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1
목차 5
연구요약 3
제1장 서론 1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6
3. 연구보고서 구성 17
제2장 선행연구 및 정책검토 18
1. 소상공인 디지털ㆍAI 전환 개념 19
1) 디지털 전환의 정의 19
2)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ㆍAI 전환 개념 21
2. 선행연구 22
3.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정책 27
1) 정부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정책 27
2)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정책 35
3) 국내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 37
4)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 40
5) 소상공인 디지털 지원사업 시사점 44
4.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관련 법률 46
1) 소상공인 관련 법률 46
2) 디지털 전환 관련 법률 50
3) 기타 관련 법률 53
4)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관련 조례 54
5) 디지털 전환 관련 법률 검토 시사점 58
5. 소결 59
제3장 소상공인 디지털ㆍAI 전환 기술 61
1. 디지털ㆍAI 기술 개요 62
1) 주요 디지털ㆍAI 전환 기술 62
2. 업종별 디지털ㆍAI 활용 기술 68
1) 음식업 디지털ㆍAI 활용 기술 68
2) 소매(유통)업 디지털ㆍAI 활용 기술 72
3) 개인서비스업 디지털ㆍAI 활용 기술 74
3. 소상공인 디지털ㆍAI 전환 사례 75
1) 주요 업종별 디지털ㆍAI 전환 사례 75
2) 중장년 디지털 전환 사례 79
3) 기업의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협력 사례 81
4)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전망 83
4. 소결 86
제4장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사용 실태조사 88
1. 경기도 소상공인 현황 89
2.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사용 실태조사 94
1) 조사개요 94
2) 실태조사 분석 98
3) 소결 143
3. 경기도 소상공인 및 소상공인 관련 전문가 인터뷰 148
1) 인터뷰 대상자 148
2) 소상공인 및 소상공인 전문가 인터뷰 149
4. 소결 154
제5장 결론: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ㆍAI 전환 추진 방안 156
1.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체계적 지원 추진 157
2.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반조성 160
3. 디지털 전환 지원 추진단 운영 162
4. 성과관리체계 도입 163
5. 디지털 전환을 위한 관련 조례 개정 163
참고문헌 165
[부록 1]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사용 실태조사 통계표 167
[부록 2]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사용 실태조사 설문지 233
표목차 7[표 2-1] 「경기도 디지털 전환 촉진에 관한 기본조례」 제2조 22
[표 2-2] 분야별 세부과제 투자계획 및 일자리 효과 28
[표 2-3] '24년 경기도 도정 업무계획 36
[표 2-4] '23년 경기도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지원 정책 36
[표 2-5]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디지털 전환 관련 사업 37
[표 2-6] '24년 소상공인 온라인 판로지원사업 내용 38
[표 2-7] 소상공인 온라인판로 지원사업(23년-24년 비교) 38
[표 2-8] '24년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 지원 내용 39
[표 2-9] 경험형 스마트마켓 지원사업 39
[표 2-10] 판판대로 플랫폼 소상공인 대상 주요사업 39
[표 2-11] 지자체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관련 사업 39
[표 2-12] 경기도 소상공인 지원 관련 사업 40
[표 2-13]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주요사업 41
[표 2-14]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관련 사업 42
[표 2-15]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디지털전환 관련 사업 43
[표 2-16] 경기테크노파크 디지털전환 관련 사업 43
[표 2-17]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메이커스페이스 전문랩 디지털전환 관련 사업 44
[표 2-18] 경기도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 및 사업 종합 45
[표 2-19] 「소상공인기본법」 제2조 46
[표 2-20] 「소상공인기본법」 제7조~제10조 46
[표 2-21] 「소상공인기본법」 제11조~제22조 47
[표 2-22] 「소상공인기본법」 제23조~제31조 47
[표 2-23]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5조 48
[표 2-24] 지자체 소상공인 관련 조례 제정 현황 48
[표 2-25] 지자체별 소상공인 특화 조례 49
[표 2-26]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제2조 50
[표 2-27]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제15조~제27조 51
[표 2-28] 「개인정보 보호법」 제1조 52
[표 2-29] 「개인정보 보호법」 제2조 52
[표 2-30] 지자체 소상공인 조례제정 현황 53
[표 2-31] 「경기도 디지털 전환 촉진에 관한 기본조례」 및 「경상북도 디지털 전환 및 가상융합경제 활성화 조례」 비교 54
[표 2-32] 「경기도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및 「서울특별시 소상공인 기본 조례」 비교 55
[표 2-33] 「경기도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조례」 제4조 2 56
[표 2-34] 「경기도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조례」 제5조 56
[표 2-35] 「경기도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조례」 제9조 56
[표 2-36] 「경기도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조례」 제4조 57
[표 2-37]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설립 및 운영 조례」 제4조 57
[표 3-1] 우리동네 단골시장 81
[표 3-2] 프로젝트 꽃 82
[표 4-1] 경기도 산업별 소상공인 기업 수 89
[표 4-2] 경기도 산업별 소상공인 기업 종사자 수 90
[표 4-3] 경기도 산업별 소상공인 매출액 91
[표 4-4] 조사설계 95
[표 4-5] 조사내용 95
[표 4-6] 응답자 특성표 96
[표 4-7] 조사표본 검토 97
[표 4-8] 디지털 전환 수용 정도[이용] 101
[표 4-9] 디지털 전환 수용 정도[습득] 101
[표 4-10] 디지털 전환 수용 정도[정보확보] 102
[표 4-11] 디지털 전환 수용 정도[이용] 102
[표 4-12] 업종별 디지털 전환 수용정도 104
[표 4-13] 디지털 전환 준비 정도[인프라] 105
[표 4-14] 디지털 준비 정도 [인력보유] 105
[표 4-15] 디지털 전환 준비 정도[지식] 106
[표 4-16] 디지털 전환 준비 정도[자금 준비] 106
[표 4-17] 디지털 전환 준비 정도[지원사업 정보 확보] 107
[표 4-18] 업종별 디지털 전환 수용정도 109
[표 4-19]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이용 여부 110
[표 4-20] 활용 중인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기술 및 서비스(중복응답) 111
[표 4-21]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중복응답) 112
[표 4-22]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활용 후 매출 113
[표 4-23]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활용 후 영업이익 114
[표 4-24] 사용 중인 디지털ㆍAI 기술 서비스 만족도 115
[표 4-25] 사용 중인 디지털ㆍAI 기술 계속 사용할 의향 116
[표 4-26] 디지털 기술 활용시 어려움_1+2순위 117
[표 4-27] 향후 추가적으로 도입할 계획이 있는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기술 및 서비스(중복응답) 118
[표 4-28] 미 이용자의 향후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도입 계획 119
[표 4-29] 향후 추가적으로 도입할 계획이 있는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기술 및 서비스(중복응답) 120
[표 4-30] 미 이용자의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도입 예정 시기 121
[표 4-31]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중복응답) 122
[표 4-32] 디지털ㆍAI 기술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지만 현재까지 도입하지 않은 이유_1+2순위(중복응답) 123
[표 4-33] 디지털ㆍAI 기술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지만 현재까지 도입하지 않은 이유_1+2순위(중복응답) 124
[표 4-34] 경영분야별 디지털화 의향_1) 재료ㆍ상품의 발주ㆍ사입 125
[표 4-35] 경영분야별 디지털화 의향_2) 제품 및 서비스 생산 125
[표 4-36] 경영분야별 디지털화 의향_3) 주문, 서빙, 판매, 배송 126
[표 4-37] 경영분야별 디지털화 의향_4) 사업장 노무 126
[표 4-38] 경영분야별 디지털화 의향_5) 원가ㆍ매출분석, 회계, 세무 127
[표 4-39] 경영분야별 디지털화 의향_6) 홍보, 마케팅 127
[표 4-40] 경영분야별 디지털화 의향_7) 고객관리 128
[표 4-41] 업종별 경영분야별 디지털화 의향 130
[표 4-42]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1) 온라인 구매 131
[표 4-43]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2) 스마트 오더 131
[표 4-44]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3) 스마트 디스플레이 132
[표 4-45]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4) 주문 키오스크 132
[표 4-46]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5) 챗봇, AI 전화 133
[표 4-47]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6) 웨이팅 앱 133
[표 4-48]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7) 서빙 로봇 134
[표 4-49]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8) 조리 및 제조 로봇 134
[표 4-50]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9) 3D 프린팅 135
[표 4-51]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10) 매출분석 사이트/앱 135
[표 4-52]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11) 온라인 판매ㆍ마케팅 136
[표 4-53]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12) AR-VR(증강현실ㆍ가상현실) 시스템 136
[표 4-54]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13) 노무관리 사이트/앱 137
[표 4-55]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14) 고객관리 프로그램 137
[표 4-56]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_15) AI 기술 적용 디지털 기술 138
[표 4-57] 인터뷰 대상자 특성 148
[표 5-1] 수준별 디지털 전환 맞춤 정책(안) 157
[표 5-2] 수준별 성과지표 및 목표(안) 158
[표 5-3] 업종별 맞춤 정책(안) 159
[표 5-4] 중장년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 흐름도 159
[표 5-5] 성과지표(KPI)안 163
그림목차 11
[그림 1-1] 온라인쇼핑 매출액 추이 14
[그림 1-2] 연구 구성도 17
[그림 2-1] 소상공인 디지털/스마트화 적용범위 21
[그림 2-2] 한국판 뉴딜의 구조 27
[그림 2-3] '21 한국판 뉴딜 실행체계 29
[그림 2-4] 소상공인 성장ㆍ혁신방안 2.0 추진방향 30
[그림 2-5]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추진체계 32
[그림 2-6]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 정책 추진 방향 33
[그림 2-7]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 정책 추진 전략 34
[그림 2-8] 7대 핵심 추진 전략 구상 35
[그림 3-1] 주요 기관ㆍ연구들이 바라보는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 62
[그림 3-2] 음식료 Value Chain을 기반으로 한 푸드테크 산업 분류 69
[그림 3-3] 음식점의 키오스크 사용 비중 70
[그림 3-4] 음식점업 디지털 기술: 테이블오더, 사이니지 76
[그림 3-5] 음식점업 디지털 기술: 조리로봇, 3D 푸드 프린팅 77
[그림 3-6] 소매(유통)업 디지털 기술: 가상피팅, 3D 프린터 78
[그림 3-7] 개인서비스 디지털 기술: 스마트체형분석기, 스마트가마 79
[그림 3-8] 중장년 디지털 전환 사례 80
[그림 3-9] 중장년 디지털 전환 사례 81
[그림 3-10]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84
[그림 4-1] 2022년 경기도 산업별 소상공인 기업 분포 89
[그림 4-2] 2022년 경기도 산업별 소상공인 기업 종사자 분포 90
[그림 4-3] 2022년 경기도 소상공인 산업별 매출액 분포 91
[그림 4-4] 경기도 소상공인 기업 수, 종사자, 매출액 추이 92
[그림 4-5] 2023년 경기도 소상공인 산업별 분포 93
[그림 4-6] 2023년 경기도 소상공인 연령별, 성별 분포 93
[그림 4-7] 경기도 생활밀접업종 소상공인 수 추이 94
[그림 4-8]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도입ㆍ이용의 필요성 98
[그림 4-9] 디지털 기술 도입이 필요 없거나 잘 모르겠다고 생각하는 이유(중복응답) 99
[그림 4-10]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중복응답) 100
[그림 4-11] 디지털 전환 수용 정도 103
[그림 4-12] 디지털 전환 준비 정도 108
[그림 4-13] 경영분야별 디지털화 의향 129
[그림 4-14] 디지털ㆍAI 기술 및 서비스 항목별 지원 필요성 139
[그림 4-15] 디지털 전환을 위해 경기도 및 정부에 요구하고 싶은 정책(중복응답) 140
[그림 4-16] 디지털 전환의 부정적 영향으로 우려되는 사항(중복응답) 141
[그림 4-17]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정도 142