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2

요약문 6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배경 18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 20

제3절 추진전략 및 체계 21

제2장 KISTEP Think 2024 10대 정책 아젠다의 추진성과 23

제1절 정부 정책 및 R&D사업에의 반영 24

제2절 KISTEP 정책연구 기본 및 수탁과제 기획ㆍ추진 35

제3장 혁신환경 변화 분석 55

제1절 혁신환경 변화 분석 개요 56

제2절 환경변화 핵심 키워드 분석 결과 59

1. 언론자료 분석 59

2. 정책자료 분석 64

3. 주요 기관 동향분석 자료 분석 69

4. 생성형 AI를 활용한 분석 74

5. 분석결과 종합 77

제4장 KISTEP Think 2025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선정 79

제1절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선정절차 80

1. 핵심 정책영역 설정 80

2. 아젠다 발굴 및 선정 81

3. 'KISTEP Think 2024, 10대 아젠다'와의 비교 82

제2절 10대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및 정책과제 84

영역 1. 기술패권 시대의 과학기술 주권 확보 84

1. 국가전략기술 육성 정책 고도화 84

2. 글로벌 R&D 협력 고도화 및 성과 창출 90

3. 국가전략기술ㆍ산업 핵심인재 확보 97

4. 디지털 대전환시대 AI 경쟁력 강화 102

영역 2. 임무지향 및 선도형 국가 R&D 시스템 혁신 107

5. 혁신ㆍ도전형 R&D 추진체계 고도화 107

6. 공공연구기관 세계 수준 연구허브 역량 강화 112

7. 민간 R&D 혁신 체계 강화 118

영역 3. 국민 행복ㆍ안심 사회 구현 과학기술 역할 강화 123

8. 기후위기 대응,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 도모 123

9. 고령화 및 재난ㆍ재해 대응 과학기술 역할 강화 128

10. 지역소멸 대응 지역주도 혁신성장 기반 강화 132

제5장 결론 138

참고문헌 141

[부록] 과학기술정책 간행물 발간을 통한 정책 커뮤니케이션 강화 연구 145

판권기 3

표목차 14

〈표 2-1〉 보안등급 조치(안) 28

〈표 2-2〉 KISTEP Think 2024, 10대 아젠다 관련 기본사업 연구과제 35

〈표 3-1〉 분석 대상 및 자료 57

〈표 3-2〉 빅데이터 분석절차 58

〈표 3-3〉 언론자료의 토픽별 주제 및 주요 키워드 61

〈표 3-4〉 언론자료의 그룹별 주제 및 키워드 63

〈표 3-5〉 정책자료의 토픽별 주제 및 주요 키워드 66

〈표 3-6〉 정책자료의 그룹별 주제 및 키워드 68

〈표 3-7〉 동향분석 자료의 토픽별 주제 및 주요 키워드 71

〈표 3-8〉 동향분석 자료의 그룹별 주제 및 키워드 73

〈표 3-9〉 분석 결과를 종합한 10개 아젠다 키워드 후보(안) 78

〈표 4-1〉 과학기술혁신정책 연도별 아젠다 영역 현황 80

〈표 4-2〉 국제공동연구 매뉴얼 주요 내용 91

〈표 4-3〉 연구개발기관 범위 확대 관련 혁신법 시행령 개정 92

〈표 4-4〉 동시수행 과제수 완화 관련 혁신법 개정 93

〈표 4-5〉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별표1] 93

그림목차 15

[그림 1-1] KISTEP 임무 및 역할의 발전 방향 19

[그림 1-2] 정책과제별 아젠다 점검 체계 20

[그림 1-3] KISTEP Think 2025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발굴 체계 22

[그림 2-1] 통합연계관리 구성도 51

[그림 2-2] 성과정보 활용 촉진을 위한 유관정보 DB 구축(안) 52

[그림 2-3] One-Stop 통합검색(안) 52

[그림 3-1] 언론자료의 빈도수 높은 주요어 분포 59

[그림 3-2] 언론자료의 워드클라우드 59

[그림 3-3] 언론자료의 토픽 간 거리 지도 60

[그림 3-4] 언론자료의 언어네트워크 지도 62

[그림 3-5] 정책자료의 빈도수 높은 주요어 분포 64

[그림 3-6] 정책자료의 워드클라우드 64

[그림 3-7] 정책자료의 토픽간 거리 지도 65

[그림 3-8] 정책자료의 언어 네트워크 지도 67

[그림 3-9] 동향분석 자료의 빈도수 높은 주요어 분포 69

[그림 3-10] 동향분석 자료의 워드클라우드 69

[그림 3-11] 동향분석 자료의 토픽간 거리 지도 71

[그림 3-12] 동향분석 자료의 언어 네트워크 지도 72

[그림 4-1]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발굴 및 도출 과정 81

[그림 4-2] KISTEP Think 2025, 10대 과학기술혁신정책 아젠다 선정 결과 82

[그림 4-3] 「KISTEP Think 2024」와 「KISTEP Think 2025」 아젠다 간 비교 83

[그림 4-4] 주요국 공급망 대응 사례 86

[그림 4-5] 국내 공급망 대응 사례 86

[그림 4-6] 국가 전략기술 육성 정책 고도화 정책과제 87

[그림 4-7] 경제안보기술의 범정부적 종합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안) 88

[그림 4-8] 테크인텔리전스 프레임워크 및 협력체계 구축(안) 89

[그림 4-9] 글로벌 R&D 협력 고도화 및 성과 창출 정책과제 94

[그림 4-10] 국제공동연구에서의 주요 애로사항 96

[그림 4-11] 국제 지표로 본 한국의 경쟁력 97

[그림 4-12] 해외 주요국의 기술인재 양성 정책 98

[그림 4-13] 국가전략기술ㆍ산업 핵심인재 확보 정책과제 99

[그림 4-14] 데이터에 기반한 전략기술ㆍ산업 인재정책 전략성 제고 예시 101

[그림 4-15] 디지털 대전환시대 AI 경쟁력 강화 정책과제 104

[그림 4-16] 공공부문 혁신분야 초거대 AI플랫폼(예시) 105

[그림 4-17] AI 한계 극복을 위한 차세대 기술개발 주요 내용 106

[그림 4-18] 혁신ㆍ도전형 R&D 추진체계 고도화 정책과제 109

[그림 4-19] 혁신도전 국가R&D사업 운영체계 변화 110

[그림 4-20] 공공연구기관 세계 수준 연구허브 역량 강화 정책과제 114

[그림 4-21] 국가과학기술연구실(NSTL) 도입전ㆍ후 비교 116

[그림 4-22] 출연(연) 기술사업화 플랫폼 허브 개념도 116

[그림 4-23] 대학 및 출연연구기관 거점 강화 내용 117

[그림 4-24] 민간 R&D 혁신 체계 강화 정책과제 121

[그림 4-25] 기후위기 대응,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 도모 정책과제 125

[그림 4-26] 고령화 및 재난ㆍ재해 대응 과학기술역할 강화 정책과제 130

[그림 4-27] 지역소멸 대응 지역주도 혁신성장 기반 강화 정책과제 135

[그림 4-28] 지역기술혁신허브 개념도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