 75

1.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75

2. 경제협력개발기구 국제교통포럼 (OECD/ITF) 79

3. 일본교통관광연구원(JTTRI) 84

4. 한-베 교통협력센터 (VKTrans) 88

5. 동아시아 교통학회(EASTS) 91

6. CEREMA 93

7. KOTI-CATS 간담회 94

8. 기타 유관기관 97

제2절 지식공유활동 100

1. WB-KOTI-ADB LUTP Program in Seoul 개최 100

2. WB OLC KPOK Smart Cities Knowledge Exchange 개최 105

3. 제 13차 한국 녹색 혁신의 날(Korea Green Innovation Days, KGID) 개최 108

제3절 글로벌 브리프 제작 112

1. 글로벌 브리프 제작 목적 및 절차 112

2. 원내ㆍ외 간행물 제작사례 검토 113

3. 글로벌 브리프 제작 유형 선정 121

4. 글로벌 브리프 콘텐츠 유형 선정 121

5. 2024년 글로벌 브리프 콘텐츠 제작 결과 123

참고문헌 127

[부록] 129

1. 글로벌 인적네트워크 DB 구축 현황 130

2. WB-KOTI-ADB Joint Workshop 발표 자료 143

3. 글로벌 브리프 12월호 원고 155

4. 교통 ODA 중점협력국가별 협력분야 수요조사 결과 171

Abstract 228

판권기 231

표목차 4

〈표 1-1〉 교통물류국제협력사업 로드맵 (2023년~2025년) 13

〈표 1-2〉 연도별 사업의 주요 성과 (최근 5년) 14

〈표 1-3〉 2024년 주요 사업내용 18

〈표 2-1〉 우리나라 ODA 규모 22

〈표 2-2〉 2024년 분야별 ODA 지원 규모 23

〈표 2-3〉 2024년 분야별 ODA 지원 규모 23

〈표 2-4〉 아세안 내 중점협력국별 중점협력분야 분포 24

〈표 2-5〉 아세안의 역내 연결성 전략(MPAC)과 연계한 이행전략 24

〈표 2-6〉 교통 관련 아세안 협력전략과 예시사업 26

〈표 2-7〉 교통 ODA 시행기관별 지원실적(2010년~2023년) 29

〈표 2-8〉 교통 ODA 세부분야별 지원실적(2010년~2023년) 30

〈표 2-9〉 교통 ODA 중점협력국별 주요 세부 지원분야(2010년~2023년) 31

〈표 2-10〉 선행연구 교통 ODA 세부분야 선정결과 33

〈표 2-11〉 우리 정부 중점협력국과 선행연구의 교통 ODA 중점협력국 선정결과 34

〈표 2-12〉 중점협력국별 교통협력분야 선정결과 34

〈표 2-13〉 중점협력국가별 협력수요 설문조사 절차(안) 35

〈표 2-14〉 베트남 전문가 A, B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37

〈표 2-15〉 르완다 전문가 C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38

〈표 2-16〉 에티오피아 전문가 D, E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40

〈표 2-17〉 우즈베키스탄 전문가 F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41

〈표 2-18〉 케냐 전문가 G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42

〈표 2-19〉 네팔 전문가 H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43

〈표 2-20〉 인도네시아 전문가 I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44

〈표 2-21〉 태국 전문가 J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45

〈표 2-22〉 몽골 전문가 K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46

〈표 2-23〉 탄자니아 전문가 L이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48

〈표 2-24〉 지식공유보고서(KSR) 목록 53

〈표 2-25〉 KSR 연계 발표자료(PPT) 목록 54

〈표 2-26〉 동영상 강의 주제 및 강연자 54

〈표 2-27〉 단계별 지식공유 콘텐츠 개발전략 56

〈표 2-28〉 우선적으로 개정이 필요한 지식공유보고서 주제 57

〈표 2-29〉 콘텐츠 키워드 관련 본원 보고서 목록 (2018~2024) 58

〈표 3-1〉 글로벌 교통DB 구축현황 61

〈표 3-2〉 글로벌 교통DB 콘텐츠 62

〈표 3-3〉 2023년 기준 타슈켄트시 여객통행 발생량 64

〈표 3-4〉 2023년 기준 타슈켄트시 내부 수단분담율 64

〈표 3-5〉 2019년 몽골 여객 및 화물통행 발생량 65

〈표 3-6〉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 DB 구축 절차 및 연구방법 66

〈표 3-7〉 글로벌 교통DB 웹사이트 구축현황 68

〈표 4-1〉 EASTS-KOTI International Seminar 일정 92

〈표 4-2〉 도로분야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전문가 회의 일정 98

〈표 4-3〉 KDI 국제정책대학원 KOICA RD Practicum 초청 강연 일정 99

〈표 4-4〉 Smart and Sustainable Cities Knowledge Exchange 일정 105

〈표 4-5〉 Korea Green Innovation Days 일정 109

〈표 4-6〉 글로벌 브리프 제작 절차 112

〈표 4-7〉 한국교통안전공단 간행물 정보 113

〈표 4-8〉 국토연구원 발간물 현황 115

〈표 4-9〉 한국교통연구원 발간브리프 정보 119

〈표 4-10〉 글로벌 브리프 제작 형식 검토 결과 121

〈표 4-11〉 글로벌 브리프 콘텐츠 관련 국내외 유관기관 주요 의견 122

〈표 4-12〉 글로벌 브리프 2024년 10월 콘텐츠 주요 내용 123

〈표 4-13〉 글로벌 브리프 2024년 12월 콘텐츠 주요 내용 124

그림목차 7

[그림 2-1] 2015~2024 우리나라 ODA 규모 및 ODA/GNI 비율 22

[그림 2-2] 아세안 개발협력전략 체계도 25

[그림 2-3] 교통 ODA 상위 10개 지원국 지원실적(2010~2023년) 27

[그림 2-4] 교통 ODA 중점협력국별 지원실적(2010~2023년) 28

[그림 2-5] 국토교통부의 교통 ODA 국가별 지원실적(2010~2023년) 29

[그림 2-6] 교통 협력 최우선 분야 빈도수 49

[그림 2-7] 시각화한 설문조사 결과 50

[그림 2-8] 국내외 지식공유 키워드 중요성 평가 비교 55

[그림 3-1] 글로벌 교통DB 웹사이트 구축현황 68

[그림 3-2] 글로벌 교통DB 웹사이트 메인화면 개선 69

[그림 3-3] 글로벌 교통DB 웹사이트 관리기능 개선 70

[그림 3-4] 글로벌 교통DB 및 EV Toolkit 시스템 통합 71

[그림 4-1] WB-ADB Joint Workshop 일정 76

[그림 4-2] WB-ADB Joint Workshop 사진 78

[그림 4-3] OECD/ITF-KOTI 기관장 간담회 82

[그림 4-4] KOTI-OECD 공동 연구 보고서 목차 83

[그림 4-5] JTTRI 서신 84

[그림 4-6] KOTI-JTTRI 공동세미나 프로그램(안) 86

[그림 4-7] KOTI-JTTRI 공동세미나 사진 87

[그림 4-8] VKTrans 회의 사진 89

[그림 4-9] CEREMA 서신 93

[그림 4-10] CATS-KOTI 간담회 96

[그림 4-11] LUTP 일정 100

[그림 4-12] LUTP 사진 104

[그림 4-13] "Knowledge Exchange on Smart and Sustainable Cities for All" 사진 107

[그림 4-14] 2024 KGID 양자회담사진 111

[그림 4-15] 한국교통안전공단 TS 매거진 형식 114

[그림 4-16] 한국교통안전공단 뉴스레터 형식 115

[그림 4-17]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Brief 형식 116

[그림 4-18] 한국교통연구원 뉴스레터 형식 117

[그림 4-19] 한국교통연구원 카드뉴스 형식 118

[그림 4-20] 한국교통연구원 World Brief 형식 120

[그림 4-21] KOTI 글로벌 브리프 10월호 발간 125

[그림 4-22] KOTI 글로벌 브리프 12월호 발간 126

부표목차 5

〈부표 1-1〉 우즈베키스탄 전기자동차 도입 추진방안 지원 130

〈부표 1-2〉 교통분야 지역주도 개발협력사업 우수사례 분석을 통한 효과성 제고 연구 130

〈부표 1-3〉 글로벌교통물류협력사업(2023년~2024년) 131

〈부표 1-4〉 2024 LUTP SEOUL 131

〈부표 1-5〉 코스타리카 공무원 대상 한국의 현황 분석 및 역량 강화 사업 135

〈부표 1-6〉 인도네시아 국가개획발기부(BAPPENAS) 135

〈부표 1-7〉 기타 국제기구 136

〈부표 1-8〉 KGID 136

〈부표 1-9〉 동아시아 철도 공동체를 통한 몽골 철도개발전략 수립 과제 137

〈부표 1-10〉 베트남 다낭시 도시교통 MP수립 138

〈부표 1-11〉 단발성 방원 행사 139

〈부표 1-12〉 주한 국별 대사관 인적 네트워크 DB자료 140

〈부표 3-1〉 한국 고속철도 개통 현황 159

〈부표 3-2〉 한국철도의 운행속도 변천 (경부선 기준) 162

〈부표 4-1〉 베트남 전문가 A, B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171

〈부표 4-2〉 르완다 전문가 C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176

〈부표 4-3〉 에티오피아 전문가 D, E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180

〈부표 4-4〉 우즈베키스탄 전문가 F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188

〈부표 4-5〉 케냐 전문가 G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199

〈부표 4-6〉 네팔 전문가 H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202

〈부표 4-7〉 인도네시아 전문가 I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206

〈부표 4-8〉 태국 전문가 J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212

〈부표 4-9〉 몽골 전문가 K가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216

〈부표 4-10〉 탄자니아 전문가 L이 선정한 교통협력 최우선 분야 220

부도목차 8

[부도 3-1] 고속철도 노선과 운행역의 변화 161

[부도 3-2] 고속철도 1단계 개통전후 철도통행의 등시간권(서울기준) 163

[부도 3-3] 고속철도 영향권(60분 접근 가능 지역) 변화 164

[부도 3-4] 서울-지역간 교통수단별 통행분담률 166

[부도 3-5] 주요 고속철도역 1일평균 이용객수 변화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