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 4 제1장. 전통 목조건축의 공포栱包 발생 제2장. 주심포柱心包 건축양식의 분류 및 검토 2-1-1. 주심포 제1양식 - 평주 상부에 헛첨차가 결구되어 있지 않은 건물군建物群 / 32 1)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 / 32 2)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호) / 44 2-1-2. 주심포 제1양식의 정리整理 / 59 2-2-1. 주심포 제2양식 - 평주 상부에 헛첨차가 결구되면서 헛첨차 외단부가 사절斜切되어 있는 건물군建物群 / 65 1) 예산 수덕사 대웅전(국보 제49호) / 65 2) 사리원 성불사 극락전(북한 소재) / 76 3) 강릉 객사문(국보 제51호) / 80 4)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국보 제14호) / 85 5) 영주 부석사 조사당(국보 제19호) / 91 6) 패엽사 한산보전(북한 소재) / 97 7) 영암 도갑사 해탈문(국보 제50호) / 100 8) 강릉 문묘 대성전(보물 제214호) / 104 9) 강화 정수사 법당(보물 제161호) / 108 10) 안성객사 정청(보물 제2155호) / 113 11) 창녕 관룡사 약사전(보물 제146호) / 120 12) 담양 창평향교 대성전(보물 제2099호) / 124 13) 담양 창평향교 명륜당(보물 제2100호) / 128 14) 삼척 죽서루(보물 제213호) / 131 15) 나주향교 대성전(보물 제394호) / 137 16) 전주 풍패지관(전주객사) 정청(보물 제583호) / 142 17) 전주 풍패지관(전주객사) 서익헌(보물 제583호) / 146 2-2-2. 주심포 제2양식의 정리整理 / 151 2-3-1. 주심포 제3양식 - 평주 상부에 헛첨차가 결구되면서 헛첨차 외단부가 쇠서牛舌로 돌출되고 있는 건물군建物群 / 157 1) 순천 송광사 국사전(국보 제56호) / 157 2) 순천 송광사 하사당(보물 제263호) / 160 3) 자혜사 대웅전(북한지역 소재) / 164 4) 경주향교 대성전(보물 제1727호) / 167 5) 경주향교 명륜당(보물 제2097호) / 171 6) 안동 봉정사 화엄강당(보물 제448호) / 176 7) 전주향교 대성전(사적 제379호) / 179 8) 합천 해인사 동, 서 사간판전(사적 제504호) / 184 9) 아산 아산맹씨 행단(사적 제109호) / 186 10) 영주 소수서원 문성공묘(보물 제1402호) / 193 11) 영주 소수서원 강학당(보물 제1403호) / 197 2-3-2. 주심포 제3양식의 정리整理 / 201 제3장. 헛첨차 부재의 발생 및 변천 3-1. 헛첨차 부재의 정의 / 211 3-2. 헛첨차 부재의 명칭 / 216 3-3. 헛첨차 부재의 발생 / 218 3-4. 헛첨차의 종류와 구조 / 230 1) 헛첨차의 종류 / 230 2) 공포(헛첨차)의 구조 / 232 3-5. 헛첨차 부재의 변천 과정 / 237 3-6. 주심포柱心包양식 건물의 변천 / 241 제4장. 주심포柱心包양식에서 익공翼工양식의 발생 제5장. 익공翼工건축양식의 검토 5-1. 문헌에 나타난 익공의 용례用例 / 255 5-2. 익공翼工건축양식의 기원 / 260 5-3. 익공翼工건축양식의 정의定義 / 262 5-4. 익공翼工건축양식의 발생 / 264 5-5. 익공翼工건축양식의 분류 및 명칭 / 271 1) 무출목無出目 익공양식 / 272 2) 출목出目 익공양식 / 275 제6장. 익공翼工건축양식의 건물 검토 6-1. 무출목 익공양식의 건물 검토 / 281 6-1-1. 무출목 초익공양식의 건물 / 281 1) 안동 개목사 원통전(보물 제242호) / 281 2)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수다라장전(국보 제52호) / 287 3) 강릉 해운정(보물 제183호) / 293 4) 경주 양동 관가정(보물 제442호) / 298 5) 경주 양동 향단(보물 제412호) / 303 6) 안동 소호헌(보물 제475호) / 307 7) 경주 독락당(보물 제413호) / 313 8) 경주 양동 무첨당(보물 제411호) / 318 9)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쌍수당)(보물 제553호) / 325 10) 춘천 청평사 회전문(보물 제164호) / 330 11) 의성 만취당(보물 제1825호) / 334 12) 예천권씨 종가 별당(보물 제457호) / 341 13) 달성 태고정(보물 제554호) / 346 14) 정읍 피향정(보물 제289호) / 351 15) 안동 양진당(보물 제306호) / 356 16) 안동 임청각 군자정(보물 제182호) / 361 17) 옥천 이지당(보물 제2107호) / 367 6-1-2. 무출목 초익공양식의 정리整理 / 372 6-1-3. 무출목 이익공양식의 건물 / 377 1) 강릉 오죽헌(보물 제165호) / 377 2) 서울 문묘 명륜당 정당(보물 제141호) / 383 3) 창덕궁 구 선원전(보물 제817호) / 389 4) 창덕궁 주합루(보물 제1769호) / 392 5) 수원 화성행궁 낙남헌(사적 제478호) / 397 6) 창경궁 통명전(보물 제818호) / 401 7) 경복궁 경회루(국보 제224호) / 407 8) 경복궁 자경전(보물 제809호) / 412 9) 창덕궁 희정당(보물 제815호) / 416 10) 장성 필암서원 사우(우동사)(사적 제242호) / 421 11) 서산 개심사 명부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94호) / 426 12) 공주 감영청 선화당(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2호) / 431 6-1-4. 무출목 이익공양식의 정리整理 / 434 6-1-5. 무출목 삼익공양식의 건물 / 438 1) 경성읍성 남문(북한 소재) / 438 2) 강릉 칠사당(보물 제2156호) / 441 6-1-6. 무출목 삼익공양식의 정리整理 / 446 6-2. 출목 익공양식의 검토 / 448 6-2-1. 1출목 초익공양식의 건물 / 450 1) 평양 연광정(북한 소재) / 450 2) 서울 사직단 정문(보물 제177호) / 454 3) 영천향교 대성전(보물 제616호) / 456 4) 수원 화성 동장대(사적 제3호) / 460 6-2-2. 1출목 초익공양식의 정리整理 / 464 6-2-3. 1출목 이익공양식의 건물 / 467 1) 안동 개목사 원통전 배면(보물 제242호) / 467 2) 태안 흥주사 만세루(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 472 3) 서울 종묘 정전(국보 제227호) / 476 4) 안동 봉정사 고금당(보물 제449호) / 481 5) 경산 환성사 심검당(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4호) / 485 6) 순천 송광사 응진당(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 / 489 7) 달성 도동서원 사당(보물 제350호) / 491 8) 달성 도동서원 중정당(보물 제350호) / 497 9) 영천 숭렬당(보물 제521호) / 504 10) 밀양향교 명륜당(보물 제2095호) / 510 11) 남원 광한루(보물 제281호) / 515 12) 수원 화서문(보물 제403호) / 521 13) 밀양향교 대성전(보물 제2094호) / 526 14) 제주 관덕정(보물 제322호) / 531 15) 제천 청풍 한벽루(보물 제528호) / 535 16) 전주향교 명륜당(사적 제379호) / 540 17) 순천 송광사 우화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9호) / 544 6-2-4. 1출목 이익공양식의 정리整理 / 548 6-2-5. 1출목 삼익공양식의 건물 / 554 1) 서산 개심사 심검당(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8호) / 554 2) 통영 세병관(국보 제305호) / 560 3) 부여 석성향교 대성전(충청남도 기념물 제126호) / 567 4)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보물 제1569호) / 573 5) 논산 노강서원 강당(보물 제1746호) / 579 6) 밀양 영남루(보물 제147호) / 585 6-2-6. 1출목 삼익공양식의 정리整理 / 593 6-2-7. 2출목 삼익공양식의 건물 / 597 1) 강화 정수사 법당 전면 공포(보물 제161호) / 597 2)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제800호) / 600 3) 장수향교 대성전(보물 제272호) / 605 4) 전주 풍남문(보물 제308호) / 610 6-2-8. 2출목 삼익공양식의 정리整理 / 615 제7장. 익공翼工 건축양식의 발생 및 변천 7-1. 익공翼工건축양식의 발생 / 621 7-1-1. 무출목 익공양식의 발생 / 621 7-1-2. 출목 익공양식의 발생 / 624 7-2. 익공翼工건축 양식별 발생과 변천 / 625 7-2-1. 무출목 초익공양식의 발생과 변천 / 625 7-2-2. 무출목 이익공양식의 발생과 변천 / 628 7-2-3. 무출목 삼익공양식의 발생과 변천 / 632 7-2-4. 1출목 초익공양식의 발생과 변천 / 633 7-2-5. 1출목 이익공양식의 발생과 변천 / 637 7-2-6. 1출목 삼익공양식의 발생과 변천 / 641 7-2-7. 2출목 삼익공양식의 발생과 변천 / 644 제8장. 한국익공건축양식론 8-1. 익공翼工건축양식 / 649 8-2. 익공양식의 구조도 / 651 8-2-1. 무출목無出目 익공양식의 구조도 / 651 8-2-2. 출목出目 익공양식의 구조도 / 652 8-3. 익공翼工양식 건물의 변천 / 653 참고문헌 / 654 찾아보기 / 659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